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 배열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duction Mechanism of Planar Arrangement in Cholesteric Liquid Crystals (콜레스테릭 액정의 Planar 배열 유도 메카니즘)

  • Jung, Gap-Ha;Lee, Mong-Ryong;Seo, In-Seon;Song, Ki-Gook
    • Polymer(Korea)
    • /
    • v.35 no.3
    • /
    • pp.272-276
    • /
    • 2011
  • The induction mechanisms of planar arrangements in cholesteric liquid crystals (CLC) which showed selective reflections of visible light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selective reflectivity and FTIR peak intensity of $C{\equiv}N$ stretching band. Although the planar arrangement of CLC was not as perfectly induced as the cases prepared with using alignment layers, it could be also induced by stretching polymer substrate or by applying shear forces. The planar arrangements were induced by forming CLC helical structures on top of liquid crystal molecules which wer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and oriented all in the same direction.

Squint-less Phased Array Antenna Near-field Subwavelength Focusing with True-time Optical Delay Line (광 지연선로를 이용한 스퀸팅이 없는 위상배열 안테나의 근접장 서브파장 포커싱)

  • Jung, Young Ji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0 no.3
    • /
    • pp.94-100
    • /
    • 2019
  • The near-field subwavelength squint-less focusing system of a phased array antenna is designed and demonstrated by numerical simulation. The Huygens-Fresnel principle is applied to numerical simulation for calculation of the phased array antenna at microwave frequency. It was shown that beam squinting can be eliminated, utilizing true-time optical delay lines based on a chirped fiber grating in the proposed system. Furthermore, subwavelength focusing with high numerical aperture can be achieved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rray elements of the phased-array antenna can be treated as diffractive elements in an optical lens system. Also, side lobes can be suppressed by de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element antennas to less than half of the wavelength.

Influence of Combustion Flame on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Vertical-Model Power Lines (수직배열 모델 전력선의 절연파괴 특성에 미치는 화염의 영향)

  • Park, Kwang-Seo;Kim, In-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4
    • /
    • pp.85-92
    • /
    • 2008
  • Occurring forest fire or burning bushes beneath overhead transmission lines have caused breakdown disturbances of the system in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experiments for flashover characteristics in the simulated condition of vertical power lines were conducted so as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in insulation strength caused by combustion flame. A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flame can reduce breakdown voltages of the model lines according to height(h) of flame. The breakdown voltages were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height(h) of flame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reduction of flashover levels, in comparison with the no-flame case, are 46.2[%] for h=9[cm] and 62.5[%] for h=3[cm] when ac voltage is applie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Sleeve-gun Arrays in Marine Seismic Survey (해양 탄성파 탐사에서 슬리브건 배열의 방향 특성)

  • Yoo, Hai-Soo;Yang, S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71-80
    • /
    • 1996
  • Characteristics of sleeve-gun arrays installed on the R/V Onnuri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urvey data. In the case of cluster array, the beam width in the frequency range up to 814Hz is constant as $179.5^{\circ}$, and rapidly narrows in the frequency range of 814-1631Hz. However, in the case of long and wide arrays, as the frequency increases, the beamwidth decreases. The optimal frequency is 69Hz. the main lobe of vertical inclination has its maximum amplitude at phase angle $0^{\circ}$. The optimal frequency of cluster array which produces little side lobe is less than 1631Hz, and those of long and wide arrays are less than 108Hz. As a result, the cluster array produces a good source for high-resolution seismic survey, while the long and wide arrays are suitable for the survey of deep structures. The final high-resolution seismic section with cluster array was compared with that of long and wide arrays.

  • PDF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와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

  • Jang, Seong-Su;Ju, Gwang-Hy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6.2-196.2
    • /
    • 2012
  • 본 논문은 달착륙선의 개념설계를 위하여 고려한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달착륙선의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달착륙선의 임무특성을 고려하여 전력시스템의 구조를 검토하고, 극한의 온도환경에서 달착륙선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배열기와 배터리의 용량, 그리고 전장품의 용량을 설계하였다. 특히 경량의 달착륙선 개발을 위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 배열기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검토하였다. 극한의 우주환경에서 태양전지배열기의 동작특성을 검토하고 생성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분석하여 최적의 태양전지 배열기의 면적을 분석하고, 장시간의 월식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방전특성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유럽에서 개념설계 중인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사양과 용량에 대해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현재 개발중인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설계와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의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지상검증용 전력시스템은 태양전지배열기의 장착 없이 배터리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달착륙선 지상시험모델의 비행시간과 임무에 따른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선정하였으며, 부하의 전력을 고려하여 간단한 보호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지상검증용 전원시스템은 추력기의 밸브구동을 위한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DC/DC 컨버터 전원 모듈, 모니터링 모듈, 그리고 위급상황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Emergency STOP"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PDF

X-선 검출기의 이득 보정 및 신호처리회로 구성

  • 남욱원;최철성;문신행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22-22
    • /
    • 1993
  • 천체 B-선 관측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X-선 비례계수관을 실험실형으로 재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X-선 검출기의 구조는 10 $\times$ 20 $\times$ 2cm3 인 검출체적내에 10개의 전극선이 설치되어있는 다중선 비례계수관이며, 검출가스로서 Argon(90%) + CH4 (10%)인 g혼합가스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 5.9 keV에 대한 에너지 분해능은 16%를 얻었으나, 정상적인 전극연결방법에서는 검출기 끝측에 위치한 전극에서 생기는 electric field 변형매문에, 양극선 배열방향에서 조정된 이득의 군일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선들의 각 전극선에 전압보상법(voltage compansation method)을 적용하여 검출기 전반에 걸친 이득의 균일성을 2 % (rms 값) 이내로 보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신호처리회로 중 에너지분석을 위한 파고분석기, 비 X-선 재거를 위한 상승시간선별기(rise-time discriminator)등을 제작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한 전반적인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유동 방향으로 나열된 두 실린더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력특성 분석

  • Lee, Jong-Yun;Kim, Jeong-H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22-624
    • /
    • 2016
  • 교량의 케이블이나 송전선같은 원형 구조물들은 유동의 불안정성에 의해 물체 후방에 Vortex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Vortex는 구조물에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형 구조물들의 배열에 따른 해석을 진행하였다. 같은 크기의 두 원형 실린더를 주 유동 방향으로 정렬시킨 배열을 EDISON 전산열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두 원형 실린더의 중심의 거리를 1.5 D부터 5 D까지 변화시켜가며 거리에 따른 각 실린더의 Drag coefficient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원형 실린더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후류 쪽에 위치한 실린더의 Drag coefficient의 값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Morphological Changes of Salivarv Gland in the Lucilio illustris during the Pupation (연두금파리 용화에 따른 타액선의 형태 변화)

  • 박의석;김관선문명진김우갑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3
    • /
    • pp.395-403
    • /
    • 1992
  • 화에 따른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Meigen) 타액선의 미세구조 변화와 타액선 내부에 함유된 분비물질의 형성과정 및 물질의 성분을 전자현미경 및 효소세포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 다. 종령유충기의 타액선은 식도의 좌우에 위치한 한쌍의 반투명한 관으로 단층으로 배열된 편평형의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세포질에는 조면소포체와 골지복합체가 풍부하였고, 세포내 물질의 생성이 매우 활발하였으며, 세포질내에 축적된 분비과립은 부분분비에 의해 배출되었다. 전용기의 타액선은 세포가 비후해짐에 따라 타액선의 내감이 줄어들며 타액선의 길이도 감소하였으며, 세포질내 조면소포체의 양적 감소와 대형분비과립의 형성이 현저하였다. 용기에는 대형의 자식성 액포들이 황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유충시기의 타액선이 변태과정을 거치며 퇴화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타액선 세포에 대한 acid phosphatase외 반응은 주로 내강면에 인접한 리소조옴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종령유충 시기의 타액선 세포질내 지질성분은 주로 기저부에 존재하였으나, 용 형성 48시간 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An analysis of Phase Array using EMTDC (An analysis of ${\pi}$-Branch Transmission Line Unbalance) (EMTDC를 이용한 송전선로 상배치 분석 (${\Pi}$분기 선로 불편형 분석))

  • Han, Jeong-Ye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5-347
    • /
    • 2006
  • 신설 선로와 기존 선로와의 계통 연계시 상 배치에 따라 연계 후 발생하는 급격한 영상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지락계전기의 동작 같은 계통에 악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논문은 송전선로의 연가철탑을 이용한 역상배치 시행여부에 따른 계통 해석과 상시 불평형률을 문경 변전소 신설에 따라 10월 가압 목표로 시공 중인 송전선로의 $1{\pi}$분기와 관련하여 ${\pi}$분기시의 이상적인 송전선로 상 배열을 분석한다.

  • PDF

금속선을 삽입한 Nitramine계 추진제의 연소특성

  • 유지창;박영규;현형수;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31-31
    • /
    • 1999
  • 로켓 모터 내에서 높은 충전률을 유지하면서 연소면적을 증대시켜 추력기체 생성량을 증대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금속선, 필라맨트, strip, rod 등의 열전도체와 hollow fiber를 단면연소 그레인에 삽입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1950년대 ARC의 Rumbel에 의해 PVC와 AP가 주성분인 혼합형 추진제를 대상으로 처음 시도되었으며, Kubota, Caveny, Gossant, King등에 의해 복기추진제와 혼합형 추진제를 대상으로 금속선의 종류, 직경, 형태, 수 및 기하학적 배열 등에 따른 실험적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