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의 안전

Search Result 3,9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Applications for the Ship Safety Education (선박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Kyung-Woo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8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에서 잦은 선박사고와 지속적인 인명피해가 초래됨에 따라 선박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통 및 산업안전분야에서는 온 오프라인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선박안전은 거의 오프라인교육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선박안전교육을 위해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안전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선박안전교육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 PDF

The study of Ship Safety management Using RFID Technology (RFID기술을 활용한 선박안전관리 합리화방안 기획연구)

  • Jeong, Yong-Geun;Choung, Gyo-Kwang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4
    • /
    • pp.74-89
    • /
    • 2008
  • 본 연구는 RFID기술을 활용한 선박안전관리에 대한 것이다. 최근 선박안전법 개정으로 2008년부터 2톤 미만의 선박검사와 수상레저기구의 검사 등 선박의 종류 및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어 선박의 등록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RFID기술은 다양한 산업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선박안전관리법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RFID기술을 선박에 적용할 경우 선박의 도난 및 미수검 선박 방지에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남항 선박통항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해상교통 조사 분석 및 대책 방안 연구

  • Kim, Seok-Jae;Kim, D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06-208
    • /
    • 2010
  • 부산남항은 개항질서법상 항계 밖으로 1975년부터 부산시가 관리권을 위임받아 관리하는 지방정부가 관리하는 항구로서 하루 평균 약 450여척의 선박이 계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빠르게 운항하는 여객선, 냉동운반선, 수리조선소의 각종 이동선박 및 어선 등 많은 선박이 통항하고 있으나 선박통항의 해상교통관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항상 선박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남항 선박통항의 안전성 증대와 안전사고 대책 등을 대비할 수 있는 총체적인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부산남항의 해상교통 상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적합한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장단점 비교 분석한다. 해상교통량을 조사한 결과 하루 평균 1,157척, 1시간 평균 48척으로 선박통항량이 가장 많은 시간인 16~17시 사이에는 120척의 선박이 통항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박통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을 반드시 운영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좁은 수역에 가장 효율적인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설계 분석하여 그 대책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Issues and Regulatory System of on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MASS) (자율운항선박 운용에 따른 안전위험 이슈 분석 및 안전규제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자율주행자동차 사례와 비교하여)

  • Hye-Ri PARK;Min-Ji JEONG;Han-Se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93-194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이 집약된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주목받고 있는 반면, 실제 선박 운항 중 많은 위험요소들로 선박 안전상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양교통에 있어 안전규제는 해사안전 증진 및 해양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자율운항선박 시대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자율운항선박 시대 준비를 위한 안전규제의 재정립은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안전관리체계 정비를 위한 핵심사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국내·외에서 논의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 운항을 위한 규제 개발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안전규제체계 개선을 위해 실제 상용화를 앞둔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위험 이슈 분석 사례를 기반으로 자율운항선박 운용에 따른 안전위험 이슈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을 위한 규제 개발 논의 시점에서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 및 안전규제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roduction of "The programme for enhancing ship safety in Algeria" ("알제리 선박안전성 제고 지원사업" 추진현황)

  • Min, Yeong-Hu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77-93
    • /
    • 2008
  • 최근 알제리는 선박건조사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선박안전관리 시스템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 알제리의 선박안전 관리 시스템은 과거 프랑스 식민지 시절 마련된 제도를 사용하고 있고, 급격히 변화된 각종 국제 해사기구의 제도 및 협약 수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선박안전제도는 과거 일본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였으나, 경제적 성장 및 조선산업의 성장, 세계선복량의 증가에 따른 기술 개발과 제도개선으로 과거의 제도로부터 탈피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한 선박안전관리 시스템을 서서히 구축하고 있다. 이에 알제리 정부는 우리나라의 이러한 변화와 선박관련 기술 발전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의 선박안전관리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금번 알제리 선박안전성 제고사업은 우리 공단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간의 용역계약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으로 알제리 교통부의 요청과 KOICA의 알제리 현지 타당성 조사를 거쳐 이루어진 사업으로 크게 알제리 선박안전법령 등의 개선, 알제리 연수생 초청 교육 및 선박검사 시 필요한 검사 기자재 등의 제공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단의 선박안전관리분야 Know-how를 알제리에 제공함으로써 알제리 선박안전 관리체제 마련에 일조하고, 향후 해사안전 분야에서의 알제리와 우리나라와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목표를 두고 추진되고 있다.

  • PDF

중소형선박 안전 서비스 정의서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Gang, Won-Sik;Choe, Chung-Jeong;Kim, Yeo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77-78
    • /
    • 2019
  • 인천시는 2017년 12월에 발생한 진두항 낚시어선 충돌사고 등 선박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박충돌경고, 해상안전정보 제공, 실시간 자동 입출항 관리, 해상 e-Call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선박안전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확화고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서비스 정의서 개발을 통해 향후 다양한 서비스 설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안전 실증사업 서비스 정의서를 개발하기 위해 대상이 되는 중소형선박 운항자 및 유관기관 종사자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도출된 사항을 바탕으로 서비스 정의서 개발 및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선박안전운행 시스템이 구축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상교량 시설한계 결정시 선박 제원에 관한 고찰

  • 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6-498
    • /
    • 2013
  • 최근 항만을 비롯한 연근해에 해상교량이 계획되어 다수의 해상교통안전진단이 수행되고 있다.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주경간장에 따른 항로 폭이 될 것이다.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항로 폭을 결정하는데 있어 어떤 선박을 대상선박으로 하느냐, 대상선박의 제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해상교량의 시설한계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되고 있는 해상교량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삼산 연육교의 대상선박은 대상해역을 통항하지 않은 유도탄고속함(570톤)과 통항빈도가 거의 없는 예인선열이 이슈가 되고 있다. 둘째, 사양-와교의 대상선박은 통항한 적이 없는 여수해양경찰서가 보유한 최대선박인 640톤급 517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해상 교량의 시설한계의 문제만이 아니라 해상교통안전진단 사업인가 안전진단 보고서 제출면제 사업인가에 대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건의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 대한 안전진단대행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후 통일된 선박 및 선박의 제원에 대한 통일된 기준안을 마련하여 안전진단시 통일된 기준을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 PDF

RFID기술을 활용한 선박안전관리 합리화방안 기획연구

  • Jeong, Gwang-Gyo;Jeong, Yong-Geun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5
    • /
    • pp.1-73
    • /
    • 2007
  • 본 연구의 목표는 RFID기술을 활용하여 선박검사업무의 신속한 처리와 2톤 미만선박 및 수상레저기구 등에 대한 선박관리,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조 원활 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선박을 관리할 수 있는 선박안전관리시스템 도입에 대한 필요성및 타당성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한 최적의 선박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으며,이를 위하여 각종 실험을 통하여 RFID시스템 선박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환경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RFID시스템 도입의 효율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여본 연구의 달성도를 높이고자 함.

  • PDF

Ship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real-time ship operation data (실시간 선박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 안전관리 방안)

  • Seong-Phil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84-285
    • /
    • 2022
  • 기존 선박의 안전관리는 선박의 선원들에 의해 많은 부분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최근 위성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선박에 있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기반의 선박 안전관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데이터 수집을 통해 어떻게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ime Basis Ship Safety Assessment model for a Novel Ship Design (신선종 설계를 위한 사고 전파시간 기반의 선박안전성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Jo, Min-Chul;Kim, Hwa-Young;Kim, Joo-Hwan;Kang, Hee-Ji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7
    • /
    • pp.88-97
    • /
    • 2014
  • 새로운 선박을 설계하거나 기존의 규칙, 규정을 따르지 않는 대체설계를 수행할 경우에는 인명, 환경 및 재산 등과 관련한 선박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존 선박 이상의 안전성을 갖고 있음을 반드시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IMO 공식안전성평가 등 기존의 위험도 기반 방법론, 절차 및 도구들은 실제 선박의 설계에 적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선박설계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