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조종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제주 애월항 개발사업 해상교통안전진단

  • Yang, Yeong-Hun;Gong, In-Yeong;Yun, Geun-Hang;Jeong, M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17-319
    • /
    • 2012
  • 제주 애월항내에 LNG 공급에 필요한 인수기지 건설 및 연안화물 수송을 위한 항만시설 건설 계획에 따라, 3천DWT급 LNG 운반선 및 모래운반선, 시멘트 운반선 부두가 신설될 예정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두 건설을 위해 국토해양부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 의거 안전진단을 수행하였다.

  • PDF

동부그린발전소 부두 건설 해상교통안전진단

  • Yang, Yeong-Hun;Gong, In-Yeong;Seo, Tae-Ho;Baek, Mi-Seon;Jeong, M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26-328
    • /
    • 2012
  • 충남 당진군 동부그린발전소를 건설하려는 계획에 따라, 15만 DWT급 석탄운반선 부두 및 3천 DWT급 석회석운반선 부두가 각각 1선석씩 건설될 예정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두 건설을 위해 국토해양부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 의거 안전진단을 수행하였다.

  • PDF

보령항 진입항로 안전성 평가

  • 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9-30
    • /
    • 2014
  • 현재 보령항은 진입항로에 있어 어청도에서 도선점에 이르기까지의 해역에 무질서하게 상존하는 어망 때문에 교통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이에 따라 어청도 인근까지 항로를 연장하던가, 추천항로를 설정하여 대형선박의 통항을 어망이 없는 곳으로 유도하거나, 도선점을 어청도 인근으로 이전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기 수행된 신보령 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 연구용역 사례를 토대로 진입항로에서의 안전성을 평가 한다.

  • PDF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근접도평가 검토 방안 고찰

  • 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19-221
    • /
    • 2012
  • 근접도 평가시 충돌(침범)확률이 0.0001이하면 안전하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안전진단서상 수치가 0에 수렴하는 경우가 많아 간과하기 쉬우며 이 값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접도 평가 결과를 손쉽게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평균값과 표준편차값이 갖는 의미를 해석하여 안전진단 검토 및 사전검토서 작성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포항항 스웰 개선대책 시설물 해상교통안전 진단 사례

  • Gang, Jeong-Gu;Yun, Su-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38-340
    • /
    • 2012
  • 항만의 시설물을 개선함에 있어서 해상교통안전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항항 스웰개선대책 시설물 건설 관련된 해상교통안전진단 사례 소개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llision-Avoidance Capability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Using FMSS (FMSS를 이용한 자율운항선박 충돌회피능력 정량화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 Bae, Seok-Han;Jung, Min;Jang, Eun-Kyu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6
    • /
    • pp.460-468
    • /
    • 2020
  • Research related to the technology developed for the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 is currently underway. Although one of those core technologies is collision-avoidance technology for ship operators at sea, no research has been done to objectively quantify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o examine the collision-avoidance ability of MASS. Ship-control experts performed a ship-handling simulation for each ship encounter type using the Full 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 (FMSS). We used the resulting data and technical statistic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hat utilized FMSS to quantify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the collision-avoidance technology. This evaluation model also can be used at sea to assess deck officers' ability to use the technology and to improve and develop other MASS technologies.

국내 해상교량 주요 제원 분석

  • Song, Jae-Uk;Lee, Yun-Seok;Jeong, Min;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66-268
    • /
    • 2007
  • 최근 국내의 각 주요 항만 내 ${\cdot}$ 외에 대형 해상교량이 건설되었거나 건설 진행 중이다. 해상교량 중 주로 선박통항이 빈번한 항로부근에 설치되어 선박통항안전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량이나, 항내의 접안시설과 항만 기반 시설에 근접하여 설치된 교량은 선박의 통항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항만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해상교량에 대한 현황 및 주요 제원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선박 통항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인 주경간장, 형하고 등의 주요제원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다.

  • PDF

Simple Kinematic Model Generation by Learning Control Inputs and Velocity Outputs of a Ship (선박의 제어 입력과 속도 출력 학습에 의한 단순 운동학 모델 생성)

  • Kim, Dong Jin;Yun, Kunha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5 no.6
    • /
    • pp.284-297
    • /
    • 2021
  • A simple kinematic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hip manoeuvres based on trial data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model consists of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s in surge, sway, and yaw directions which simulate the time series of each velocity component. Actually instead of sea trial data, dynamic model simulations are conducted with randomly varied control inputs such as propeller revolution rates and rudder angles. Based on learning of control inputs and velocity outputs of dynamic model simulations in sufficient time, kinematic model coefficients are optimized so that the kinematic model can be approximately reproduce the velocity outputs of dynamic model simulations with arbitrary control inputs. The resultant kinematic model is verified with new dynamic simulation sets.

A Study on Estimation Technique of Manoeuvring Difficulty Using the Ship Manoeuvre Simulator for Berthing/Deberthing (선박 접이안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조종위험도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 Yang Seung-Yeul;Sohn Kyoung-Ho;Lee Hee-Yong;Ha Mun-Keun;Kim Hyun-Soo;Lee JIn-Ho;Im Nam-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11a
    • /
    • pp.81-87
    • /
    • 2004
  • It includes the considerable concentration and dangerousness as the peculiar work of a pilot and dock-master to berthing/deberthing the big object as for the ship within the port or the ship yard. A tug utilization is getting increased in this berthing/deberthing work and the own ship is affected a lot by external force due to moving with low advance speed.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he 2 dimension virtual system which can conduct the berthing/deberthing manoeuvring work by using mainly tugs in a external force, particularly strong wind. Also, propose objective standard that could estimate the degree of manoeuvring difficulty, and conducted simulation experiment for this. we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ive estimation which is described numerically the decreased dangerousness and the objective index which is related to the main parameter regarding manoeuvring by using this simulator from the result of conducting simulation experiment. And then we discussed the estimation technique of manoeuvring difficul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