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학습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교 저학년 영양교육 학습 자료의 디자인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Design Direc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Early Elementary Students in South Korea)

  • 박유빈;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6
    • /
    • 2015
  • 오늘날 아동 비만의 위험성과 영양불균형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국내에서도 식생활 및 영양정보를 다루는 교육용 콘텐츠·자료 개발이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영양교육과 연계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습득한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올바르고 균형 있는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영양교육 학습 자료를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등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영양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고, 의료·교육·디자인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행될 설문조사를 위한 문항 요소를 도출하여 서울시와 경남 창원시 소재의 초등학교 2곳의 1, 2학년 어린이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저학년 아동은 영양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멀티미디어 기반의 컨텐츠를 활용한 학습 유형과 퀴즈활동을 선호하고, 칼로리 조절 식사에 관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었다. 학습 자료 디자인 요소에 대해서는 주황, 초록 계열의 색과 고딕류 서체를 선호하였으며, 영양에 대한 정보 표현법으로는 실제의 모습과 흡사한 그림체와 수치측량법 사용에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인 1,2학년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자기주도학습 영양교육자료 디자인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소집단 토론과 시각적 학습 양식이 그리기와 쓰기를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화학 개념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Small Group Discussion and Students' Visual Learning Style on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Using Drawing and Writing: Focused on Chemical Concepts)

  • 강훈식;성다연;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6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소집단 토론이 화학 개념 학습에서 제공되는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들의 시각적 학습 양식에 따라 조사하였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 449명을 개별 그리기 집단, 2인 1조의 소집단 그리기 집단, 개별 쓰기 집단, 2인 1조의 소집단 쓰기 집단에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에 대하여 2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개념 이해도 검사 결과, 시각적 학습 양식과 관계없이 개별 그리기 집단보다 소집단 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쓰기 집단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 학생들의 경우 소집단 쓰기 집단의 점수가 개별 쓰기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으나, 시각적 학습 비선호 학생들의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소집단 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소집단 쓰기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많은 학생들이 소집단 그리기와 소집단 쓰기에 대해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인과요인 분석 (An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 임성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92-905
    • /
    • 2002
  • 과학교육에서 흥미나 신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에 대한 강조는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실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과학 관련 진로 기피 현상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과학에 대한 기피가 더욱 심하고 국가사회나 과학교육계에서 관련 연구도 별로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된 정의적 특성을 과학선호도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며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과학선호도는 다차원성을 가진 정의적 특성으로 과학과 과학학습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포함하여 과학 관련 행동 의지와 과학 관련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범주별로 리커트형의 설문을 개발하였다. 또,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개인의 능력이나 성향, 가정환경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학교안 과학교육의 내용과 보상, 학교밖 과학관련 활동과 같은 교육적 요인, 과학기술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나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같은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역시 리커트형 설문 및 자유응답형 질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는 선형회귀분석과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과학선호도 조사 결과 실업고 학생의 과학선호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다. 과학 내용에 대한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가치는 비교적 높으나 과학학습에 대해서, 특히 과제 실행이나 진로 선택 등 과학을 선호하여 행동으로 실천하려는 의지 면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학선호도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은 과학에 대한 감정반응과 행동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적 요인은 과학에 대한 감정반응과 가치확립에 직접 영향을 준다. 한편 교육적 요인은 과학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줌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학선호도의 모든 범주에 고루 영향을 준다.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에 따른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간의 서비스 요구격차 (Differences in Service Needs between Instructor-Learners and Information Managers for Mobile Devices Adoption in Cyber University)

  • 조상용;김종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65-17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오프라인 기반의 사이버대학과 2개의 순수 온라인 기반의 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각 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의 차이점과 해당 대학의 학습자와, 교수자의 이동성매체를 통한 서비스 요구사항들이 정보제공자와 어떠한 격차를 보이는지에 대한 요구격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동성매체 도입에 따른 서비스 요구를 범주화하고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 유형모델을 제시 하였다. 심층면담에 근거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서,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에 대한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 간의 서비스 요구를 9가지 범주(컨텐츠 품질, 적시적 인포메이션 서비스, 교수학습자간 커뮤니케이션, 저작권 문제, 서비스 접근성, 서비스이해도, 서비스 선호도, 서비스 표준화,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간의 컨센서스)로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뷰 결과의 분석을 통해서, 4개의 사이버대학이 중요시 하는 서비스 요구의 범주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의 유형을 '요구적극 반영형', '신중도입 검토형', '경쟁적 도입 반영형', '요구소극적 반영형'으로 분석하였다.

  • PDF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Substitution Class Caused by Coronavirus (COVID-19)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박미마;신지훈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7-86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자료 중 최종 11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주도학습 평균점수 3.32±0.39점, 학업성취도 3.32±0.75점, 학습만족도 3.31±0.78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호하는 학습방법과 학업성취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에게 간호학 교과목을 온라인 강의 운영에는 학습자의 학습방법을 사전에 평가하여 온라인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및 수업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MBTI 일치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한 매칭 적합도 산출 시스템 (Matching Fidelity Calculation System with Weighted MBTI Match Type)

  • 김성호;권오봉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1
    • /
    • 2018
  •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남자와 여자의 만남, 데이트의 방식과 환경을 바꾸어 놓았다. 인터넷과 온라인 안에서 고객이 원하는 대상과의 만남을 위해서 MBTI 일치유형을 고려한다. MBTI 일치유형은 적절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확정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선호유형을 특정한다. 각 MBTI 유형에 따라 선호유형이 다르며, 같은 선호유형이더라도 남자와 여자 각각의 선호유형이 다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남, 녀 각각의 선호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는 둘 사이의 적합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평균을 사용한다. MBTI 일치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한 시스템은 사람들의 사회적인 성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온라인 데이트 시스템에서 매치될 확률이 매우 높으며, 교수학습 시스템, 교정 시스템 등 대인 관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 Lee, Soo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01-108
    • /
    • 2020
  • 추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시에 고객들의 상품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므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할 기능이다. 협력 필터링은 다른 사용자들이 선호하였던 상품이나 현 사용자가 과거 선호하였던 상품들을 위주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법으로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대표적 기법이다. 최근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추천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부여한 평가등급만을 이용하여 딥러닝 기술의 일종인 제한 볼츠만 기계 학습을 통해 협력 필터링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학습의 효율성과 성능을 위하여 학습 파라미터 변경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실험 분석을 통해 기존의 다양한 전통적 협력 필터링 기법들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제안 알고리즘은 기본적인 제한 볼츠만 기계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객의 선호 특성 정보를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Goods Recommendation Sysrem using a Customer’s Preference Features Information)

  • 성경상;박연출;안재명;오해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5호
    • /
    • pp.1205-1212
    • /
    • 2004
  •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보급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의 필요와 욕구에 밀착한 적응형 전자상거래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적응형 전자상거래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하고 자동 분류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학습하는 기능을 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적응형 전자상거래 에이전트를 구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개인의 관심정보와 선호하는 상품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한 적응형 전자 상거래 에이전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매 행위에 적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다 정확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이와 같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검색과정 없이 필요한 상품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하는 모니터 에이전트, 사용자의 행동성향을 학습 한 후 행동 패턴이 유사한 그룹을 참조하는 유사도 참조 에이전트, 사용자의 행위의 변화에 따른 개인화된 행동 DB를 구축할 수 있는 관심 추출 에이전트로 구성하였다.

문제 해결 전략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Instruc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 Solving Strategy)

  • 노태희;여경희;전경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5-64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분자 수준의 그림을 강조하고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제시하는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세 학급(130명)을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전략을 사용하는 집단(St: Strategy), 협동학습 환경에서 전략을 사용하는 집단(St-Co: Strategy-Cooperative learning),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객관식 문제 해결력, 전략 수행 능력,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 유형도 조사하였다. 객관식 문제 해결력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략 수행 능력에서는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단순 효과를 분석한 결과, St 집단의 중위 수준 학생들이 St-Co 집단보다 전략을 더 잘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는 St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업도 St-Co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에 관한 사용자 경험(UX) 질적 평가 (User Experience(UX) Qualitative Evaluation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 이영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23-631
    • /
    • 2020
  • 코로나 19라는 전세계적 위기를 맞이하여 이러닝은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표준과 일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방향적, 교수자 중심적 독백형 이러닝 콘텐츠 분석 평가하였다. 총 20명의 성인 학습자가 참여하였고, 1:1 인터뷰를 통한 사용자 경험 평가를 진행하였고, 질적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대화형 이러닝은 다양한 의견에 공감할 수 있고 새로운 이러닝 형태로 신선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독백형과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에 관한 개인적 선호에 관해 55%의 학습자가 대화형을 선호한다고 답하였고, 실제 경험을 공유하며 참신하다고 답하였다. 한편, 내용 이해 효과성측면에서 선호도는 60% 학습자가 독백형을 선택하였고, 충분한 개념 설명과 정확한 지식 전달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 설계와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