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자동화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50-152
    • /
    • 2018
  • 국제해사기구의 MSC 98차 회의에서 새로운 도출 의제로 MASS(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가 포함됨에 따라 선박 자동화와 무인화는 해상분야의 국제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유럽의 선급과 연구소 및 제조사 등은 선박자동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기술요소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선원의 역할과 교육분야에 대한 고려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항해사 또는 육상관리자에게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여 각 면허에 대한 적용안과 교육 및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조사하고, 현재 항해사 및 선장 에게 요구되는 STCW 해기능력을 항목화 하였다. 선박의 자동화와 원격운항의 적용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고 자동화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해기능력과 면허의 구분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업계와 해기교육기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선박자동화와 인적요소에 대한 자동화 수준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대형선박에서의 계산기 응용

  • 김방광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53-56
    • /
    • 1975
  • 선박에 본격적으로 자동화시스템이 채용되게 된 것은 1960년대의 일로서 주기관을 Bridge에서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기관실에도 Control Room을 만들어 주기 및 보기등의 원격제어와 집중감시를 Control Console에서 가능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세계무역량의 증가로 인한 선복량의 증가와 선원의 부족현상은 선박에도 고도의 자동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선진조선국들은 선박자동화의 기술개발에 힘써 현재에는 각국의 선급협회들도 모두 기관실무인화에 관한 규격을 제정하여 이에 합격한 선박에 대해서는 부호들을 붙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기관실무인화는 자동화기술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기술적으로 더욱 1보 전진하여 선박에 Computer를 탑재하고 기관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항법과 선체 및 의장계통에까지 광범위하게 응용하기에 이르렀으며 실험단계를 거쳐 세계각국에서 실적선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 PDF

선박의 자동화와 Computer의 이용

  • 하주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 no.1
    • /
    • pp.59-74
    • /
    • 1977
  • 박용분야에 있어서 과거 10년간 가장 진보된 것의 하나는 저동화이다. 과거에 있어서 주기관의 성능과 축계의 강도상의 문제등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졌던 선박관계자가 그 이상으로 자동화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성역화에 의한 승무원의 노동조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자동화에 의한 승조원의 수를 삭감하여 운항비를 낮추어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망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석유 파동이후, 세계각국이 저성장기를 맞아 선박자동화도 당분간 별 진전이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 1 예로서 일본 NK의 발표에 의하면 각 년도별 MO입급선의 전입급선에 대한 비율이 1972년의 35%를 피이크로 하여 1975년도에는 10%로 감소하고 있다. Computer를 탑재한 초자동화선의 운항척수도 점차 증가 되고 그 신뢰성도 인정이 되고는 있지만 1980년대 전반까지는 초자동화선에 대한 반성기가 계속될 것으로 보아지며, 보다더 가격이 저렴하고 이용율이 높은 Mini-Computer의 사용에 의한 단순화, 통일화가 앞으로 촉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원고에서는 선박자동화의 현황과 선박의 Computer Control System에 대해서 극히 개괄적으로 또한 피상적으로 소개하는데 그쳤다. 자동화의 각기기에 대해서는 지면상 언급하지 못하였으니 본 원고 말미의 참고문헌이나 이에 대한 전문서적을 참고하여 주기 바란다. 멀지않은 장래 Computer가 선박운항에 필요 불가결한 기기로 등장할 것만은 사실일 것으로 보아지는 바 선박관계자로 하여금 이러한 분야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본고가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 PDF

Application of Simulation Technique to the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의 설계 및 운용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

  • 장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25-35
    • /
    • 1998
  • 정부는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은 선박하역을 담당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애드크레인을 무인 혹은 유/무인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선박과 야드간 이동은 AGV를 이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척의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가상의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 크레인 수, AGV 대수, 야드 크레인수 등을 변화시켜가면서 터미널의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의 최적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기 위한 구상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Automatic Hull-form Optimal Design of Container Carriers Using HOTCONTAINER (HOTCONTAINER를 사용한 컨테이너선의 선형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 Hee Jong Choi;Hyoun Mo K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30 no.1
    • /
    • pp.118-126
    • /
    • 2024
  • In this paper,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related to the automation of the hull-form optimal design of container ships are summarized. A container ship is a ship that generally operates near Froude number of 0.26. To implement hull-form optimal design automation for ships operating at this speed, an optimization algorithm, a hull-form change algorithm, a ship performance prediction algorithm, an automation algorithm, and an iterative calculation technique were applied to develop a numerical analysis computer program that enables hull-form optimal design automation of the container ship, and it was named HOTCONTAINER. In this study, a sensitivity analysis algorith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ppropriately set design variables for hull-form optimal design. To understand the reliability and real ship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algorithm, a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KCS(KRISO Container Ship), a container ship tha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worldwide. Consequently, the optimal ship was derived, and the wave resistance, wave pattern, and wave height of the target and optimal ship were compared. In conclusion, compared the target ship, the optimal ship a 47.63% decrease in wave resistance, and the displacement and wet surface area decreased by 0.50% and 0.39%, respectively.

Ship Motion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Ship Control System using Intelligence Techniques (지능형 자율운항제어시스템의 운동제어시스템)

  • 이원호;김창민;최중락;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05a
    • /
    • pp.43-47
    • /
    • 2002
  • 선박 업계의 항해 인력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박의 지능화 및 자동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선박의 지능화 및 자동화를 위해 지능형 자율운항제어시스템(Autonomous Ship Control System using Intelligence Techniques)이 개발되고 있다. 지능형 자율 운항제어시스템은 선박운항에 있어 항해계획을 수립하고 현재의 선박운항 상태를 파악하여 선박을 적절히 제어하는 항해 전문가의 능력을 전산화 한 것이다. 지능형 자율운항시스템은 항해, 충돌회피, 선체유지, 자료융합, 운동제어, 통합 아키텍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박 운동제어시스템은 상위 레벨의 고수준제어 요구치를 하위레벨의 저수준제어치로 변환하는 제어기이다. 본 논문에서 선박의 물리적 특성을 모방하기위해 Oldenburger 제어 이론에 기반한 선박 제어기를 설계하고,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검정을 위해 선박시뮬레이터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한다.

  • PDF

Design of Vessel Autopilot System using Fuzzy Control Algorithm (퍼지제어 알고리지즘을 이용한 선박의 자율운항 시스템 설계)

  • Choo, Yeon-Gyu;Lee, Kwang-Seok;Kim, Hyun-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724-727
    • /
    • 2007
  • 선박 운항 자동화 시스템은 선내 노동력 감소, 작업 환경 개선, 운항 안전성 확보 및 운항 능률의 향상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는 운항 경제성확보를 위한 승선 인원의 최소화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에는 적응 제어방법 등을 응용하여 선박의 비선형성을 보상하여 선박의 회두각 유지제어(Course Keeping Control), 항로 추적제어(Track Keeping Control), 롤-타각제어(Roll-Rudder Stabilization), 선박 위치제어(Dynamic Ship Positioning), 선박자동 접이안(Automatic Mooring Control)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실제의 선박으로 대상으로 응용연구가 진행 중이다. 선박은 Steering Machine에 의해 조정되는 Rudder angle과 선박의 회두각의 관계는 비선형적이며, 선박의 Load Condition은 선박의 Parameter에 영향을 주는 비선형적인 요소로서 작용한다. 또한 외란요소인 파도의 유속(流速)과 방향, 풍속과 풍량 등이 비선형적인 형태로 작용하므로 선박의 운항을 힘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시스템에는 비선형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한 제어 알고리즘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박의 비선형적인 요인 및 외란을 극복할 수 있는 선박의 자율운항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An Route Planning for the Navigation System of Autonomous vessel (무인선박의 항해시스템을 위한 항로계획 기법)

  • Cho, Jae-Hee;Ji, Min-Su;Kim, Yong-G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4
    • /
    • pp.418-424
    • /
    • 2005
  • For the safety and cost reduction of the navigation in the sea, we need automatic and intelligent system for the ship. For the ship automation, we need a route planning based on GPS and the nautical chart.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ute planning technique using point of contact of the obstacle and treecreation techniqu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proved by comparing with A* search technique that is the most famous search technique for route planning from the optimal point of view.

선박 충돌사고 예방을 위한 소형 어선의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자동화 방법 기초 연구

  • 박상아;김태연;유광민;박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47-14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 어선에서 항해사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오류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는 선박 충돌사고를 예방하여 항행안전을 도모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총 16년의 해양사고재결서를 수집하여 주제어, 사고 관련 법규, 사고위치, 사고일시 등 사고 관련 내용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기반으로 원인판단 주제어와 사고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계소흘은 충돌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경계소홀의 원인은 무리한 조업으로 인한 피로 누적과 졸음이 상당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소형 어선의 선박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계소흘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기술 개발에 따른 자동화 등의 방법을 통해 소형 선박 충돌사고 예방 연구가 적용되어야 한다. 추후에는 소형 어선의 작업 특성을 분석하겠으며, 실제 충돌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