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삭 공정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a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hock Absorber Piston Rod Manufacturing (쇽옵서버 피스톤로드 제조공정에 대한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 Chung, Ho-Yeon;Shin, D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2 no.4
    • /
    • pp.87-92
    • /
    • 2009
  • 쇽옵서버 피스톤로드(shock absorber piston rod)는 자동차의 충격과 진동의 흡수에 작용하는 자동차 현가장치(suspension equipment)부품의 일종이다. 피스톤로드는 자동차 충격흡수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조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도와 표면 매끄러움이 요구된다. 피스톤로드의 제조공정은 선삭, 홈가공, 밀링, 전조 등 여러 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품질불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공정은 선삭공정(lathing process)이다. 이는 선삭공정의 가공공구(insert component)가 주원인으로서 반복되는 가공으로 인한 공구의 마모(abrasion)나 파손(breakage)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가공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공구의 교체시기를 파악한다거나 가공 부품의 측정 데이터가 관리도 상하한선 내에 있는지 등 가공 공정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쇽업서버 피스톤로드 제조공정의 가공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분석하는 자동차 쇽업서버 피스톤로드 제조공정에 대한 공정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발결과 피스톤 로드의 측정 치수 변화 및 불량발생을 측정, 감지할 수 있었으며, 본 시스템을 통해 가공공구의 치수오차를 보정(compensation)하고 공정의 불량발생을 조기에 방지 함으로써 불량률은 1/5로 경감하고 작업자 수도 1/2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선삭공정의 작업준비계획의 자동화

  • 조규갑;김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237-246
    • /
    • 1992
  • 본 연구는 선삭공정에서 CAD 인터페이스된 자동공정계획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의 계속으로 작업준비계획(Setup Planning)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법을 개발함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의 대상은 기계가공부품들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NC선반가공용 회전형상부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공작물고정방법의 결정, 작업준비횟수의 결정, 클램핑(Clamping)면 및 공작물고정구의 선정에 관한 기법과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소프트웨어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Turbo-C(Version 2.0)를 사용하여 개발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 PDF

선삭공정에서 공구선택시 가중치 부여방법

  • 백인환;권혁준;정우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38-42
    • /
    • 1992
  • 기계 가공 분야에 있어서의자동화 기술은 NC 장비로 인해 급격히 진전되고 있다. 대부분의 공작기계들이 NC화로 되는 것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합리적인 수준에서의 자동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삭공정의 자동 화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공구 선택에 있어서 절삭공구에 대한 정보를 확률이론을 도입 하여 처리하여 신뢰성이 있는 최적공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Application of Impact Dampers to Improve Cutting Performance of Machine Tools in Turning Process (선삭공정에서 공작기계의 절삭성능 개선을 위한 임펙트댐퍼의 응용)

  • 정성종;김옥현;박정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4
    • /
    • pp.463-470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절삭공정 중 발생하는 공구의 접촉이탈 현상에 의하여 공작 물의 절삭된 표면중에 한회전 및 그 이전 회전에 절삭된 절삭면의 형상이 현재의 절삭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재생효과(multiple regenerative effect)가 존재하는 선삭 작업에서 공구의 착탈현상을 고려한 비선형채터(nonlinear chatter)를 공작기계의 생 산성의 관점에서 절삭공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석하였으며, 수동제어기의 일종인 임 펙트댐퍼를 절삭공정에 응용하여 절삭작업중에 공작기계의 안정성향상 뿐만 아니라 생 산성의 증가효과를 규명하였다.아울러 댐퍼자체의 설계변수에 따른 채터 억제효과 를 고려하여 최적의 댐퍼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machining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turning (선삭가공에 있어서의 가공 특징형상 추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양민양;이성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b
    • /
    • pp.434-439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선삭가공을 부품에 대한 가공 특징형상 추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면저, 설계 특징형상과 가공 특징형상 을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선삭가공에 사용되는 가공 특징형상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 을 이용하여 주사선(Scan Line)과의 교점으로부터 가공 특징형상을 이루는 요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가공 특정형상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패턴비교 방법에서 주어지 패턴이외의 특징 형상을 추출하기가 어렵고 계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해결되기 어럽던 가공 특징 형상 의 간섭의 검출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Geometry of Chip Breaker of the Cut-off Tools Using Taguchi Method (다구찌 기법을 사용한 절단 바이트의 칩 브레이커 형상에 관한 연구)

  • Shin, Hyun-Soo;Huh, Yong-Je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2-11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무인 생산 공정의 선삭 가공 시 발행하는 칩의 처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삭시 발생되는 칩은 부품의 정밀도와 표면 조도를 저하시키는 등 품질 저하와 함께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칩을, 칩 브레이커를 사용하여 작은 곡률 반경으로 절단함으로써 칩 제거를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그와 함께, 다구찌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칩 브레이커 형상 설계 인자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기어가공 FMC 개발

  • 김선호;김선호;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262-267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의 일환으로 시범적으로 개발한 자동화 모델을 소개한다. 개발된 모델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오일 펌프 드리이브용 기어를 대상부품으로한 FMC(Flexible Manufacturing Cell)로서 선삭과 치절( Hobbing)공정을 자동화 하는 2 Set의 FMC로 구성되어있다. FMC 개발을 위하여 대상부품 특성과 공정을 분석하였으며 개발된 시스템의 구성 및 개별장비에 대한 기능에 대해 기술하였다.

Feed Optimization for High-Efficient Machining in Turning Process (선삭 공정에서의 고능률 가공을 위한 이송량의 최적화)

  • Kang, You-Gu;Cho, Jae-Wan;Kim, Seok-Il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38-1343
    • /
    • 2007
  • High-efficient machining, which means cutting a part in the least amount of time, is the m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is study, a new feed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the cutting power regulation was proposed to realize the high-efficient machining in turning process. The cutting area was evaluated by using the Boolean intersection opera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workpiece. And the cutting force and power were predicted from the cutting parameters such as feed, depth of cut, spindle speed, specific cutting force, and so on. Especially,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optimization method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nd measured cutting forc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optimization method could effectively enhance the productivity in turning process.

  • PDF

Cutting Force Regulation in Turning Using Sliding Mode Control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응용한 선삭공정 절삭력 제어)

  • 박영빈;김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605-609
    • /
    • 1996
  • Continuous sliding mode control is applied to turning process for cutting force regulation. The highest feedrate compatible with the allowable cutting force is applied in rough cutting process such that maximum productivity is ensured and tool breakage is avoided. The programmed feedrate is overridden after the control algorithm is carried out. However, most CNC lathe manufacturers offer limited number of data bits far feedrate override, thus resulting in nonlinear behavior of the machine tools. Such nonlinearity brings “quantized” effect, and the optimal faedrate is rounded off before being fed into the CNC system.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ontinuous sliding mode control is applied. Conventional switching control law at a sliding surface is replaced by a smooth control interpolation in a selected boundary layer to avoid the excitation of high-frequency dynamics.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applying adaptive control.

  • PDF

A Basic Study on the Surface Roughness in Turning Process Considering Taper Angle Variation (선삭공정의 각도변화가 표면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Dong-Hyeon;Choi, Jun-Young;Lee, Choon-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0 no.6
    • /
    • pp.16-21
    • /
    • 2011
  • In machining operation, the quality of surface finish is an important factor for many turned products. In this paper, surface quality in turning machining considering angle variation has been investigated. To reach this goal, surface quality turning experiments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cutting conditions with angle variation. The variable cutting conditions are cutting speed, feed rate and taper angle of workpiece.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and the effects of cutting condition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OVA, it is found that a better surface roughness can be obtained as decreasing feed rate, increasing cutting speed. Taper angle variation has been more influenced by feed rate and cutting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