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 기준

Search Result 2,686,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 Study of Proposing Standard for Traffic Signal Warrants Corresponding to Traffic Volumes (교통량에 따른 교통신호기 설치 기준 안에 관한 연구)

  • 박용진;장덕명;김기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4
    • /
    • pp.73-90
    • /
    • 1997
  • The warrants to install traffic signals used in U.S.A. are well specified comparing to those in other countries. Among the eleven warrants of the U.S.A., the Warrant 9, 10, and 11 are especially fit in practice. The warrant relaxed to traffic volumes used presently in Korea have been adopted from the U.S.A. Those may not have been reliable in the traffic situation of Korea. The rules required passing through intersections are not kept well at intersections controlled without signal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and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Warrant 9 and 11 adopted form U.S.A.n Korean traffic situation and to propose new traffic signal warrants related to traffic volumes fitted in here. The traffic volume warrants are proposed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rules not being kept well(current situation) and that of vice versa(ide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total volumes warranted to traffic signals are 1600vph, 1700vph, and 1800vph at 4-legs intersection having 1 by 1 lane, 1 by 2 lanes, and 2 by 2 lanes respectively. The total volumes warranted are 1400vph and 1600vph at 3-legs intersection haying 1 by 2 1anes, and 2 by 2 lanes respectively. 2) Another traffic warrants proposed are transformed from the currant warrants 9 and 11. These warrants are composed of the total volumes and the ratio of the volume of the minor street to that of the major street.

  • PDF

Estimation of Parking Requirements of an Apartment (공동주택 주차장 설치기준)

  • Oh, Jae Hak;Park, Jun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D
    • /
    • pp.451-457
    • /
    • 2009
  • This study verifies parking requirements of an apartment suggested in parking generation law in Korea through analysing the surveyed parking generation rate. It is revealed that the parking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gross floor area in parking generation law is similar to the surveyed parking generation rate as an average but the differences of each requirements by region and apartment's size are not significant. Parking generation rate results in strong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household rather than the gross floor area, and the new requirements sugges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 and apartment's size, which is consistent with common sense. This study suggests parking requirements of an apartment,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 by region and apartment's size for 6 groups. Surveyed parking generation rate of each group is fitted to statistical distribution and the mean value of fitted statistical distribution is suggested as the parking requirements of each group. Parking requirements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 is easily recognized of its relative and absolute value, and moreover is consistent with the surveyed parking generation rate.

The Proposition of Domestic Sprinklers Installation Standard and the Fire Services Act (국내 스프링클러 설치기준과 소방관련 법에 관한 고찰)

  • Kim, Yong-Moon;Lee, Young-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7 no.2
    • /
    • pp.17-24
    • /
    • 2014
  • Recently, many accidents occur frequently because sprinklers aren't installed or don't work right when there are outbreak of fire in houses and aggregate buildings. Therefore, they can result in damage for humans and loss of property. Sprinklers are the most appropriate which can extinguish buildings' fire in the initial stages. Through lack of legal system, in domestic cases, sprinklers cannot operate their inherent performance. Domestic standard simply classifies installation objects according to types of business and forms of buildings, also divides into uses and floors of buildings. Especially it only regulates that sprinklers must be installed every floors in particular fire buildings that have more than eleven floors. While it doesn't need to install sprinklers below ten floors, so we are threatened the safety. In this study, we derived causes and implications by analyzing concepts of sprinklers facilities, installation standards in domestic and foreign legal system, and recent cases that expanded damages in fire accidents because of weak point of installation and control standards. In domestic cases, as a result, government has to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law that regulate duty to install sprinklers to all aggregate buildings regardless of floors in terms of new buildings. Also, if someone who has existing buildings wanted to install them, government would guarantee subsidy to encourage installation. In addition, government supervises fire-fighting activities when there are fire by compensating standards about regular inspection by a qualified technicia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prinklers as well as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criteria.

횡형펌프 설치레벨이 베어링 하우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Jeong, 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04a
    • /
    • pp.596-596
    • /
    • 2014
  • 펌프의 장시간 운전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펌프 설치레벨에 대하여 API 규격 및 펌프 제조사 규정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펌프의 설치레벨에 대하여 간과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횡형펌프의 설치레벨 기준을 제시하고 기준을 초과하는 설치레벨이 펌프 케이싱에 어떠한 변형을 야기하는지 또한 변형을 통한 베어링부 preload 예측 및 preload를 받는 축계의 응답특성을 평가하여, 펌프 베어링 하우징에서의 동적인 응답을 판단하고 설치레벨이 펌프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PDF

방음시설의 구조결정을 위한 차음효과예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조기호
    • Journal of KSNVE
    • /
    • v.4 no.4
    • /
    • pp.413-424
    • /
    • 1994
  • 본 글에서는 도로교통소음을 예측할 경우; 소음영향평가시 계획한 도로변에 방음시설물의 설치여부를 결정할 경우, 그리고 방음시설을 설치할 경우에 그 방음 시설의 구조와 설치기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음시설물에 의한 차음 효과예측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언급하였다. 방음시설물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그 설치범위 등을 정확하고 공평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특히 환경영향 평가가 공정하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방음시설물 설치기준과 정밀 한 차음효과 예측법을 하나의 통일된 규정으로 확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문 에 언급한 요소들을 참조하여 기존의 방음벽설치 지침을 대폭적으로 수정.보완하여야 한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예측과 실세계에 근접한 소음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원과 소음전파 공간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도로교통소음을 공정하게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적합한 대상지역별 도로교통소음예방 규제기준값을 법규에 명시하여야 하고, 현재 교통로 주변에 주택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사업자가 택지로 확보한 부지안에 설치하고 있는 방음벽은 최대한 소음원에 근접하여 교통로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을 개정 하여야 한다.

  • PDF

가스시공소식 - 건축물 가스배관 설치기준 공청회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6
    • /
    • pp.40-43
    • /
    • 2011
  • 그동안 가스배관은 건축물 외부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나, 앞으로 가스사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매몰 배관 시공제도를 도입하게 되면 시공에 상당한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가스학회는 지난 10월 25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 대회의실에서 가스사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건축물 가스배관 설치기준 개선 공동연구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발표한 건축물 내 가스배관 설치기준 개선에 대해 정부와 사업단체, 소비자단체 모두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면서 시행에 청신호가 켜졌다.

  • PDF

법령과 규칙 - 온돌 및 난방설비 설치 확인서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5
    • /
    • pp.61-66
    • /
    • 2009
  • 건축물에 설치하는 온돌 및 난방설비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안전 및 방화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내용으로 건축법 제63조가 개정(법률 제8662호, 2007. 10. 17. 공포, 2008. 1. 18. 시행)됨에 따라 온돌 및 난방설비의 구체적인 설치기준을 정하는 한편,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기 위해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4조가 지난 2008. 7. 10일 신설(관련 별표1, 별지제2호서식 신설)되었다. 본지는 이 내용에 대한 회원사의 문의가 많기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개정 주요 내용 및 단서사항 등을 게재하니 회원사들의 참고 바란다.

  • PDF

Development of Criteria for Installing Facilities Preventing Median Encroachment for Rural Two-lane Highways (지방부 2차로 도로의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 설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하태준;김성호;박제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59-67
    • /
    • 2002
  • 2001년 경찰청 $\ulcorner$2001년판 교통사고통계$\lrcorner$ 자료에 의하면 사고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치사율에 있어서 중앙선침범사고가 과속사고와 함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 교통사고의 39.5%가 중앙선 침범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00년 한 해 동안 총 사고건수 290,481건 중 중앙선 침범에 의해 18,931건 (6.52%)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사망자 1,472명, 부상자 35,046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14.38%, 부상자의 8.21%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체 교통사고에서 중앙선침범사고가 차지하는 비중 이 높아지고 있어 중앙선침범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중앙분리대, 표지병, 시선 유도봉 등과 같은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을 설치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물에 대한 설치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렇듯 중앙분리대 설치기준의 부재로 인해 중앙선침범사고 발생과 이에 따르는 경제적인 교통사고 비용손실, 그리고 중앙분리대의 과다설치로 인한 국가 재원의 낭비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기존에 지방부 2차로 도로의 직선부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이 개발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그 연장선상에서 지방부 2차로 도로의 곡선부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의 개발을 통해 중앙선침범사고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고, 현재 설치하여 운영중인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의 설치비용간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얻어진 기준으로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 설치의 가부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비용-효율적인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 설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통사고 비용손실을 최소화하고, 중앙분리대의 효율적 설치방안의 도입을 통한 경제적 이익창출을 도모하고자 한다.

A Study on Parking Generation Forecasting Model for Factory Facilities in Industrial Site (산업단지 공장시설의 주차수요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Ahn, Woo-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D
    • /
    • pp.37-44
    • /
    • 2010
  • The present annexed parking lot standards for buildings in Parking Act are categorized in 9 groups with 13 parking standards in terms of recreation, culture and assembly, housing, factory, warehouse, and so on, in which same grouped facilities have same parking standards. These days diversity in building types and functions need more fractionated parking standards; however, most local governments focusing merely on applying strengthened parking standards in general without systematic rules of consistency. The current problem of parking standards being used is lack of regarding facility characteristics; expecially, a large sized high-tech manufacturing facility located in industrial site is still applied by same parking standards as normal manufacturing facility, even though most part of manufacturing process is automated and hence less manpower is employed. This paper presents a parking generation forecasting model for factory facilities in industrial site in terms of facility use and scale characteristics.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with Change of Invert Type in Four-Way Combining Manholes (4방향 합류맨홀 내부의 인버트 설치에 따른 손실계수 산정)

  • Ryu, Taek Hee;Kim, Ju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5-465
    • /
    • 2016
  • 관거시설은 관거, 맨홀(manhole), 우수토실, 물받이, 연결관, 침투시설, 저류시설, 펌프장 등을 포함하는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맨홀은 배수시설의 유지와 관리를 위하여 일정거리마다 설치되고 있으며, 관거의 기점, 방향, 경사 및 관경이 변하는 곳, 단차가 발생하는 곳, 관거가 합류하는 곳에는 반드시 설치한다(환경부, 2011). 그러나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에서 합류맨홀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T형 합류맨홀에 관한 개략적인 표만 제시되어 있을 뿐, 4방향 합류맨홀에 대한 구체적인 설치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에너지 손실의 저감 및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맨홀내 설치되는 인버트는 미국의 형태 및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관거시설의 시설의 합리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인버트가 설치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및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버트가 설치된 4방향 합류맨홀 손실계수 산정 및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맨홀은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의 표준 1호 맨홀을 1/5로 축소하였고, 인버트는 설치되지 않은 조건(CASE A), 반원형 인버트(CASE B), U형 인버트(CASE C)를 각각 실험하였으며, 실험유량으로 총 유출량 (Qout)은 $2{\sim}5{\ell}/sec$, 총 유출량에 대한 측면 유입량($Q_{Lat}$)의 비($Q_{Lat}/Q_{out}$)는 0~1 조건으로 변화시키면서 흐름특성 및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측면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CASE B와 CASE C는 CASE A보다 맨홀 내 수심이 약 3~7%정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측면유량비의 증가에 따른 손실계수 산정 결과, CASE B는 CASE A 보다 약 30%정도 손실계수가 증가하였으며, CASE C는 CASE A보다 약 35%정도 손실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버트의 형상이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 저감 및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맨홀 내 통수능력을 저하시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배수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기 사용되는 인버트의 개선이 필요하며 관거시설의 배수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개선된 인버트의 형상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