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형 곡률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유연도법에서의 기하학적 비선형 모델 (Geometrically Non-linear Model in Flexibility Method)

  • 권민호;김진섭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3-66
    • /
    • 2011
  • 유연도법 기반의 공식화에서는 변위영역의 형상함수를 라그랑지언(Lagrangian)보간법에 의한 곡률로부터 횡방향 변위를 유도한다. 곡률변위보간법으로 유도한 매트릭스를 사용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방법과 강성도법을 기반으로 한 비선형 기존의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비교하여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Spacone의 이론을 확장시켜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유연도법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예제를 통하여 실제 문제에 대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모멘트-곡률 관계에 기초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재료비선형 해석 (Material Nonlinear Analysis of RC Beams Based on Moment-Curvature Relations)

  • 곽효경;김지은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295-307
    • /
    • 1998
  •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해서 인장강화효과의 소성힌지길이를 고려한 재료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해석에서 자유도가 많은 대형구조물에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복잡한 층상해석기법을 사용하는 대신 단면해석을 통해 미리 구성된 모멘트-곡률 관계를 이용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에서 사용요소의 크기에 따른 수치해석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인장강화효과와 소성힌지길이 개념을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해석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석결과와 실험결과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부상화염에서 화염전파속도에 따른 스칼라소산율과 곡률반경에 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the Scalar Dissipation Rate and the Flame Curvature with Flame Propagation Velocity in a Lifted Flame)

  • 하지수;김태권;박정;김경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6-52
    • /
    • 2010
  • 삼지화염의 화염안정화 메커니즘 중 중요한 한 가지는 화염전파속도이다. 화염전파속도의 정량적인 규명을 위해 Bilger는 층류 유동이론에 근거하여 혼합분율 기울기에 비선형적으로 연관된 삼지화염전파속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화염의 곡률 반경과 스칼라소산율에 따른 삼지화염 전파속도에 관하여 논의된 바가 없으며, 본 논문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화염전파속도에 따른 화염의 곡률반경과 스칼라소산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결과로 연료의 노즐 출구속도에 따라 화염전파속도가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 화염전파속도에 따라 스칼라소산율은 비선형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곡률반경은 거의 선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 스칼라소산율에 따른 곡률 반경의 경우 비선형적인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화염전파속도와 스칼라소산율 및 화염의 곡률반경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Elastic Stability of Thin-Walled Arches subjected to Uniform Bending - Linear Bending Normal Strain Distribution -

  • Ryu, Hyo-Jin;Lim, Nam-Hyoung;Lee, Chin-Ok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균일 모멘트 하중을 받는 박판 아치의 탄성 좌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기 곡률을 고려한 비선형 변형률-변위 관계식을 전체 포텐셜 에너지 방정식의 이차 변분에 대입하여 초기 곡률 효과를 포함하는 에너지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휨 모멘트에 의한 단면 내 법선 변형률이 선형으로 분포한다는 초기 곡률 효과에 대한 가정사항을 유도과정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균일 모멘트 하중을 받는 아치의 휨-비틀림 좌굴하중에 관한 제차해를 제시하고 타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유한 물체 거리를 갖는 2 반사경계의 곡률 선형 방정식 (Curvature Linear Equation of a Two-Mirror System with a Finite Object Distance)

  • 이정기;임천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23-427
    • /
    • 2005
  • 본 연구는, 원리적인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실제 설계과정에서 잘 적용되지 않는, 자이델 3차 수차를 간편하게 다룰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유한 물체거리를 갖는 2 반사경계에 대해 자이델 3차의 구면수차계수를 유도한다. 여기서, 유도된 구면수차계수는 고차의 비선형 방정식으로 표현되는데, 그 구성은 설계변수(물체거리, 주경 및 부경의 곡률, 주경과 부경 사이의 거리)와 유효초점거리로 이루어진다. 해석적으로 표현된 고차의 비선형 구면수차 방정식은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기법에 의해 근사적인 제로조건을 만족하도록 풀려진다. 이렇게 구해진 다양한 수치 해들을 주의 깊게 통찰하면 주경과 부경의 곡률 간에 선형성이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주경과 부경의 곡률들을 선형맞춤(linear fitting)하면 곡률선형방정식이 얻어지는데, 이의 의미는 약간의 대수적인 계산으로 최적화의 초기 입력 데이터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한편, 응용외의 순수 수차론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본 연구의 특징은 유한 물체거리를 갖는 2 반사경계의 주경 및 부경의 곡률들이 구면수차가 거의 제로가 되는 조건 하에서 상호간에 선형 관계가 존재하였다는 것이다.

초음파 선형 모터의 동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piezoelectric ultrasonic linear motor)

  • 고현필;유경호;강종윤;김상식;윤석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757-760
    • /
    • 2004
  • Shaking beam을 이용한 초음파 선형모터는 모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타원궤적이 선형 slider 와 마찰이 되어 선형운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초음파 선형모터에서 설계변수는 모터의 효율과 추력(thrust force) 등 동특성을 결정한다. 특히 초음파 모터 동작부의 tip 과 선형 slider 의 contact point와 압착은 모터의 속도, 추력 동작 주파수,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parameter 로 작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터와 선형 slider 의 압착과 contact point둥의 설계변수가 초음파 선형 모터의 성능에 주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모터으구동부와 선형 slider 사이의 압착력 ($10N{\sim}50N$)과 4가지 곡률을 갖는 tip을 설계변수로 취하였다. Tip 의 형태에 따른 곡률과 모터 구동부와 선형 slider 사이의 압착력 변화에 따른 모터의 동작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파이버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곡률 측정 (Curvature Measurement Using Fiber Bragg Gratings)

  • 정진호;이종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81-108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곡률을 측정하기 위해 파이버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곡률 센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곡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브래그 공진파장의 이동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견과로부터 곡률이 $0\;m^{-1}$에서 $10\;m^{-1}$까지 증가함에 따라 반사 스펙트럼은 감소하나. 브래그 공진 파장의 변화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기울기는 대략 $8.8\;pm/m^{-1}$ 이었다. 한편, 반사 스펙트럼은 곡률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HSB 강합성거더 정모멘트부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Composite HSB I-Girders in Positive Moment)

  • 조은영;신동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77-388
    • /
    • 2010
  • HSB600 및 HSB800 고성능강재를 적용한 정모멘트부 강합성거더의 휨거동을 비선형 모멘트-곡률 해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성특성이 다른 3개의 대표적인 강합성거더 기본 단면을 선정하여 모멘트-곡률 해석법으로 모멘트-곡률 이력과 휨저항강도를 구하고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ABAQUS(2008)로 구한 결과와 비교하여 모멘트-곡률 해석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시에는 플랜지, 복부판 및 콘크리트 바닥판을 판요소로 모델링하여 3차원 강합성거더 유한요소모델을 적용했으며 초기변형과 단면의 잔류응력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강합성거더 단면에서 콘크리트 바닥판의 28일 압축강도는 30~50MPa를 고려하였으며, 콘크리트 재료는 CEB-FIP(1990) 모델로, 일반 강재와 HSB600 및 HSB800 고성능 강재는 탄소성-변형경화 재료로 모델링하였다. 강합성단면의 연성비, 강거더의 강종, 콘크리트 바닥판의 압축강도, 소성중립축의 위치 등이 강합성거더의 연성특성 및 휨저항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클롯호이드 곡선을 이용한 이동로봇트의 경로제작 (Path Generation of Mobile Robots Using Clothoid Curves)

  • 신동헌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8-47
    • /
    • 1995
  • 이 논문에서는 이동로보트가 주행하기 쉬운 경로의 조건을 간단히 보인 후, 이러한 경로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과거의 제작방법들은 대체적으로 주어진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한 수 모서리를 원호, 클롯호이드 곡선 등으로 모서리 안쪽으로 곡선화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두 단계로 되어있는데, 먼저 주어진 연속의 점들을 연속의 포우스쳐들로 바꾼 후, 이 포우스쳐들을 클롯호이드 곡선으로 연결한다. 클롯호이드 곡선의 특성상, 생성된 경로는 점선각, 곡률까지 연속적이며 곡률은 구분적으로 선형이며, 이 외에, 과거의 경로는 주어진 점들의 모서리 안쪽을 지나는 것에 비하여, 주어진 점들을 부드럽게 바깥쪽으로부터 통과하는데, 이것은 장애물들이 경로의 모서리의 안쪽에 있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유용한 점이다.

  • PDF

유한 물체거리를 갖는 코마수차가 보정된 2 반사경계의 곡률선형방정식 (Curvature Linear Equation of a Coma Corrected Two-Mirror System with Finite Object Distance)

  • 황석주;임천석;조재흥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3
    • /
    • 2007
  • 원리적인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취급이 복잡하고 고차 연립방정식으로 표현되는 현실적 제한으로 인하여 실제 설계과정에서 잘 적용하지 않는 자이델 3차 수차를 이용하여 구한 코마수차 계수식으로부터 근사적인 제로조건을 만족하는 유한 물체거 리를 갖는 코마수차가 제거된 2반사경계의 초기설계에 유용한 곡률선형방정식을 유도하고 그 특징을 조사한다. 즉 주경과 부경의 곡률, 주경과 부경사이의 거리, 유효초점거리로 표현된 변형된 코마수차계수로부터 코마수차계수가 제거되는 조건에서 설계변수를 구하기 위해 전산수치해석 후 나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경과 부경사이의 선형관계가 나타나는 곡률선형방정식을 구하는 것이다. 이는 유한 물점의 코마수차가 보정된 2 반사경계에서 약간의 대수적인 계산만으로 최적화의 초기 입력 데이터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