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형단순화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pplication of the GPS Data Simplification Methods for Railway Alignments Reconstruction (철도 선형 복원을 위한 GPS 데이터 단순화 방법의 적용)

  • 정의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1
    • /
    • pp.63-71
    • /
    • 2004
  • This research is to reconstruction of railway alignment using GPS data, an investigation is made on the method of optimum simplification for reduction of unnecessary linear data, improve the accuracy by using four simplification algorithms among the methods. By applying two measured of displacement between observed data and it's simplification methods have been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xities of lines is not practical to investigate simplification algorithms, the Douglas-Peucker method produced a little displacement between observed data and it's simplification. Its by using the Douglas-Peucker method to observed linear GPS data in railway track, design elements of horizontal alignment have been calculated. Then we could know that obtain the good results fur reconstruction of alignment elements through the methods and algorithns of this study.

Performance Assessments of Three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with Tolerance Changes (임계값 설정에 따른 선형 단순화 알고리듬의 반응 특성 연구)

  • Lee, Jae Eun;Park, Woo Jin;Yu, Ki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63-368
    • /
    • 2012
  • The resul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 varies with the choice of algorithms, the change in tolerance and the selection of target objects. Three of the algorithms used in this study are Sleeve-fitting, Visvalingam-Whyatt, and Bend-simplify. They were applied to the three kinds of objects which were buildings, rivers, and roads with the five degrees of the tolerance. Through this experiments the vector displacement, the areal displacement,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were measur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trend line of the erro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rrors were differ from toleranc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based on changes of tolerance were understood.

Study on the Line Simplification Method based on Turning Function for updating Digital Map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선회함수 기반의 선형 단순화 기법 연구)

  • Park, Woo-Jin;Park, Seung-Yong;Woo, Ho-Seok;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5-17
    • /
    • 2009
  • The line simpl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turning function is studied in this paper for conversion of ground plan data to geospatial data to update the digital map. This method eliminate vertices effectively by estimating the length and the angle between the vertices based on the turning function which is useful to express the shape of linear feature. As the result, this method shows high shape similarity, high elimination rate of vertices and 100% of satisfaction degree to the drawing rules. Thus this line simplification method is judged to be effective in updating the digital map with ground plans.

  • PDF

Hybrid Simplification Method of GIS Vector Map Based on Minimum Area Error Evaluation (최소영역오차 평가 기반 GIS 벡터맵 혼합형 단순화 기법)

  • Im, Dae-Yeop;Yang, Liu;Kwon, Seong-Geun;Lee, Suk-Hwan;Kwon, Ki-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9-450
    • /
    • 2012
  • 오늘날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맵(map)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맵 제작 기술의 발전과 함께 선형 단순화(line simplification)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라인의 형상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하여 최소영역오차(minimum area error, MAE) 구간을 이용한 혼합형 선형 단순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선형 단순화 기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Proposal of the Building Outline Simplification Algorithm Considering the Building up of the digital map (수치지도 작성을 고려한 건물외곽선 단순화기법 제안)

  • Park, Woo-Jin;Park, Seung-Yong;Jo, Seong-Hwan;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64-26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건물공사에 사용되는 CAD 도면자료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수치지도 작성내규에 근거한 선형단순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외곽선의 절점들이 수치지도 작성내규의 곡선데이터 점간거리 규정에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절점의 구간을 늘려나가는 방식이다. 제안된 기법의 단순화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Douglas-Peucker 알고리듬 등 가장 흔히 사용되는 4개의 선형 단순화기법을 동일한 건물 외곽선에 적용하여 수치지도작성 내규 만족도, 절점수, 선길이, 면적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알고리듬의 경우 수치지도 내규 만족도 면에서 100%에 가까운 만족도를 보였으며 절점수를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선길이, 면적의 측면에서도 다른 알고리듬들에 비해 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추후 건설도면의 변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Building Out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for the Conversion of Construction Drawings to GIS data (건설도면의 GIS 데이터 변환을 위한 건물외곽선 단순화기법 비교 연구)

  • Park, Woo-Jin;Park, Seung-Yong;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37-444
    • /
    • 2008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건설 분야에서 이용되는 CAD 자료에서 GIS 자료로의 변환 및 융복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상호변환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도면 CAD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를 수정, 갱신하기 위한 방법론의 일환으로 건설도면의 건물외곽선을 추출하여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 수준으로 일반화하는 선형 단순화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형 단순화 알고리즘은 Douglas-Peucker 알고리즘, Lang 알고리즘, Reumann-Witkam, Ophei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시각적 분석, 절점 수, 총길이, 면적 변화율 분석 그리고 각 절점이 수치지도 작성내규를 만족하는 비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Douglas-Peycker 알고리즘이 시각적 측면과 절점 수 감소율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단순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수치지도 작성내규 만족도 측면에서는 공통적으로 $50{\sim}60%$ 수준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국내의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단순화 기법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반화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Building Out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for the Conversion of Construction Drawings to GIS data (건설도면의 GIS 데이터 변환을 위한 건물외곽선 단순화기법 비교 연구)

  • Park, Woo-Jin;Park, Seung-Yong;Yu, Ki-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3
    • /
    • pp.35-41
    • /
    • 2008
  • Recently needs for the convergence of CAD and GIS data are increasing, and many studies on converting two systems to each other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to revise and update the building data of digital map using CAD data for construction, the outline of building is abstracted from the CAD data and the outline is generalized to the same level of detail with the building data of digital map. Several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to generalize the outline are adopted and compared, especially at the view of satisfaction to the drawing rule for digital map. Douglas-Peucker algorithm, Lang's algorithm, Reumann-Witkam algorithm, and Opheim algorithm are applied as the line simplification method.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se algorithms, visual assessment and variation ratio of the number of points, total length of lines, the area of polygon, and satisfaction ratio to the drawing rule of digital map are analyzed. The result of Lang algorithm and Douglas-Peucker algorithm show superior satisfaction ratio. But general satisfaction ratio is 50~60% for all algorithm. Therefore there seems to be a limit to use these algorithms for the simplification method to update the building data in digital map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 which satisfy the drawing rule well.

  • PDF

A Study of nonlinear acoustic responses for defect-detection in a layer-structured material (적층 구조물에서 결함 탐지를 위한 비선형 음향 반응 연구)

  • Jung Kyung-il;Roh Heui-Seol;Yoon Suk W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97-200
    • /
    • 2001
  • 입사된 음파에 대한 배진동 주파수의 발생과 입사 음파들간의 합$\cdot$차 주파수 발생은 물체내 결함이 존재할때에 나타나는 중요한 비선형 효과라는 것을 이용하여 단순화된 실험실 조건의 겹쳐진 두 장의 유리판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적층 접합 물체에 있어서의 비파괴 검사법을 위해 접합되지 않은 결함 부분은 두 장의 유리판 사이의 공기 층으로 단순화하였고, 접합되어진 부분은 물 층으로 단순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서로 다른 조건의 두 접합 부분으로부터 발생된 입사된 기본 주파수의 배진동 주파수 발생과 합 $\cdot$차 주파수 발생을 관측함으로써 구조물 내의 결함 유$\cdot$무를 판별하였다. 배진동 주파수의 발생과 합$\cdot$차 주파수의 발생은 결함이 존재할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비선형 반응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선형 현상의 발생은 이차원적인 적층 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하며, 비선형 비파괴 음향 탐사법에 의한 결함의 존재 유$\cdot$무 판별이 가능하였다.

  • PDF

Design of the 2.9kbps LP-SMBE vocoder (2.9kbps LP-SMBE 음성부호기 개발)

  • 김승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175-17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선형 예측 방법과 다중 대역 여기 방법의 장점을 조합하여 낮은 전송률에서 고품질의 합성음을 제공하는 LP-SMBE 부호기를 제안한다. LP-SMBE 부호기에서는 선형 예측 방법과 단순화된 여기 신호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성도 특성 정보와 여기 신호를 분리 추정한다. 제안한 단순화된 여기 신호 추정 방법은 정규화된 스펙트럼 영역에서 원음 스펙트럼과 합성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여기 신호를 추정한다. 이 방법은 기존 MBE 방법의 여기 신호 추정 방법보다 연산량이 적고, 여기 신호르 F보다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 PDF

Nonlinear Acoustic Effect in Two-glass-plate Layers (이중 접합된 유리판에서의 비선형 음향 효과)

  • 정경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99-102
    • /
    • 1998
  • 입사된 음파에 대한 배지동의 발생이 물체내 결함이 존재할 때에 나타나는 중요한 비선형 효과라는 것을 이용하여 단순화된 실험실 조건의 겹쳐진 두 장의 유리판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층상 접합 물체에 있어서의 비파괴 검사법을 위해 접합되지 않은 부분은 두 장의 유리판 사이의 공기 층으로 단순화되었고, 접합되어진 부분은 물 층으로 간주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서로 다른 조건의 두 접합 부분으로부터 발생된 주파수 응답을 관찰하였다. 결과로써 입사된 음파에 대한 배진동의 발생이 공기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물층에서는 배진동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배진동의 발생은 이차원적인 겹쳐진 물체에도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