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형 안전성

Search Result 64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ability Analysis of Induction Motor by Lyapunov Function Construction of Matrix Polynominal Type (행렬다항식 LYAPUNOV함수 구성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안전도 해석)

  • 윤병도;우정인;이준탁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 no.4
    • /
    • pp.62-69
    • /
    • 1988
  • 선형 시스템에 대한 Lyapunov 함수의 구성법은 잘 알려져 있으나, 비선형 시스템의 Lyapunov 함수 구성법은 아직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시스템의 안전도 해석을 위하여, 종래의 정상상태 부근에서 Taylor 전개에 의한 선형화 기법에 의존하지 않고, 비선형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태공간의 활동성 모델로부터, 비선형성을 나타내는 항을 분리하여, 특수행렬변환시킴으로서, 선형 시스템의 Lyapunov 함수 구성법을 살린, 행렬다항식형 Lyapunov 함수를 구성하고, 이를 유도전동기의 안전도 해석에 적용시켰다. 그 결과, 구해진 안정영역은, 선형화에 의한 것보다는 훨씬 넓은 초공간으로 표현되는 유도전동기의 점근안정영역이 되었다.

  • PDF

A proposal on High Speed Hash Algorithm(HAVES) (고속 동작 가능한 해쉬 알고리듬(HAVES)의 제안)

  • 윤호선;류종호;김락현;윤이중;염홍열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8 no.4
    • /
    • pp.3-20
    • /
    • 1998
  • 해쉬 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메세지를 규정된 길이의 값으로 압축하는 알고리듬으로 메시지 정보의 무결정 , 사용자 인증, 바이러스 침투 예방에 응용될 수 있는 핵심 보안 알고리듬이다. 또한 안전한 해쉬 함수는 일방향성, 충돌회피성, 고속 동작성 등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 본 노눈에서는 응용에 따라 128, 160, 192, 224, 256 비트 길이로 출력을 생성하고 암호학적으로 강력한 안전성을 지닌 해쉬 알고리듬(HAVES: Hash Algorithm with Variable IEngth Speed)을 제안한다. 이 해쉬 알고리듬은 메시지 블록을 1024비트 단뒤로 처리하고 연산의 효과적인 배열을 통해 비교적 빠른 속도로 동작한다. 제안하는 해쉬 알고리듬은 0-1 균형성(Balancedness), 높은 비선형성(Nonlinearity), 구조적인 선형 비등가성 (Linearly Inequivalent), 상호 출력 무상관성(Mutually Output Uncorrelated), SAC(Strict Avalanche Criterion)를 모두 만족함으로서 효율성과 안전성을 도모한다. 더불어 안전성이 요구되는 실용적인 응용에 맞게 출력 길이를 가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크레인 하중을 받는 강재 격납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 서용표;김우범;이경진;송윤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844-85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개방구(opening)을 갖는 원자력발전소 강재 격납구조물의 내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존의 실용 구조설계에 적용된 개구부가 없는 원통형 쉘의 좌굴 판정 기준이 적절하지 않음을 밝혔으며, 대안으로서 개방구(opening)를 갖는 원통형 강재 격납구조물의 재료적 비선형과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극한 내력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중기발생기 교체작업시 유발되는 인양 하중에 대한 격납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개방구를 갖는 격납구조물에 대하여 stiffner가 있는 상태에서 크레인 하중에 대한 극한 내력을 평가해본 결과 크레인 하중이 재하될 경우, 구조물이 선형 탄성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방구 주위의 국부적인 항복응력도달 상태에 대하여 10.8의 안전율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개방구를 갖는 강재 격납구조물의 극한내력 평가 방법은 유사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Structural Safety of Linear Actuator for Flap Control of Aircraft (항공기 플랩 제어를 위한 선형 구동기의 구조 안전성 평가)

  • Kim, Dong-Hyeop;Kim, Sang-Wo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3 no.4
    • /
    • pp.66-73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basic design for the linear actuator for the flap control of aircrafts. The kinetic behavior of the linear actuator was determined using the multi-body dynamics (MBD) analysis, and the contact force was calculated to be used as input data for the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structural analysis, the thermal and static behaviors of the linear actuator satisfying the designed velocity were examined, an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linear actuator evaluated. Moreover, the dynamic behaviors of the key components of the linear actuator were investigated by the modal analysis. The actuation rod linearly moved with about 5 mm/s when the motor operated at 225 rpm and the maximum contact force of 32.83 N occurred between two driving gears. Meanwhile, the 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ximum thermal and static stresses were 1.57% and 78% of the yield strength of steel, respectively, and they were in a safe range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linear actuator for the basic design is stable to the resonance by avoiding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components.

CCC-NSG : A Security Enhancement of the Bluetooth $E_0$Cipher using a Circular-Clock-Controlled Nonlinear Algorithm (CCC-NSG : 순환 클럭 조절된 비선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루투스 $E_0$암호화시스템의 안전성 개선)

  • Kim, Hyeong-Rag;Lee, Hoon-Jae;Moon, Sang-J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7C
    • /
    • pp.640-648
    • /
    • 2009
  • Summation generator with high period and high linear complexity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simple hardware or software and it is proper to apply in mobile security system for ubiquitous environments. However the generator has been some weaknesses from Dawson's divided-and-conquer attack, Golic's correlation attack and Meier's fast correlation attac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version($2^{128}$security level) of $E_0$algorithm, CVC-NSG(Circular-Clock-Controlled - Nonlinear Summation Generator), which partially replaces LFSRs with nonlinear FSRs and controls the irregular clock to reinforce it's own weaknesses. Finally, we analyze our proposed design in terms of security and performance.

Provable Security for New Block Cipher Structures against Differential Cryptanalysis and Linear Cryptanalysis (새로운 블록 암호 구조에 대한 차분/선형 공격의 안전성 증명)

  • Kim, Jong-Sung;Jeong, Ki-Tae;Lee, Sang-Jin;Hong, Seok-Hi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7 no.1
    • /
    • pp.121-125
    • /
    • 2007
  • Differential cryptanalysis and linear cryptanalysis are the most powerful approaches known for attacking many block ciphers and used to evaluating the security of many block ciphers. So designers have designed secure block ciphers against these cryptanalyses.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three block cipher structures. And for given r, we prove that differential(linear) probabilities for r-round blockcipher structures are upper bounded by $p^2(q^2),\;2p^2(2q^2)$ if the maximum differential(linear) probability is p(q) and the round function is a bijective function.

Comparison of Resistance Performance of U,V Type Catamarans Carferry by CFD Analysis (CFD 해석을 통한 U,V타입 쌍동선형 차도선의 저항성능 비교)

  • Lee, Jung-Ho;Seo, Kwang-Cheol;Kim, In-Cheol;Oh, Jung-M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04a
    • /
    • pp.253-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연륙연도 사업에 대응하는 경제성 및 안정성을 갖춘 쌍동선형 차도선의 개발을 위해 U형과 V형의 서로 다른 쌍동선형을 CFD 해석을 수행하여 저항성능을 비교하였다. CFD 해석 결과 U형 쌍동선형의 경우 14kts 이상의 고속에서 선수부 파형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하다 판단되었으며, 이에 비해 V형은 동일한 속도에서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또한 U형 쌍동선형 대비 V형 쌍동선형의 경우, 저속에서는 U형 대비 높은 침수표면적에도 불구하고 거의 같은 $R_{TS}$값을 보이지만, 고속으로 넘어가면 U형에 비해 확연히 낮은 $R_{TS}$값을 보임을 확인, V형의 쌍동선형이 U형에 비해 저항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비선형함수와 해쉬함수

  • Cho, Han-Hyuk;Hwang, Seok-Geun
    • Review of KIISC
    • /
    • v.4 no.2
    • /
    • pp.18-22
    • /
    • 1994
  • 함수 f(x) : GF$(2)^n $\longrightarrow$ GF$(2)^n 은 부울함수인 n개의 좌표함수를 사용하여 f= $(f_1,f_2,...f_n)과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이때, 함수 f(x)의 암호론적 안전성은 f(x)의 좌표함수들의 안전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제 주어진 함수의 비선형성을 부울함수들의 비선형성을 통해 살펴보고, 또한 비선형함수와 해쉬함수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 PDF

파괴강도해석 및 설계기법

  • 이억섭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30-3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선형파괴역학의 관점에서의 파괴강도해석 기법들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논의하였다. 파괴강도해석을 위하여 규정되어야 할 파라메타들의 결정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들 파라메타들을 파괴강도설계에 적용시키는 과정들을 압력용기를 예를 들어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선형파괴강도해석을 근간으로 한 파괴강도설계 방법으로 구조물을 설계하면 파괴응력에 대한 안전계수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제고된 구조물을 설계.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Nonlinear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under Dynamic Excitation Using SFEM (추계론적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동하중을 받는 비선형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 Huh, Jungwo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3 no.3
    • /
    • pp.373-384
    • /
    • 2000
  • To assess the safety of nonlinear steel frame structures subjected to short duration dynamic loadings, especially seismic loading, a nonlinear time domain reliability analysis procedure is proposed in the context of the stochastic finite element concept.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combined with concepts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 the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and the iterative linear interpolation scheme. This leads to the stochastic finite element concept. Actual earthquake loading time-histories are used to excite structures, enabling a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loading conditions. The assumed stress-based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used to increase its efficiency. The algorithm also has the potential to evaluate the risk associated with any linear or nonlinear structure that can be represented by a finite element algorithm subjected to seismic loading or any short duration dynamic loading. The algorithm is explained with help of an example and verified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