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택기준

검색결과 2,646건 처리시간 0.038초

해양 레포츠 의류 선택기준, 구매 만족도와 체형, 연령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election Criteria, Purchase Satisfaction of Marine Leports Wear and Body Type, Age)

  • 차수정;박희석;박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05-1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남 서남 지역에서 해양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양 레저스포츠 의류의 구매실태, 착용실태, 구매 만족도, 선택기준,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여 연령, 체형 등과의 상관관계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와 선택기준 간의 상관관계에서 체력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착용감을 기준으로 선택하고 여가나 취미생활을 위해서 참여할 경우에는 디자인, 색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활동성이나 다른 용도 활용성을 기준으로 선택한 경우에 가격면에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체형에 따른 선택기준은 큰 삼각형과 사각체형은 가격, 유행을 기준으로, 역삼각형, 큰 삼각형, 사각 체형은 신축성을 기준으로 의류를 선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해양 레저스포츠 종목별 선호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Paul Torrance 의 디자인 기준에 의하여 선택된 연화문(蓮花紋)을 응용한 스크린 프린팅 디자인 연구 (Screen Printing Designs using the Lotus as a Source of Inspiration and Selected Design Criteria by E. Paul Torrance)

  • 한명숙;남기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118-128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Guiding Crieative Talent」의 저자이자 교수인 E.Pual Torrance에 의하여 제시된 디자인 기준(design criteria) 중에 3가지 디자인 기준을 선택하여, 스크린 프린팅기법에 의거, 일련의 디자인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 디자인 기준은 1958년, Torrance에 의하여 수행된 \"The Minnesota Tests of Creative Thinking\" 중 일부이다. 그는 \"창의적인 발상전개에 있어서 보다 더 주의를 요하는 것은 마지막 생산물(the products)이 아니라 그것의 과정(the process)인 것이다.\"라고 강조해 왔으며, 창의적 사고에 관한 개념을 제시해 왔다. 본 연구의 디자인은 그 창작의 착상의 모티브(motif)로써 연화문(蓮花紋)을 선택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스크린 프린팅을 창작하였다. 12개의 디자인이 제작되었데, 그것은 Torrance에 의하여 제안된 약 20개의 기준(criteria) 가운데 저자가 디자인 착상에 있어서 최소한의 기본요소라 생각되어, 임의로 선택한 3가지 기준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3가지 기준이란 1) 모티브(motif)의 수적증가(multiplication) 2) 모티브(motif)의 위치변화 3) 모티브(motif)의 모양변화이다. 전체적인 디자인과 테두리 디자인(border design)이 선택적으로 디자인 과정에 포함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2개의 디자인이 선택, 1가지의 색채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디자인 제작과정으로, Torrance의 각각의 디자인 기준에 의한 여러 장의 스케치를 그린 후, 그중 12개의 스케치를 임의로 선택하여 옷감위에 프린팅하였다. 디자인 제작 결과, 저자가 선택한 3개의 디자인 기준만으로도 다양한 수의 서로 다른 디자인 창작이 가능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1개의 디자인 기준을 선택 응용하였으나 보다 많은 디자인 기준을 선택하여 동시에 비교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1개 이상의 디자인 모티브(motif)를 함께 디자인 착상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본다.

  • PDF

도로용량편람에 근거한 비보호좌회전 준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rant of Permitted Left-Turning Movements based o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 조원범;도철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31-41
    • /
    • 2002
  • 국내의 도로용량편람에 근거한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4방향 접근로 각각의 방향별 교통량, 좌회전 전용차로의 유무, 차로수 등의 수많은 요인들을 통해 결정된다. 이 요인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며 그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변수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이러한 검토 없이 해당도로의 한 방향 좌회전 교통량과 이와 마주보며 진행하는 직진 교통량, 차로수만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도로용량편람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좌회전 교통량 (비 보호좌회전 신호로 신호교차로의 운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대 좌회전 교통량)을 제시함으로서 비 보호 좌회전 준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해당도로의 좌회전 교통량, 대향직진 교통량, 차로수, 교차도로의 교통량과 차로수이며, 이 요인들 중에서 해당도로의 차로수가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비 보호좌회전은 일반적으로 2차로에서 운영되므로 보편적인 상황에서의 비 보호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해당도로의 좌회전 교통량. 대향직진 교통량 및 교차도로의 교통량에 좌우된다. 둘째, 대향직진 교통량이 커질수록 임계좌회전 교통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차도로의 교통량이 커질수록 임계좌회전 교통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DA에서 판별변수 선택을 위한 베이즈 기준 (A Bayes Criterion for Selecting Variables in MDA)

  • 김혜중;유희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435-449
    • /
    • 1998
  • 본 연구는 다중판별분석(MDA)에서 필요한 변수선택기준을 베이즈접근법으로 제안하였다. 이 베이즈판별변수 선택기준은 여러 정규모집단분포의 평균벡터에 대한 동질성 검정에 필요한 디폴터형태의 베이즈요인을 객관적 베이즈방법으로 유도하여 설정하였다. 디폴트베이즈요인(default Bayes factor)은 Spiegelhalter와 Smith (1982)가 계발한 가상적트레이닝표본법(imaginary training sample method)을 사용하여서 도출하였다. 또한 제안된 베이즈판별변수선택 기준이 지닌 분포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가 판별변수(또는 변수군)가 MDA에 기여하는 부가적인 판별력에 대한 검정법 및 추가판별변수(또는 변수군)의 선택 기준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얻은 변수선택기준은 최적부분집합선택법(optimal subset selection method)뿐 아니라 각 단계적방법(stepwise method)의 변수선택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그룹 판별분석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표본이론에 의해 여러 형태로 개발된 기존의 판별변수 선택 기준들을 하나로 통합시킬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최적 부분집합선택법과 단계적방법하에서 제안된 판별변수선택 기준이 가진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한 항공여객의 항공사 선택속성 분석(국내선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irline Choice Factors with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cus on Domestic Airline))

  • 하헌구;오세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항공이용객이 접하게 되는 일련의 항공사 선택 속성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아 체계적인 서비스 요인의 분석을 하고자 하며, 이 세부적인 선택속성 중에서 어느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가장 이용자의 요구수준이 높은지를 측정하고자 했다 즉, 계층화 분석기법 (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을 활용하여 국내선 항공사를 선택하는 항공이용객의 항공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택속성의 설정은 선행연구 및 국내선 항공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마케팅, 예매서비스, 공항서비스, 기내서비스, 부대서비스의 5개의 상위선택기준과 상위선택기준의 하위단계인 17가지 세부적인 선택요인을 결정하였다. 하위단계의 선택속성은 1) 프로모션/이벤트, 2) 홍보/광고, 3) 신속하고 안정적인 예매, 4) 예매의 편리성, 5) 예매의 신축성, 6) 선호좌석배정 7) 수하물처리서비스, 8) 비정상운항시 후속조치, 9) 탑승라운지 운영, 10) 기내분위기, 11) 음료서비스. 12) 읽을거리 13) 좌석공간. 14) 비즈니스석 운영, 15) 다양한 제휴사, 16) 마일리지제도 운영, 17) IT 서비스이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선 항공사 이용객의 선택속성 중 상위단계의 5가지 선택기준에서 공항서비스가 국내선 항공교통 이용객에게 중요한 선택기준이 되고 있으나, 예매서비스 및 기내서비스도 상당히 중요한 기준임을 알 수 있었다. 소득수준별 상위단계 선택기준 및 하위단계 선택속성의 중요도 분석에서는 저소득자와 중소득자 그리고 고소득자 간에는 선택속성의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항공사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한 고객지향적인 경쟁우위 방안이 요구된다 하겠다.

Correlation Analysis of Marine Leisure Sports Wear -Focused on Body Shape, Age and Variable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79-1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남 서남 지역에서 해양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양 레저스포츠 의류의 구매실태, 착용실태, 구매 만족도, 선택기준,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여 연령, 체형 등과의 상관관계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와 선택기준 간의 상관관계에서 체력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착용감을 기준으로, 여가나 취미생활로 참여할 경우 디자인, 색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활동성, 다른 용도 활용성을 기준으로 선택하면 가격면에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체형에 따른 선택기준은 큰 삼각형과 사각체형은 가격, 유행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은 신축성을 기준으로 의류를 선택하였다. 연령별 선호색상은 40대는 파랑계열을, 다른 연령대는 무채색을 선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해양 레저스포츠 종목별 선호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MMDB의 인덱스 선택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ex Selection Criteria of MMDB)

  • 유경산;유신;여정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64-667
    • /
    • 2015
  • 데이터 처리 성능에서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MMDB)가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DRDB)보다 월등하여 국내외의 데이터베이스 영역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MMDB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CPU의 성능과 메모리의 크기 및 인덱스의 선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MMDB 성능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인덱스의 선택 문제이다. 옵티마이저의 실행계획을 수립할 때, 인덱스는 최적의 경로를 찾도록 하는 전략적인 요소로서 그 구성에 문제가 있으면 최적화된 실행계획을 얻을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인덱스 선택 기준에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MMDB에서의 인덱스 선택 기준에 대하여 실험하고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MDB는 인기 있는 TimesTen MMDB이다. 실험 대상 테이블에 대하여 인덱스가 없는 경우, T-Tree 인덱스를 생성한 경우, Bitmap 인덱스를 생성한 경우 등에서 데이터 량과 분포도를 각각 변화시켜, 어떤 분포도에서 어떤 인덱스가 유리한지 실험하고 인덱스의 선택 기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에서 MMDB의 인덱스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식기 풀 기반의 다수 인식기 시스템 구축방법 (Construction of Multiple Classifier Systems based on a Classifiers Pool)

  • 강희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8호
    • /
    • pp.595-603
    • /
    • 2002
  •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이기 위하여 가용한 인식기 풀(pool)로부터 다수 인식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래서, 어떻게 또는 얼마나 많은 인식기를 선택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기의 선택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되는 인식기의 개수가 미리 제한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서, 다양한 선택 기준을 제안하고, 이들 선택 기준에 따라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며,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선택 기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든 가능한 다수 인식기의 집합은 선택 기준에 의해서 조사되고, 그 중 일부가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후보로 선정된다. 이러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들은 Concordia 대학과 UCI(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의 기계학습 자료로부터 얻은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실험에 의해 평가되었다. 다양한 선택기준 중에서, 특히 조건부 엔트로피에 기반한 정보 이론적 선택 기준에 의하여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가 다른 선택 기준에 의한 후보보다 더 유망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선택기준 (Animation Spectators' View Motive and Selection for Each of Group)

  • 소요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09-117
    • /
    • 2008
  • 본 연구는 극장용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정보원, 그리고 내용적 속성에 따른 관람선택 기준의 평균비교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집단별 구성은 관람빈도에 근거하여 중관람자, 중간관람자, 그리고 경관람자로 분류하였다. 전체 집단의 평균비교 결과, 첫째, 관람동기에서는 "보고 싶은 애니메이션이 있어서", "여가활동이나 시간을 보내기 위해", "유쾌한 활동을 즐기기 위해", "다른 사람의 권유나 추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원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주변 소문이나 평판", "예고편", "인터넷 평가/평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스토리", "캐릭터", "특수효과", "배경음악", "배경미술", "감독/연출", "제작사/국가", 그리고 "성우더빙"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검증결과, 관람동기와 내용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정보원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