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행연구조사

검색결과 2,956건 처리시간 0.047초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뉴스 앵커에 대한 수용 의도의 선행요인 연구 (An Evaluation of Determinants to Viewer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News Anchor)

  • 신하얀;권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05-219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된 뉴스 앵커의 시청자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AI 뉴스 앵커에 대한 지각된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이해도를 포함하는 5개의 선행요인이 사용자 수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능력과 호의, 진실성은 신뢰를 형성하는 선행요인으로 예측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513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과 동일방법편의, 내적 일관성 평가와 함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포함한 척도 순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한 결과,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는 시청자 수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I 앵커로부터 지각한 능력과 진실성은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학교 화학 분야의 개념 연구에 대한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Problems in Researches Related to Students' Conceptions of Middle School Chemistry)

  • 박은희;강대훈;백성혜;박국태;김혜경;채우기;권균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8-339
    • /
    • 1999
  • 중학교 화학 분야의 오개념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의 문제점을 밝혀, 학생들의 정확한 오개념 조사를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의 중학교 화학 분야에 대한 오개념 조사 설문지가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잘못 사용되고 있었으며, 문항 내용 자체에도 오류가 있었음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의 분석 결과들이 오개념이 아니라 무개념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설문지 A와 B를 투입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 A는 오개념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문항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투입한 결과를 선행 연구들의 결과들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설문지 B는 설문지A에서 응답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한 것이다. 설문지 A를 통해 얻은 결과와 선행 연구들에서 얻은 결과들을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일관성이 없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주관식 정답률이 객관식 정답률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공통점은 있었으나, 문항 자체의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설문지 B를 통해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본 결과, 설문지 A에서 과학적 개념과 오개념으로 분류된 학생들중에서 무개념으로 판단된 경우가 많았다.

  • PDF

특허정보 심사를 위한 학술정보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ources to support patent examinations process)

  • 노경란;권오진;김완종;서진이;정의섭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02-714
    • /
    • 2005
  • 지식기반사회에서 기술정보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동력으로 인식되면서 특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각 국가의 심사 및 특허업무는 각 국가가 처한 사회적, 법률적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각 국 특허청의 심사관들은 특허 출원서를 바탕으로 선행기술을 조사를 통해 특허가능성을 결정한다. 출원특허의 선행기술조사시 과거 특허뿐만 아니라 학술정보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IT분야, BT분야의 경우 특허심사 시 소요되는 시간적 한계로 인해 학술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국, 유럽특허에 포함된 비특허문헌을 분석하여 한국특허심사시 기간을 단축하고 정확율을 높일 수 있는 학술정보자원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노마드적 기업가정신: 글로벌 인바운드 창업이주의 관점에서

  • 최화준;김태용;이정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5-210
    • /
    • 2022
  • 오늘날 많은 선진국들이 창업국가를 표방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은 창업 생태계의 역동성이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들은 스타트업을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능력 있는 창업가와 스타트업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자들의 글로벌 창업이주(Startup migration)현상과 지역적 창업 생태계의 등장에 주목하여, 그들의 이주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창업 생태계 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창업자들은 개인적 동기 혹은 가용 자원이 풍부한 환경을 찾아서 국경을 넘는다. 창업이주는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의미하는 아웃바운드(Outbound)와 해외 스타트업의 국내 창업 허브에 유치하는 인바운드(Inbound)가 있는데, 본 연구는 비교적 선행연구가 적은 인바운드 창업이주(Inbound startup migration)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선행연구 기반의 질문지 작성, 설문 조사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글로벌 창업 생태계를 비교 분석 및 평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글로벌 창업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낼 것이다. 이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앞에서 발견한 요인들을 인바운드 창업이주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각 요인별로 질문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할 것이다. 설문지 작성의 목적은 인바운드 창업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작성된 설문은 글로벌 창업이주 형태로 국내에 정착한 100여명의 해외국적 창업자들에게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바운드 창업이주의 핵심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론화하고 이를 실증할 설문도구를 만들어서, 이를 우리나라 인바운드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각각의 상대적 중요도를 찾아내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찾아낸 영향, 요인, 프레임워크는 세계 각국의 창업생태계를 비교하는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실증된 결과는 정책 입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과 과제 - 2014~2020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Trends and Tasks of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Focused on Academic Papers 2014 ~ 2020)

  • 이용재;김지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09-23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경영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4년에 수행된 선행연구를 이은 후속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 4종의 학회지에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문헌정보학 논문 중 도서관경영 분야 논문 32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선행연구에서 도서관경영 논문 편수가 연간 36건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연간 46건으로 조사되어 양적인 증가를 보였다. 세부영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 '경영일반', '인사관리', '측정과 평가'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어진 반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것처럼 '도서관마케팅', '조직관리', '예산관리' 분야 연구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지표(KPI)를 이용한 중소건설기업 경쟁력 실증분석 (The Empirical Analysis for Competitiveness of Small &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 박홍조;지현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09
    • /
    • 2017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건설기업의 KPI들이 실제로도 그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중소건설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소건설기업은 미래성장을 위한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를 보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설문조사에 의한 문헌적인 방법을 통해 선정한 주요 KPI의 대부분이 실증적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서도 실효성이 있는 성과평가지표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건설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과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문헌적으로 도출된 건설기업 경영성과지표의 실효성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를 수행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Brand Imag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63-75
    • /
    • 2006
  •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 PDF

로지스틱 회귀를 통한 경마의 입상확률모형

  • 유선경;박흥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4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경마의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연승식 경마의 입상확률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입상확률모형을 유도하여 보았다. 외국의 경우, 경마에 대한 통계적 접근이 다각적으로 시행되었지만, 기존의 선행방법이 배당금에 의한 입상확률에 근거를 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경마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 PDF

전자도서의 선택 및 평가 요소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Elements of Electronic Books)

  • 최원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전자도서 관련 조직, 기술 등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전자도서의 관련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도서를 도입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 환경, 이슈를 조사하고 분석하고 전자도서의 선택 및 평가를 위한 고려 요소 및 기준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