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악산

Search Result 24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조선시대 설악산 자연지명의 역사지리적 분석)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1
    • /
    • pp.127-142
    • /
    • 2016
  • This paper analyze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from the historical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analysis materials are Jirijis, old maps and travel records of Joseon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ace rang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and today was different.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was around Daecheongbong Peak nowadays, Ulsanbawi Rock was Mt. Cheonhusan, and north mountain range of Hangyeryeong Pass called Mt. Hangyesan. Region of Mt. Seoraksan and Mt. Hangyesan were devided in Joseon Period. Mt. Seoraksan name was representative in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Mt. Hangyesan and Mt. Cheonhusan. Mountain names were the most in the physical place name. The old name of Hangyeryeong Pass was Osaek Pass in maps of Joseon Period. The popular travel cours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was Baekdamsa Temple-Oseam Temple-Sinheungsa Temple.

  • PDF

Morphology and Genesis of Block Fields o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Kangwon Province, Korea (설악산국립공원에 발견되는 암괴원에 관한 고찰)

  • Park,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653-66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설악산 아고산대에 나타나는 산정형 암괴원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를 제시하였다. 이 암괴원은 산악인들에게는 너덜지대로 너리 알려져 있었으며, 설악산의 북쪽 황철봉과 귀떼기봉에서 대청에 이르는 서북주릉 상 화강암류의 기반암에 암괴원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암괴원은 규모가 클 뿐망 아니라 암괴상에는 풍화쇄설물을 가지고 있는 나마(gnamma)와 그루브(groove)를 비롯한 많은 화학적 풍화에 의한 미지형들이 발견되고 있어 한반도의 제 4기 후반의 기후변화와 지형형성 영력을 연구할수 이는 기후지형학적으로 중요한 연구지역이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추후 발표될 암괴원의 성인과 고기후학적 의의에 관한 논의에 앞서 먼저 분포지역에 대한 소개와 몇 가지 이론적 고찰에 관하여 논의를 제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테일러스, 암괴류 등에 관한 논의가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암괴원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Landsat 영상에 의한 구조선 분석 결과 구조선 밑도는 설악산 지역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암괴원은 대부분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oecology on the Subalpin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Mt. Sorak (설악산 아고산대 식생과 경관의 지생태)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177-187
    • /
    • 2000
  • 설악산의 교목한계선, 왜성변형수, 편형수, 포복형 나무 등 기형 수목 형태는 아고산대의 생태적 점이대에 나타나는 식생 경관으로 지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자연유산이다. 아고산대의 기형 수목 형태는 주로 저온, 강풍, 건조 그리고 적설 등 겨울 기후와 관련되지만 다른 계절과도 관계된다. 설악산의 눈잣나무는 세계적 분포 남한계선으로 생물지리적으로 가치가 높으며, 아고산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외관형을 나타낸다.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과 경관은 과거의 자연환경 변천사를 복원하고, 현재의 환경을 이해하고, 미래의 환경 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는 지표로서도 중요한 자원이다. 차후 환경 변화에 따른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과 경관의 변화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PDF

설악산국립공원 등 6건 계획변경 고시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27
    • /
    • pp.46-51
    • /
    • 1984
  • 건설부는 자연공원법 13조에 의거 설악산국립공원기획 변경을 비롯한 다음 6 개국립 공원의 계획을 6월 30일자로 변경고시 하였다.

  • PDF

Present States and Management Proposal of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국립공원의 현황과 관리개선방안)

  • Lee, Kyong-Jae;Kim, Gab-Tae;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4
    • /
    • pp.535-557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은 1965년에 천연보호구역, 1970년에 국립공원 제 5호, 1982년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보존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이다. 우리 나라 국립공원에서는 물론 다른 자연보존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중요성이 강조된 지역이나 연간 400만명의 이용객이 집중되기도 하는 지역이다. 우리 나라 국립공원은 본래 관광개발을 위해 지정된 동기를 갖고 있어 자연생태계 및 자연경관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합리적인 이용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립공원은 자연보존에 대한 관리는 도외시 한 채 이용객 집중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 시설물, 건축물, 각종 오염에 대한 대책마련도 제대로 하지 못하여 국립공원하면 국민은 '등산이나 하고 값싼 음식점과 여인숙 수준의 숙박시설이 있는 관광지'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지난 30년간 압축고도성장을 해 온 우리 나라는 국토의 자연환경이 수없이 훼손되고 또한 옥외 레크레이션활동의 증가로 환경오염이 계속 증가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도 예외는 아니어서 저앗ㅇ부와 등산로 주변생태계, 계곡생태계 등이 오염되어 식물, 포유동물, 물고기, 곤충 등에 영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대피소, 휴게소, 숙박시설을 중심으로 한 오염행위는 계속 늘어만 가고 있다. 이제 설악산국립공원은 거의 위기상황에 도달된 느낌이다. 이런 시기에 환경생태학회 국립공원분과위원회 회원들은 `96년 외설악 지역, `97년 내설악지역을 2년 동안 각 분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지난 12년간 외부의 지원도 없이 연구비를 자체 조달하여 힘들게 국립공원 연구를 진행하여 온 일환으로 설악산국립공원 조사를 2년 동안 수행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96년 가을 북한공비침투로 많은 지역에 대한 출입이 통제되어 외설악연구의 일부가 누락되었음을 첨언한다. 본 글에서는 2년 동안 본 회원들이 조사한 내용에 의해 설악산 국립공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관리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terion (vii) of World Heritage and Identifying Values in Criterion (vii) for Mt. Seoraksan in the Tentative List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과 잠정목록 상에 있는 한국 자연유산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설악산을 중심으로)

  • Sung, Hyo Hyun;Kim, Jisoo;Suh,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1
    • /
    • pp.1-21
    • /
    • 2016
  •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values of criterion(vii) and to consider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riterion (vii) of UNESCO World Heritage to Mt. Seoraksan Natural Reserv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criterion (vii) and justifications of World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114 Natural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listed between 1978-2015, detailed values of the criterion and their applied cases were categorized into 10 values. Based on this category, values were drawn that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and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criterion (vii) in three aspects. First, the value of visuality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due to its abundance of Scenic Sites, which means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area with natural beauty by government. Second,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in that it shows all kinds of granite landform in a relatively limited area. Finally,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gain applied due to its overall mountainous river landscape.

  • PDF

Analysis for Behavior of Rockfall Movement by Cheonbuldong Valley of Se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서 발생된 낙석 거동분석)

  • Cho, Yong-Sung;Kim, Yo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5
    • /
    • pp.49-55
    • /
    • 2010
  • The large scale rock falling had occurred on 22nd February, 2007 in the Cheongbuldong valley area of Seoraksan National Park, and the visiting pass had been closed for a while. Similar cases of rock falling have occurred in the latest years according to a great variety of crack, joint, weathering of solid rock and surface water caused by a recent climatic change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this study, rock falling energy was estimated and the movement of rockslide was analysed based on detailed investigation on large scale rockslides occurring at the spot 80 m high from the bottom of the valley. From analysing results,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 for rock falling was proposed. The method could minimized the dangerous factors with no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of the National Park.

Herpetofauna in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

  • 박병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184-190
    • /
    • 1997
  • Herpetofauna in Soraksan National Park was carried out both Apr. 27, Apr. 28, 1996 and Aug. 19, Aug. 20, 1996. 6 stecies of 4 Families in Amphibian and 2 species of 2 Families in Reptilian were observed in this survey. It was observed relatively poor biota to other National Park that caused to excessive visitor and impacts by divelopments. Onychodactylus fischeri which was revealed Specific Endangered Animal assigned by Minister of Environmemt distributed abundantly along the Chohangnyong. So Chohangnyong should be conserved by prolonging the Year of Natural Rest.

  • PDF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외설악의 멸종위기 식물)

  • 김용식;김선희;강기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205-210
    • /
    • 1997
  • The twenty eight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of Oesorak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by Lee et al.(1996). Most of the populations of the investigated plants are located in the vicinity from the mountain trails which is the destruction pressures high. Also these plants are envisaged from the possible collections for both edible and medicinal purposes by local peoples, so the conservation strategies at the levels of habitat and species must be prepared. Taxuscaespitosa of Taxaceae has very few individuals and the status of the habitats envisaged serious problems from tramplings.

  • PDF

환경 교육적 측면에서 본 설악산 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기능에 관하여

  • 조태동;조현주;신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1-63
    • /
    • 2003
  • 설악산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천연보호구역과 생물권보전지역이 중복되어 지정되어 있으며, 자연공원법 상 자연보존지구도 가장 넓은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전적 측면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데, 그것은 그만큼 다양한 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며 가치 또한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관찰로는 다양한 자원에 대한 이해와 보전을 통한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조성된 자연관찰로는 기존한 등산로에 조성되어 있고. 해설안내판 역시 타 국립공원과 차별화되어 있지 못하여 이용자의 인지도나 매력도가 매우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설악산 국립공원의 적절한 자연관찰로에 대한 조성안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흥미로우며,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