• Title/Summary/Keyword: 설치 운영 사례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국내외 SPM 설치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설치 기준 연구

  • Yun, Gwi-Ho;Lee, Yun-Seok;Park, Yeong-Su;Kim, Se-Won;Jo, Ik-Sun;Kim, Ji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55-357
    • /
    • 2012
  •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국내 몇몇 항들에 수입한 원유를 육상 시설로 이송하기 위한 원유브이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울산항에서 울산 신항의 개발에 따른 방파제 신설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원유브이를 이설하고 추가로 1기의 원유브이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설 및 신설하고자 하는 원유브이의 최적 위치 설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현재 국내외적으로 원유브이 위치 설정에 대하여 일정한 그리고 일관된 기준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정에서 국내외 원유브이 설치 운영 사례 및 관련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 검토하고, 관련 기관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하여 원유브이 설치 기준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nergy Storage System Operation Case for Customers (에너지저장장치 수용가별 운영사례 연구)

  • Hong, Jong-Seok;Kang, Byoung-Wook;Choi, Hui-Seok;Kim,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07-60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및 건물용 수용가에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를 설치하여 운영 사례 결과를 나타냈다. 산업용 수용가는 리튬(Lithium) 기반 1MW/500kWh를, 건물용 수용가는 나트륨-니켈(NaNi) 기반 500kW/1MWh를 각각 설치하여 전기요금별, 배터리 특성별, 운전 조건별로 운영 사례를 나타냈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Urban Flood Sensors (도심지 침수센서 설치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 Sung Uk Kim;Kye W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0-410
    • /
    • 2023
  • 최근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와 강우강도 증가 및 지속적인 도시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침수 예측은 수치모델링, 강우기반의 침수예측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정량적인 침수계측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침수지도, 침수예측 결과 검증과 더불어 센서기반의 정량적인 침수심 계측 결과를 활용한 도시침수 관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개발된 침수센서는 개발 주체에 따라 센서 관리 규정이 각각 상이하며, 정해진 규격과 기본적인 성능기준이 부재함에 따라 예산, 유지관리 등 비효율적인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수센서의 설치시 효율화와 시행착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침수센서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성능기준과 설치방법 등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도심지 침수센서 관련 설치절차, 설치위치 선정방안, 측정주기, 점검 및 관리 방안 등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침수센서 가이드라인 목차를 도출하였다. 가이드라인 목차로는 침수센서 세부구성 및 작동원리를 기술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과 지표, 지표하 등의 계측지점별 센서 설치방안, 현장설치 절차도, 시운전지침으로 구성하였다. 향후 가이드라인을 통해 침수센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도시침수 발생시 선제적 대응체계 강화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로표지 운영개선방안

  • Chae, Jong-Guk;Jeong, Gyeong-Gyu;Choe, Gyu-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38-340
    • /
    • 2015
  • 선박안전운항을 위하여 설치하여 운영 중인 항로표지시설은 도서벽지 설치 운영에 따른 다양한 위해요소(기상, 접근성 등)로 인해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시스템이다. 따라서, 최근 사례 및 기술검토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항로표지 운영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건강관리 사례담47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4 no.3 s.136
    • /
    • pp.32-35
    • /
    • 1990
  • 건협 경기지부는 지난해 2월과 5월에 세류건강관리상담소 및 수원건강관리상담소를 맡아 운영해 왔다. 수원시로 부터의 위탁, 그리고 보사부 보조금으로 설치되어 약 1년간 운영되어 온 두 상담소는 그동안 성병관리 사업을 비롯해 주민건강상담, 예방접종 등을 실시해 좋은 성가를 거두고 있다. 설치과정이나 업무내용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경기지역 주민의 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내고 있는 두 상담소를 찾아가 봤다.

  • PDF

Evaluation of storage effects for hydrologic design of sand dam (모래저장형댐의 수문학적 설계를 위한 저류효과 평가)

  • Chung, Il-Mo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9-219
    • /
    • 2019
  • 모래저장형댐(sand dam)은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보를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을 모래와 같은 공극이 큰 투수성 재료로 채운 후 그 채움재 안에 물을 저장하는 구조물로서 증발량이 큰 건조지역에서 수자원 확보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Hanson and Nilsson, 1986). 국내에서는 차수 및 저류를 위한 제체를 지하 땅속에 설치한 지하수댐을 운영하거나 사방댐을 소규모 수자원공급시설로 개조하여 활용한 일부 사례가 있으나, 전형적인 모래저장형댐의 설계, 시공, 운영 사례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A지역을 대상으로 모래저장형댐의 저류용량을 설계하고 수자원 확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수문모형 SWAT으로 모의한 장기유출량과 방류구, 위어 등을 고려한 저수지 유출추적을 수행하였다. 모래저장형댐의 형태, 규모, 취수량, 지형조건, 수문학적 조건 등에 따른 댐내 수위, 저류량, 방류량 등의 변화를 분석하여 설치 부지에 대한 적정 설계 인자를 도출하였다. 또한 평시 및 가뭄시 물공급 효과와 유황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Post-Graduate Programs in Foreign Public Research Institutes (외국 공공연구기관의 단설대학원 운영사례연구)

  • 김정흠;이규호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 no.2
    • /
    • pp.181-191
    • /
    • 1998
  • 우리나라 기술인력 양성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일반대학과 별도로 기술인력양성을 전문으로 하는 학위과정 설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1996년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단설대학원제도와 전문학위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단설대학원 설립이 추진되었으며, 일부에서 운영이 시작되고 있으나 과학기술분야에서는 극히 일부의 사례만이 있을 뿐이고 아직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본고는 공공연구기관에서 시행되는 단설대학원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운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의 총합연구대학원대학과 연계대학원제도, 중국 국가연구소들의 학위수여제도, 프랑스 국가연구소들의 석 박사과정, 독일 연구기관들의 박사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설대학원 설립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각 국의 학위과정 운영사례를 연합대학형, 개별법인형, 겸직교수형, 공동운영형, 연구소 독자운영형의 5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단설대학원 설립의 활성화방안으로서 독자운영형, 공동운영형, 연합법인형의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 대안의 추진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