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길이간격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연직수제주변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45-1749
    • /
    • 2010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 그러나 적절한 간격 조절을 통해 생태, 호안보호, 경관 등의 수제의 기능을 만족한다면 이보다 더 효율적인 것을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제간격에 따른 하상변동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배치간격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은 폭 1.2m, 길이 50m, 높이 1.5m 인 직선수로에서 수로폭의 15%길이를 갖는 연직수제를 2개를 대상으로 각각 수제길이의 2~8배의 간격 조절을 통해 하상변동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용입자는 중간입경($d_{50}$)이 0.15mm 인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6시간 동안 통수하였다. 실험결과 유수에 의해 첫 번째 설치된 수제에서 지배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면서 후면부에 설치된 수제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 영향권을 점차 벗어나게 되면서 수제 간격이 4배 이상일 경우 후면부 수제에서도 세굴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는 추후 수제설치에 따른 효율적인 배치 간격 결정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제들이 시공되는 대다수의 하천들은 어느 정도의 만곡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않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Downwar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하향수제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3-347
    • /
    • 2011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본 실험에서는 하향수제($\theta=135^{\circ}$)를 대상으로 수제간격에 대한 이동상 실험을 수행하여 수제주변 및 수제역 내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폭 1.2m, 길이 50m, 높이 1.5m 인 직선수로에서 수로폭의 15%길이를 갖는 하향수제($\theta=135^{\circ}$) 2개를 대상으로 각각 수제길이의 2~ 8배의 간격 조절을 통해 하상변동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용입자는 중간입경($d_{50}$)이 0.15mm 인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6시간 동안 통수하였다. 실험 결과 수제의 간격이 4배 미만으로 설치되었을 때 전면부 수제에서 발생하는 세굴의 영향이 후면부 수제 설치지점에 연장되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수제간격이 7배 일 경우 전면부 수제에서 발생하는 최대세굴과 같은 세굴심이 관측되었다. 또한 수제간격이 4배이상으로 설치될 경우 후면부 수제에서 독립적인 세굴이 발생하고 있었는데 이는 직각수제 세굴과 동일한 현상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Trapping Efficiency Using VFSMOD: Application to Cheongmi Basin (VFSMOD를 이용한 토사저감효율 산정: 청미천 유역에서의 적용)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8-338
    • /
    • 2015
  •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야기하는 오염원은 오염 배출원이 명확하여 하나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오염원(Point Source)과 오염원이 명확치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하천 유입 이전에 처리장을 거쳐 정화작업이 가능한 반면, 비점오염원은 오염원이 명확치 않아 처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오염물의 양과 이동 경로가 예측이 불가능하고 강우시에는 특별한 처리 없이 하천으로 바로 유입된다. 비점 오염원의 종류는 토사, 영양물질, 유기물질, 농약, 바이러스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하는 질소와 인은 하천으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처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이 제시되어 있으며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중 하천변에 식물체를 설치하여 토양의 유실을 막는 식생대(Vegetative Filter Strip, VFS)가 있다. 식생 밀집 지역의 설치를 통해 표면 유출을 차단하고 토양 유실 감소와 수체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에 VFSMOD-w를 이용하여 강우시 식생대를 통한 토양 유실 감소 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 비교적 수문 및 토양 자료가 풍부한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의 길이와 식생대 내 식물체의 파종간격이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다. 이때, 식물체의 종류는 식물체 파종으로 인해 변화되는 토양의 수정된 Manning의 조도계수로 구분한다. 모든 강우 및 식물체 조건이 동일할 때, 식생대 내 식물의 파종 간격이 좁고 식생대의 길이가 길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식물체의 높이, 식물체의 종류 및 식물의 파종간격이 입력 자료로 요구되나 이 중 식물체의 높이는 토사 저감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식생대의 길이가 0.5 m에서 1.0 m로 2배 증가하였을 때 토사 저감 효율이 두 경우 모두 95% 이상의 효율을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식생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나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토사가 저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식생의 파종 간격이 좁을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더라도 식물체의 성장을 고려한 적절한 파종 간격을 선정하여야 한다. 즉, 식생대의 설치는 적절한 파종 간격 및 식생대 길이를 식생대 설치지역의 강우 특성에 따라 결정지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PDF

Reinforcing Efficiency of Micro-Pile with Precast Retaining Wall (프리캐스트 옹벽 마이크로 파일의 보강 효율)

  • Moon, Changye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7
    • /
    • pp.61-7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ateral resistance of micro-pile system when surcharge load is acting on the back of retaining wall. Both laboratory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xperimental retaining wall model was developed on the laboratory-sized foundation. While surcharge load was acting, the interval and length varied as experimental variables. From the investigation it is known that the micro-pile system can effectively control the lateral displacement which is developed on the precast retaining wall. The effectiveness became increased as the pile interval reduced and the length of pile increased. The greatest reinforcing efficiency was shown when the pile length was 0.5H and the interval was 7D.

  • PDF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Relief Wells Using Geosynthetics Blanket Length as a Parameter in an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농업용 저수지 제방에서 토목섬유 블랭킷의 길이에 따른 감압정의 성능 평가)

  • Ryu, Jeonyong;Kim, Seungwook;Chang, Yongchai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3 no.6
    • /
    • pp.5-17
    • /
    • 2022
  • The performance of the relief well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eepage of the dam embankment is affected by various parameters such as diameter, spacing, penetration rat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ground, thickness of the foundation layer. Therefore, when the relief wells are adopt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seepage pressure, these parameters should be sufficiently reviewed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specifications of the relief wel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length of the geosynthetics blanket on the performance of the relief well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dam embankment with blanket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art of the dam embankment as countermeasure methods to control seepage of the dam embank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upstream and downstream blanket and the discharge, the discharge of the relief wells decreases as the length of the upstream blanket increases, and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of the relief wells decreases as the length of the downstream blanket increases. In the upper and lower blanket length-spacing relationship, as the length of the upstream blanket increases, the spacing of the relief wells increases and as the length of the downstream blanket increases, the spacing of the relief wells decreases.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relief wells in parallel with the blanket,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upstream blanket is more efficient than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downstream blanket in order to minimize the discharge of seepage discharge and to ensure economic feasibility by wider installation of the relief wells.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Upwar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상향수제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44-648
    • /
    • 2012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거나 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기 충분하다. 치수적 목적 이외에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통해 수제의 적절한 간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제간격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직 및 하향군수제 하상변동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향수제($\theta=45^{\circ}$)를 대상으로 수제간격에 대한 이동상 실험을 수행 하여 수제주변 및 수제역 내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자료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흐름집중 증가로 인해 국부세굴이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세굴폭은 수제길이의 3배 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퇴적고는 설치간격이 증가할수록 높게 형성되고 있었다. 연직 및 하향수제자료와 비교한 결과 상향수제는 수제끝단부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세굴에는 불리하나 수제역내 퇴적에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a Characteristics of Flow around Groynes for Groyne Spacing (수제 설치간격에 따른 수제주변 흐름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 Kang, Joon Gu;Yeo, Hong Koo;Roh, Young S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B
    • /
    • pp.271-278
    • /
    • 2006
  • In design of groyne series, groyne spacing is a important factor and have an effect on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backward and recirculation flow in groyne zone but also flow field in main channel. It is necessary study about flow pattern of recirculation zone and main channel that is a cause of bad change, local scour and bank erosion by groyne spacing. In this study, flow variation of groyne zone and main chanel for spacing of groynes were analyzed from the experiment results in order to offer a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d to decide the proper groyne spac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12 cases for groyne spacing(L) by groyne length(l) rate and the velocity profile was measured using LSPIV and ADV. From the results, two vortex flows developed in recirculation zone for L/l=3~9 and three vortex flows developed over L/l=10. The velocity of backward flow in recirculation zone was decreased up to 20% over L/l=4. The velocity of main channel flow was increased from 1.3 to 2.0 times by groyne spacing and the rate of velocity increased by increasing groyne spacing. The maximum velocity occurred in 0.7~0.8 times of groyne spacing downstream of upper groyne.

F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ree trunk rips (나무줄기 돌출줄눈의 흐름저항 특성)

  • Park, Ho kook;Park, Sang Deog;Shin, Se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37-137
    • /
    • 2019
  • 돌출줄눈은 산지하천의 만곡부의 빠른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디자인의 나무줄기 돌출줄눈(Tree Trunk Rip, TTR)과 사다리꼴 돌출줄눈(Trapezoid Rip, TR)의 흐름저항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개수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길이 9m, 폭이 0.6m이며 경사가 0.0035로 고정된 개수로의 한쪽 측벽에 돌출줄눈을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사다리 꼴 돌출줄눈의 형상은 밑변 각이 $63^{\circ}$이며 무차원 설치간격 ${\lambda}_{nv}$가 6, 9, 12인 경우이다. 나무줄기 돌출줄눈의 기본 형상은 사다리꼴이고 표면은 나무껍질 무늬이며 ${\lambda}_{nv}$가 약 10이다. 나무줄기 돌출줄눈의 간격은 사다리꼴 돌출줄눈의 최적 설치 간격 9~12배 범위에 해당되고 평균 마찰계수는 사다리꼴 돌출줄눈의 9~12배의 평균 마찰계수 범위에 포함되었다. 사다리꼴 돌출줄눈의 ${\lambda}_{nv}$가 9, 12일 때의 전체 저항에 대한 형상저항의 비는 평균 $69.4{\pm}5.8%$였으며 나무줄기 돌출줄눈은 $70.2{\pm}2.1%$로 사다리꼴 돌출줄눈과 유사하다. 산지하천 흐름저항을 위한 돌출줄눈 설치에 있어 친환경적 디자인을 고려한 나무줄기가 사다리꼴 돌출줄눈보다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Location of Baffle Blocks in the Sluice Gate (하단방류형 가동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 선정)

  • Cho, Sung Yoon;Jang, Dong Woo;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1-361
    • /
    • 2015
  • 감세블록(baffle block)은 고속의 흐름에서 도수를 유도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를 감세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며 구조물의 크기, 형태, 위치, 조합 등의 변수로 도수가 형성되는 조건을 조절하여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단방류형 가동보에서 고속으로 방류되는 흐름의 Froude 수가 2.5에서 4.5 사이일 경우 발생하는 불규칙한 주기의 진동이 중첩 보강되면 감세하기 어려운 파동을 형성하여 수 Km 동안 지속될 수 있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Peterka, 1984). 이 연구에서는 총 연장 11m, 폭 0.5m의 구형수로에 하단방류형 가동보와 감세블럭을 설치하여 감세블록의 위치가 에너지의 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를 제안하였다. 감세블럭은 높이 2cm, 폭 5cm의 구형단면으로 제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치형 배열하였으며, 가동보로 부터 5.5~8.5cm 지점에서 1cm간격으로 총 5가지 조건으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문 하단에서의 Froude 수가 3.8~3.9를 만족하는 강한 도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 하였고, 유속과 수심은 3차원 유속계와 피에조미터를 이용하여 가동보로부터 0.2m간격으로 하류단 2m 지점까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동보로부터 도수가 발생하여 수위가 안정되는 지점까지의 도수길이는 감세블록을 설치한 경우, 설치하기 전의 1.1m와 비교하여 최소 27.3%에서 최대 81.8%만큼 짧아졌으며 감세블록 보에 가깝게 설치될수록 도수길이는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동보 하류부에서 도수가 발생한 이후 수심이 안정화되는 1m 지점에서, 도수 전후의 비에너지비로 정의되는 도수효율은 감세블록 미설치 시 74.9%이고, 감세블록이 설치된 조건에서는 54.9~60.6%로 감세블록에 의한 에너지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감세 효과가 가장 큰 감세블록 위치는 가동보로부터 6.5cm 떨어진 곳으로 하류단 수심의 약 80%에 해당하는 지점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rapping Efficiency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Cheongmi Stream Using VFSMOD-w (VFSMOD-w 모형을 이용한 청미천 유입 비점오염물 저감효율 연구)

  • Son, Minwoo;Byun, Jisun;Yoon, Hyun-Doug;Jung, Tae-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140-15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etation type,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and rainfall on trapping efficiency of the non-point source water pollution. Numerical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sing VFSMOD-w. It is known from this study that the vegetation having the same value of revised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 shows the similar trapping efficiency in VFSMOD-w. When the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increases twice, the trapping efficiency increases negligibly small under the same condition of rainfall. From this finding, it is also known that most of sediment are removed within a certain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s. It is concluded that the install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 is determin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space of vegetation, and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