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공간

Search Result 6,35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udy on Planning for Accommodation Area of Accommodation Barge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Kang, Young-Hun;Lee, Han-Seok;Doe, G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38-339
    • /
    • 2011
  •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 지원선 중 작업자들에게 전용거주시설을 제공하는 생활바지선 거주구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의 거주구는 '작업자영역', '서비스영역', '승무원영역', '업무영역'으로 공간을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0척의 생활바지선 일반배치도(GA)를 조사하여 거주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양플랜트 거주구 설계시 가장 많이 참조되는 ABS, NORSOK 등 해외선급협회에서 제시하는 해양플랜트 거주구 공간설계지침을 분석하여 생활바지선에서 거주구 공간계획에 적용하기위한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생활바지선 거주구 설계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을 대상으로 데크별 공간배치와 동선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주구 설계모델의 객실, 식당, 주방, 휴게공간 그리고 위생시설 등 주요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을 실시하고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조선업계에서도 생활바지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거주구 공간설계기술의 부족으로 외국 설계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우선 한국선급협회에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을 위한 설계지침을 시급히 만들어야만 한다.

  • PDF

A study on the ergonomic design of the cockpit interior space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창민;김영준;이종선;박세권;유희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45-162
    • /
    • 1993
  • 조종실은 항공기-조종사 시스템에서 항공기와 조종사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공유영역으로서, 조종사의 인간성능 특성과 조종업무 특성의 체 계적 반영이 요구되어 진다.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조종실은 조종 편이성, 운용성 및 비행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항공산업 육성의 초기 단계에 있는 국내 에서는 항공기 장비성능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조종실에 대한 인간 공학적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조종사의 인간요소특성에 적합한 조종실 공 간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의 체계적 추출 및 계층적 구조 설정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체측정요소의 정의 및 계층적 구조 설정, -설계요 소의 특성 파악을 위한 설계요소간 연관관계 분석, -설계요소와 인간요소간의 연관 관계 분석, -기존 전투기, 훈련기의 설계 제원 현황 및 설계지침 파악, -한국인 인체 측정자료의 Data Base화,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로는 143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들 간의 연관관계 Matrix 분석을 통하여 선행/병행/후행 설계요소 및 설계요소의 중요도가 파악되었다. 조종실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간 측정요소로는 133개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 와 인간요소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설계요소별로 고려되어질 인간요소를 분석 하였다. 또한 설계요소와 관련된 다른 설계요소, 인간요소 및 인체측정치, 설계지침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the Design Space Feasibility Using the Response Surface and Kriging Method (반응면 기법과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설계공간의 타당성 향상)

  • Ku, Yo-Cheon;Jeon, Yong-Heu;Kim, Yu-Shin;Lee,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2
    • /
    • pp.32-38
    • /
    • 2005
  • In this research, a procedure to improve the feasibility of design space is proposed by an approximation model. The Chebyshev Inequality is used as the criterion of modification of design space. This procedure is applied to the aero-elastic transonic wing design problem and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 space is greatly improved. Also the optimization results are improved by appling this procedure. That is, the probability to satisfy all imposed constraints is increased and the better design points are included in design space after this procedure. And the use of both a second-order response surface model and the Kriging model is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accuracy, efficiency, and robustness as approximation models in this procedure for different sampling methods. As a result, the second-order response surface model is more appropriate for our application than the Kriging model, because it is linear enough to be fitted well by the response surface model.

Extending the Design Space of Adder Architectures and Its Optimization (향상된 설계공간을 갖는 혼합 가산기 구조와 최적화)

  • Lee Deok-Young;Lee Jeong-A;Lee Jeong-Gun;Lee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19-32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캐리 전달 방식(carry propagation scheme)이 단일 가산기 설계를 위하여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가산기 구조물 제안하며. 이를 통하여 보다 향상된 delay-area trade-off 점들을 갖는 설계공간을 생성한다. 제안된 구조의 가산기는 각기 다른 캐리전달 방식의 하부 가산기 블록들을 캐리 입/출력 신호를 선형으로 연결한 구조이며, 기존의 단일 캐리전달 방식의 가산기와 달리, 다양한 delay-area trade-off 특성을 갖는 여러 종류의 캐리전달 방식을 비트 수준에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섬세한 delay-area 설계공간을 생성해낼 수 있다. 그러나, 제안된 가산기 구조의 설계공간은 다양한 캐리전달 방식이 비트 수준에서 할당되므로, 할당가능한 설계 조합은 설계하고자 하는 가산기의 비트 폭과 고려하는 캐리전달 방식의 수에 비례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안된 가산기의 효율적이며, 자동화된 설계공간 탐색 방범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 선형 프로그래밍 (Integer Linear Programming, ILP) 방법을 이용하여 제안한 가산기의 최적화 문제를 형식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설계공간의 탐색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based on BP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BP 신경 망 기반 유치원 공간 설계)

  • Liao, PengCheng;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1-10
    • /
    • 2021
  • In the past, designers relied primarily on past experience and reference to industry standard thresholds to design spaces. Such design often results in spaces that do not meet the needs of us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way of generating design parameters by constructing a BP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spatial design. From the perspective. This paper adopts an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to take a kindergarten with a large number of complex needs in space as the object of study, and through the BP neural network algorithm in machine lea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behavior parameters and spatial design parameters is imprinted. The way of generating spatial design parameters is studied. In the future, the corresponding spatial design parameters can be derived by replacing specific environmental behavior influence factors, which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of scenario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esigners.

The Design of Middleware Components for Updata of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분산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위한 미들웨어 컴포넌트의 설계)

  • 정민규;조대수;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9-1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가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되어 있을 때,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동시에 변경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설계한다. OpenGIS 구현 명세에는 변경을 위한 미들웨어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OLE DB 데이터 제공자의 변경 인터페이스 사용을 고려 할 수 있으나, 공간 관련성을 가지는 공간 객체의 특징을 반영하고 협동 작업을 통한 동시성 지원을 위해서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으로는 클라이언트가 미들웨어를 통해서 분산된 공간 데이터에 대한 변경 작업 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분산된 공간 데이터 변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 제공가작 미들웨어를 통한 분산 공간 데이터 변경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분산된 공간 데이터의 확장 잠금 기법을 통한 일관성 제어와 협동 변경 트랜잭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분산 환경을 고려한 변경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 PDF

A Classified Space VQ Design for Text-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문맥 독립 화자인식을 위한 공간 분할 벡터 양자기 설계)

  • Lim, Dong-Chul;Lee, Hanig-Sei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6
    • /
    • pp.673-680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nhancement of VQ (Vector Quantization) design for text 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In a concrete way, we present a non-iterative method which makes a vector quantization codebook and this method performs non-iterative learning so tha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epochally reduced The proposed Classified Space VQ (CSVQ) design method for text 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is generalized from Semi-noniterative VQ design method for text 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CSVQ contrasts with the existing desiEn method which uses the iterative learninE algorithm for every traininE speaker. The characteristics of a CSVQ design is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the non-iterative learning by using a Classified Space Codebook. Second, a quantization region of each speaker is equivalent for the quantization region of a Classified Space Codebook. And the quantization point of each speaker is the optimal point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speaker in a quantization region of a Classified Space Codebook. Third, Classified Space Codebook (CSC) is constructed through Sample Vector Formation Method (CSVQ1, 2) and Hyper-Lattice Formation Method (CSVQ 3). In the numerical experiment, we use the 12th met-cepstrum feature vectors of 10 speakers and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method, changing the codebook size from 16 to 128 for each Classified Space Codebook.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 is 100% for CSVQ1, 2. It is equal to the recognition rate of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the proposed CSVQ design method is,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maintaining the recognition rate, new alternative proposal and CSVQ with CSC can be applied to a general purpose recognition.

Design Space Exploration of the Hall Effect Thruster for Conceptual Design (홀추력기 개념 설계를 위한 설계 공간 탐색)

  • Kwon, Ky-Beo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133-1140
    • /
    • 2011
  • Current design process for the Hall effect thruster has relied on expensive experimental method based on the limited historical data. In this study, a proper design space for the Hall effect thruster is chosen and associated design space exploration is conducted based on a recently proposed numerical method in order to improve current design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sign space exploration, performance envelope is determined for the given design spac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performance metrics are analyzed. Further analysis shows that main factors in performances for the Hall effect thruster are the anode mass flow rate and the discharge voltage.

Design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Based on PHR.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 Shim, Jae-Sung;Park, Seok-Che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568-5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과 만성질환 및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식당, 커피숍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기능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Design of Spatial Relationship for 3D Geometry Model (3차원 기하 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연산 설계)

  • 이동헌;홍성언;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1-37
    • /
    • 2004
  • GIS 분야에서 다루는 공간 데이터는 대부분 2차원의 데이터이다.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3차원 객체의 2차원 정보만을 취하거나 혹은 2차원 공간으로 투영하는 등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방법은 정보의 손실로 인한 데이터 활용범위가 축소되고, 현실 공간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저장, 관리 가능한 DBMS가 개발되고, 3차원 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가고 있다. 하지만 3차원 데이터를 단순 저장만 가능할 뿐 공간 연산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간 관계 연산을 설계하였다. 공간 데이터 모델로는 OGC에서 제시한 GML3에서 정의하는 모델을 사용하였고, 공간 관계 연산에 대한 설계 도구로는 공간 관계를 연산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진 DE-9IM을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