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택기준

Search Result 2,64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Matchmaking System Adjusting the Mate-Selection Criteria based on a User's Behaviors using the Decision Tree (고객의 암묵적 이상형을 반영하여 배우자 선택기준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온라인 매칭 시스템: 의사결정나무의 활용을 중심으로)

  • Park, Yoon-J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4 no.3
    • /
    • pp.115-129
    • /
    • 2012
  • A matchmaking system is a type of recommender systems that provides a set of dating partners suitable for the user by online. Many matchmaking systems, which are widely used these days, require users to specify their preferences with regards to ideal dating partners based on criteria such as age, job and salary. However, some users are not aware of their exact preferences, or are reluctant to reveal this information even if they do know. Also, users' selection standards are not fixed and can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is paper suggests a new matchmaking system called Decision Tree based Matchmaking System (DTMS)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stated standards of a use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the user chose to contact. AMMS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new users on the basis of their explicit preferences. However, as a user's behavioral records are accumulated, it begins to analyze their hidden implicit preferences using a decision tree technique. Subsequently, DTMS reflects these implicit preferences in proportion to their predictive accuracy. The DTMS is regularly updated when a user's data size increases by a set amount. This paper suggests an architecture for the DTMS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of a prototype.

  • PDF

국내 먹는 물 수질에 따른 막모듈 검토

  • 권영남;김인철;전종영;탁태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8-119
    • /
    • 1997
  • 1. 서론 : 현대는 인구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산업발달에 따른 폐수의 증가 및 오염물질의 다양화로 인하여 상수원이 점점 오염되어 가소 있는 반면, 국민소득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맑고 깨끗한 물을 선호하는 계층의 욕구가 증대하고 몇 차례의 수질오염 사고로 인하여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환경부가 먹는 물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몇몇 항목에서 기준을 초과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국 먹는 물 수질을 분석하여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주 항목을 선택한 뒤, 시판되는 몇몇 Module을 이용하여 과연 환경기준에 적합한 수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를 검토함으로써 각 지역별로 막 선택을 차별화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Store Choice Criteria on Store Value and Patronage Intentions (점포가치와 점포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 Park, Yeung-kurn;Park, Yeung-bong;Lee, Dong-hae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4 no.1
    • /
    • pp.79-102
    • /
    • 2006
  •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 the store is embossed, this is demanded to manage the store environment from the dimension of image improve and customer contacted satisfaction measurement followed with the influence on the store choice criteria. Retail store's managers improve the retailing results by forming the appropriate store environment and giving the customers a pleasant and satisfied purchas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store atmosphere. The expected customer who looks for their store can plant a thesis existing reason of their own store definitely and strongly in theheart of manger and employee. And also, among the store differentiation, the weight of physical environment placed is becoming large day by day, and now can make full use of the competition superiority measure different with the store. This paper will actually analysis that what kind of influence the store environment factors exert on the store choice criteria, and also if the store choice criteria exerts influence on the store value and patronage intention.

  • PDF

Confusion Model Selection Criterion for On-Line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온라인 필기 숫자 인식을 위한 혼동 모델 선택 기준)

  • Park, Mi-Na;Ha, Jin-Yo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11
    • /
    • pp.1001-1010
    • /
    • 2007
  • HMM tends to output high probability for not only the proper class data but confusable class data, since the modeling power increases as the number of parameters increases. Thus it may not be helpful for discrimination to simply increase the number of parameters of HMM. We proposed two methods in this paper. One is a CMC(Confusion Likelihood Model Selection Criterion) using confusion class data probability, the other is a new recognition method, RCM(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s). In the proposed recognition method, confusion models are constructed using confusable class data, then confusion models are used to depress misrecognition by confusion likelihood is sub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standard model probability. We found that CMC showed better results using fewer number of parameters compared with ML, ALC2, and BIC. RCM recorded 93.08% recognition rate, which is 1.5% higher result by reducing 17.4% of errors than using standard model only.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Based on Primary Color Selection Considering Lightness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 박태용;조양호;이명영;하영호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77-85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using 64 primary colors to improve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causes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because we only use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in quantiz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is artifac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input color into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according to chroma value. In the case of chromatic color, input color is classified into bright region, middle bright region, and dark region according to lightness value. N candidate primary color is organized using lightness difference between input vector and 60 chromatic primary color vector in the case of bright region. Then, primary color with minimum vector norm between input vector and N candidate primary color in addition to 4 achromatic primary colors is selected as output color.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ed visually pleasing halftone output.

Semi-Automatic Feature Extraction Technology From Binary Images (이진영상에서 반자동 선형물 추출 기술)

  • 박승란;김태정;정수;김경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44-54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Head-up Digitizing / Vectorizing 기술에 주로 사용되는 이진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입력 좌표를 기준점으로 채택한 후 기준점을 중심으로 선형 및 벡터 형상을 추출하는 반자동 선형 추출 기술 개발에 관해 기술한다. 본 기술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진 영상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선형 및 벡터 형상내의 한 좌표를 선택한다. 선택된 좌표는 기준점으로 채택되며, 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네 방향으로 영암 값이 0인 픽셀들의 길이 및 orientation이 계산된다. 계산된 orientation을 바탕으로 폭 넓이가 계산되고 초기 좌표가 보정된 후 폭 넓이가 임계값을 만족시키면 동일한 선형물로 간주하여 추출 연산을 반복 수행하고, 폭넓이가 임계값을 벗어나면 새로운 선형물로 간주하고 추출을 중단한다 즉, 채택된 기준값을 중심으로 동일한 명암값의 검색을 진행하여 기준값과 유사한 방향성 및 폭 넓이 정보를 갖는 성분들의 중심 좌표를 선형물 추출 결과값으로 산출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을 통해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지도 제작 및 Head-up Digitizing / Vectorizing 기술이 컴퓨터를 이용한 반자동기술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인원과 시간을 소모하여야 했던 좌표 지도제작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LGG : 장관면역, 알레르기, 비만에 대한 효과

  • Salminen, Seppo;Grzeoskowiak, Lukasz;Endo, Akihito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4 no.1
    • /
    • pp.63-68
    • /
    • 2011
  • Lactobacillus rhamnosus GG(ATCC 53013) 유산균은 현재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들 중 하나이다. 이 유산균은 내산성, 내담즙성, 특유의 콜로니 모양, 장 정착성, 병원성 세균에 대한 경쟁적 저해작용 등의 선택기준을 통하여 분리되었고, 그 특성이 밝혀져 있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선택기준이 진보하고 있지만, LGG 유산균은 아직도 매우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다. LGG 유산균은 그 유전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설사예방, 아토피성 습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우수성이 임상시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최근에는 임산부와 영아의 과체중에 대한 개선효과가 임상시험을 통해 증명되어 있다. 향후에는 특정 유산균 단독이나 과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조합에 의한 유익성을 중심으로 복합 균주의 효과에 대한 새로운 증명이 기본적인 임상시험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