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조종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hips in confined water including the effect of wind and current (외력의 영향을 고려한 제한수역에서 선박간의 상호작용)

  • Lee, Chun-Ki;Kang, Il-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9 no.2
    • /
    • pp.112-119
    • /
    • 2003
  • 제한수역에서 바람과 조류와 같은 외력을 받으며 항행하는 선박들 사이에는 대양에서 항행할 때와는 달리 상호간에 여러 가지 작용이 일어나면서 선박의 안전이 위협받는 수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협수로와 같은 제한수역에서, 해난사고를 피하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선박들간의 적절한 안전속도 및 안전거리를 제안하기 위해 선장비, 속도비, 풍향, 풍속, 유향 및 유속 등을 파라메타로 해서 조종운동 시뮬레이션 계산을 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계산 결과, 두 선박 간의 상호 영향은 대형선박에 비해서 소형선박에 보다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도비 1.2 의 경우가 속도비 0.6, 1.5의 경우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한편, 외력하에서 항행하는 두 선박에 있어서, 고속 선박에 비해서 저속 선박에 미치는 외력의 영향은 상당히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조선할 때, 이 점에 유의하여 항행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System Configuration of Ship-handling Simulator Based on Distributed Data Processing Network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win-Screw and Twin-Rudder Ship- (분산처리네트워크에 기반한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2축2타선박을 대상으로-)

  • Kyoung-Ho Sohn;Yong-Min Kim;Seung-Yeul Yang;Ki-Young H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25 no.4
    • /
    • pp.443-453
    • /
    • 2001
  • 선박조종시뮬레이터는 해기사의 교육 훈련, 항만 수로 설계 시 안전성 평가, 선박설계시 조종성능의 검토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개발한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소개하고 개발 과정과 활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Operation Panel, Instructor's Console, Ship Dynamics Calculation, 3D Bridge View, 2D Bird's Eye View 및 Navigational Indicators의 6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8대의 퍼스널 컴퓨터가 배치되어 있다. 모든 구성요소들은 효율적인 정보 교환을 위하여 분산처리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항만내에서의 저속 시 조종운동 수학모델과 가상현실 모델링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부산항에 대한 2축2타선박의 접안 조종 시뮬레이션 예를 보여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atabase Construction using ENC and DTED (ENC와 DTED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제작 개선에 대한 연구)

  • Kim, Won-Ouk;Kim, Jong-Su;Hong, Jeong-Hy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4 no.3
    • /
    • pp.13-19
    • /
    • 2005
  • 선박조종시뮬레이터는 교육훈련생들에게 실제와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여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는 선박의 정확한 수학적 모델과 실제와 거의 동일한 3차원 화면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와 고도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제작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전자해도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어 정확성이 가장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심, 항해물표 등 각종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보다 많은 정보를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도데이터의 경우 그 정확성으로 기존의 해상환경 데이터베이스보다 훨씬 현실감을 준다. 전자해도 및 고도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상환경을 제작 시 정확한 많은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제작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uilding of Remote Simulation System for Steering Gear (원격 조타기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 서기열;홍태호;김화영;박계각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3.05a
    • /
    • pp.105-110
    • /
    • 2003
  • 현대의 선박운항에 있어서 선내 노동의 경감과 운항의 안정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선박 자동차 및 원격 조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선박조종 및 작업제어를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통합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선박 및 어선과 같은 환경에서의 지능형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선박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선박 운항자의 원격지시로 선박의 조타기를 제어하는 지능형 조타제어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용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는 지능형 학습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퍼지 조타수 조작 모델을 구축하여 조타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모형선박(Miniature Ship)의 조타 시스템을 PC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Effect of the Ship's Route Exchange through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통한 선박 경로 교환의 효과 분석)

  • Paek, Yun-Ji;Jung,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1
    • /
    • pp.10-17
    • /
    • 2018
  • To prepare th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e-naviga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route exchange for sharing intended routes between ship and ship, and between ship and land. But they don't have enough specific grounds for the effects of route exchange and the necessity of its introduction and focus on technical aspects like the implementation of route exchange. This study tri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route exchange on sailing safety with the use of ship handling simulation, integrate simulation performers' subjective evaluat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ute exchange. The ship-to-ship route exchange resulted in the initial collision avoidance action time was 3.43 minutes faster, the collision avoidance direction change rate was 60 %, the proximity to target A was 31 %, and Mean Rudder Angle Index decreased by 57 %. In addition, 95 % of the survey respondents had an effect on the decision making of collision avoidance, 85 % had a positive impact on safety navigation, 90 % had an accident prevention effect, 70 % reduce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officers, and 70 % should be introduced in practice.

FMSS를 이용한 사고분석 방법

  • 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74-76
    • /
    • 2011
  • 다기능 선박조종시뮬레이터(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를 이용한 사고분석 방법은 먼저 사고관련 정보기록을 수집하여 이에 맞는 항만/해역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 선박의 제원, 사진 및 기타정보를 토대로 일반적인 변수 값 기관 특성정보, Hydrodynamic 특성 변경과 선박의 외형에 따라 선박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시험운항을 통한 수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만들어서 사고 당시를 재연하면서 그때, 그때의 상황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게 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의 본선 도메인 침공 연구

  • 임정빈;예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2-173
    • /
    • 2021
  •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이 발생하면 선박은 충돌위험에 처하게 됨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 필요하다. 연구 목적은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이 선박충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선박의 터닝서클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관측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지연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어지연(시간)에 따른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의 선회권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어지연에 의해서 본선 도메인 침공당하는 방위와 최소거리 분석 가능함을 알았다.

  • PDF

울산신항 남항지구 동북아오일허브 남방파제 선박 통항안전성 분석

  • Kim, Se-Won;Lee, Yun-Seok;Yun, Gwi-Ho;Park, Yeong-Su;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3-495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울산신항 오일허브 1-2단계 20부두 계획안 중에서 대상선박 20만 DWT급, 30만 DWT급 유조선의 제4항로와 신항 북쪽과 남방파제 사이에서의 교행통항 등에 대하여 최악의 자연환경조건을 설정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선박통항 안전성 평가의 결과에 따른 대상선박 및 항행여건의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제안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hip Manoeuvring PC Simulator Based on the Network (네트워크 기반의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발)

  • Choi, Won-jin;Kim, Hyo-Il;Jun, Seung-Hwa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6
    • /
    • pp.403-412
    • /
    • 2019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oeuvring motion of a ship are dependent on the ship type, as well as draft or speed in the same ship.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extra-large vessel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ch can cause enormous material and environmental damage in the event of a marine accident. Thus, the importance of ship maneuvering is increasing. The IMO has forced the officers to be trained in simulators through the STCW 95 amendment. However, FMSS is costly and difficult to access and the PC-based simulator has the disadvantage that only one person can engage in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FMSS and PC-based simulators by enabling multiple people to use their PCs to simulate based on a network. The simulator is implemented through the analysis and numerical calculation of the Nomoto model, Radar function mounting, data transfer protocol design, and GUI building. To verify the simulator,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test results of T.S. HANBADA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Korean Register of Shipping(KR) and IMO standards for ship maneuverability. As a result, It showed a relative error of 0%~ 32.1% with an average of 13.7%, and it satisfied the IMO criteria for ship maneuverability.

Study on Improving the Navigational Safety Evaluation Methodology based on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y (자율운항기술 기반의 선박 통항 안전성 평가 방법론 개선 연구)

  • Jun-Mo Par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30 no.1
    • /
    • pp.74-81
    • /
    • 2024
  • In the near future, autonomous ships, ships controlled by shore remote control centers, and ships operated by navigators will coexist and operate the sea together. In the advent of this situation, a method is require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plan to evaluate the safety of navigation through ship control simulation was proposed in a maritime environment, where ships directly controlled by navigators and autonomous ships coexisted, using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y. Own ship was designed to have autonomous operational functions by learning the MMG model based on the six-DOF motion with the PPO algorithm, an in-depth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 The target ship constructed maritime traffic modeling data based on the maritime traffic data of the sea area to be evaluated and designed autonomous operational functions to be implemented in a simulation space. A numerical model was established by collecting date on tide, wave, current, and wind from the maritime meteorological database. A maritime meteorology model was created based on this and designed to reproduce maritime meteorology on the simulator. Finally, the safety evaluation proposed a system that enabled the risk of collision through vessel traffic flow simulation in ship control simulation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