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천성 근육사경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추적검사에서 실시간 탄성초음파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Efficacy of Real-Time Sonoelastography for the Follow-Up of Congenital Sternocleidomastoid Muscle Torticollis)

  • 정미리;이인숙;신용범;송유선;박세경;송종운;문진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176-189
    • /
    • 2020
  • 목적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추적검사에서 근육의 탄성도 측정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탄성초음파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선천성 근육성 사경을 가진 34명의 환아(남자 23명, 여자 11명)를 대상으로 초음파와 탄성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다. 목빗근의 두께, 모양(종물형, 방추형, 전체적으로 두꺼운 형)을 회색조 영상에서 평가하였으며, 탄성초음파 검사에서 색상 패턴(파란색, 50% 미만 또는 이상으로 초록색이 혼재, 초록색과 빨간색)을 분석하였다. 변형률 비도 Q-lab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하였다. 한 명의 임상의가 목 회전과 측면 굴곡 결손을 각도를 기반으로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초음파 소견과 임상적 소견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2명은 오른쪽, 12명은 왼쪽 근육성 사경을 보였다. 선형회귀 분석에서 병측/반대측의 근육 두께 차이, 모양, 탄성 색상 패턴과 변형률 비가 임상적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탄성 색상 패턴이 가장 유의미한 인자였다. 결론 실시간 탄성초음파 검사는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추적검사에서 신뢰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더러브렛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 평가 (Evaluation on Blood Chemistry in a Thoroughbred Neonate (1-day old) with Congenital Torticollis)

  • 양재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71-76
    • /
    • 2019
  • 말의학에서 선천성 사경에 관한 임상병리학적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Thoroughbred 망아지(암)가 341일의 정상 임신기간을 거쳐서 태어났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액화학검사에서 CK (creatine kinase), LDH (lactate dehydrogenase) 그리고 Na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Cl는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목근육의 세포는 망아지의 임상병리학적 수치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선천성 사경의 원인이 경추와 같은 뼈의 문제뿐만 아니라 근육장애일 수 있다. 저자들이 알기로는 본 논문은 신생망아지의 사경증에 관한 최초의 임상병리 보고서이다. 이 자료는 선천성 결손을 가진 망아지의 임상병리 해석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ork Activit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김기전;송브라이언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70-2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 "C" 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최경은;이희철;윤소영;천정미;신손문;한병희;이용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73-1278
    • /
    • 2009
  • 목 적:선천성 근육성 사경은 흉쇄유돌근의 단축으로 경부가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안면의 비대칭적인 발달을 야기하며 목에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가 흔하다. 대부분 생후 수개월 이내에 소실되나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선천성 근육성 사경 발생에 관여하는 산과적 위험요인을 살펴보고 임상 양상 및 치료 경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7년 2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관동대학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사경으로 내원한 6개월 이하 영아들 중 본원에서 출생한 98명을 대상으로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신경학적 검사와 경추 방사선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종괴군과 자세군으로 분류하고 산전 병력과 출생력, 산과적 위험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재활의학과와 협진을 통해 가정 및 외래에서 물리치료를 받았고, 보호자와 전화 통화 및 외래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 과:진찰 소견 상 36명(36.7%)은 흉쇄유돌근의 종괴나 긴장이 촉진되었으며, 62명(63.3%)은 종괴 없이 목이 한쪽으로 기울었다. 81명의 환아에서 경부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종괴군은 모두 초음파에서 근육성 사경을 확인하였고, 자세군 62명 중 48명이 초음파를 시행하여 1명에서 근육성 사경이 확인되었다. 종괴군의 사경 발견시기는 평균 1.4개월, 자세군은 2.7개월로, 종괴군이 자세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 발견되었다(P<0.001). 종괴군은 두혈종과 산류가 자세군보다 흔했고, 자세군은 사두증이 종괴군보다 흔하게 관찰되었다. 안과 검진이나 경추 방사선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재활의학과에서 물리치료를 시행한 43명 중 평균 재활 치료 기간은 종괴군 4.6개월, 자세군 2.6개월로, 자세군이 종괴군보다 유의하게 치료 기간이 짧았다(P=0.005). 총 88명의 환아 중 87명이 완전히 회복하였고, 불완전 회복을 보인 1명은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결 론:선천성 근육성 사경은 대부분 예후가 좋으나 수술을 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요한다. 6개월 이하의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를 대상으로 산과적 위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출생 손상 및 복잡 분만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해 대부분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극개방완화를 이용한 선천성 근육성 사경의 치료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with Unipolar Release)

  • 박명철;송현석;김치선;임신영;박동하;배남석;이일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8-45
    • /
    • 2009
  • Purpose: The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s a neck deformity involving shortening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which is detected at birth or shortly after birth. This childhood disease is the third most common congenital musculoskeletal anomaly. The indication for surgery is a persistent head tilt with dificit of passive rotation and lateral bending of the neck and a tight band or tumor i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even after physical therap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port surgical outcomes with patients who had no or little response to physical therapy. Methods: Surgery was performed on 29 patients and their average age was 4.1 years (from 6 months to 20.1 years). The unipolar open release and partial myectomy were done in 28 cases and the muscle lengthening was done in 1 case. Physical therapy was started from postoperative seventh day. Follow - up period was ranged from 2 months to 5.4 years(mean follow - up, 20.4 months). Result: There were neither rotation nor lateral bending deficit after surgical treatment. Mild head tilt was noticed in 3 cases and residual bend was observed in 4 cases. The subjective assessments of surgical results by parents were excellent. Conclusion: Our surgical outcome encourages the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for patients who failed to respond to physical therapy.

선천성 근육 사경 환아에 대한 운동 발달적 치료 접근: 증례보고 (A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Motor Development i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Case Report)

  • 류제용;김유진;성주연;심재훈;이규완;오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7-84
    • /
    • 2006
  • Although conservative manage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CMT) has been well documented,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response to the treatment. The purposes of this case report were to describe the use of a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motor development i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an infant with CMT and to report the result of the treatment. The patient was a 20-day-old baby boy with left CMT presenting muscular mass in the left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e angle of the lateral head tilt was 20 degrees. The size of muscular mass was 5.3 mm in ultrasonography. Intervention included ultrasonic therapy, soft tissue massage, passive and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s, motor developmental therapy, and parent instruction. The procedures of motor developmental therapy and changes in the amount of lateral head tilt were documented using photography. The size of the mass was decreased to .3 mm before the 5-month follow-up. The patient also maintained a midline head position in the supine position and a midline head alignment during all functional activities. A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motor development is a beneficial method for reducing an asymmetrical head and neck position, and facilitating normal development as a component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