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형분별함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화물 검색 시스템을 위한 듀얼 에너지 X-ray 검색기 영상을 이용한 물질 추정 방법 (Material Estimation Method Using Dual-Energy X-Ray Image for Cargo Inspection System)

  • 이태범;강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18
  • 본 논문은 듀얼 에너지 X-ray 검색기의 영상을 이용한 물질의 추정 방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물질 추정 알고리즘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존 4가지 분별 곡선 이외에 로그 함수를 사용한 새로운 분별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류한다. 여기에 기존의 선형 보간을 이용한 원자번호 추정 방법이 아닌 확률분포를 이용한 원자번호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확률분포를 이용한 가중치 계산에는 근접한 두 기준물질을 사용하는 방법과 모든 기준물질을 사용하는 방식, 2가지 방식을 실험하였다. 확률분포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물질의 원자번호를 추정 할 경우 기존의 방법보다 더 정확한 원자번호 추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정된 원자번호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HSI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영상에 채색하였다.

얼굴인식을 위한 PCA, LDA 및 정합기법의 비교 (A Comparison of PCA, LDA, and Matching Methods for Face Recognition)

  • 박세제;박영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372-378
    • /
    • 2003
  • 얼굴 인식을 위한 주요 기법인 PCA, LBA 등과 같은 mapping에 의한 기법과 템플리트 정합기법 모두 얼굴 영역의 회전, 이동, 표정, 그리고 조명조건의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기하학적 특징에 기반한 순수 얼굴영역검출기법을 도입하고 후처리 과정으로서 간단한 정합기법을 사용한 얼굴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PCA와 LDA 기법에 비해 영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높은 인식률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α-특징 지도 스케일링을 이용한 원시파형 화자 인증 (α-feature map scaling for raw waveform speaker verification)

  • 정지원;심혜진;김주호;유하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41-446
    • /
    • 2020
  • 본 논문은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화자 인증(Speaker Verification, SV) 시스템에서, 심층 신경망 내부에 존재하는 각 특징 지도(Feature Map)들의 분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특징 지도 스케일링(Feature Map Scaling, FMS) 기법을 확장한 α-FMS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FMS 기법은 특징 지도로부터 스케일 벡터를 구한 뒤, 이를 특징 지도에 더하거나 곱하거나 혹은 두 방식을 차례로 적용한다. 하지만 FMS 기법은 동일한 스케일 벡터를 덧셈과 곱셈 연산에 중복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스케일 벡터 자체도 sigmoid 비선형 활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덧셈을 수행할 경우 그 값의 범위가 제한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α라는 학습 파라미터를 특징 지도에 원소 단위로 더한 뒤, 스케일 벡터를 곱하는 방식으로 α-FMS 기법을 설계하였다. 이 때, 제안한 α-FMS 기법은 스칼라 α를 학습하여 특징 지도의 모든 필터에 동일 값을 적용하는 방식과 벡터 α를 학습하여 특징 지도의 각 필터에 서로 다른 값을 적용하는 방식을 각각 적용 후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두 방식의 α-FMS 모두 심층 심경망 내부의 잔차 연결이 적용된 각 블록 뒤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기법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RawNet2 학습세트를 이용하여 학습시킨 뒤, VoxCeleb1 평가세트를 이용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각 동일 오류율 2.47 %, 2.31 %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