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관리

Search Result 1,09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영상인식기반의 선박 의약품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

  • 박지해;최원진;문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20-221
    • /
    • 2022
  • 선박에선 의료관리자가 선박 의약품의 처방 및 관리를 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항해사로 지정된다. 항해사의 고유 업무와 전문의료지식 부족으로 의약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수기로 기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인식기반의 선박 의약품 종합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의약품 관리를 자동화하고 의료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시스템은 의약품 용기·포장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글자를 인식하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을 활용한 모듈, 바코드를 인식모듈,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되어있으며 선박 의약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전산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을 통하여 의약품 재고 관리를 하거나 의약품의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Study on Basic Characteristics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Engine Management in a Ship (선박 엔진관리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초 특성 연구)

  • Bae, Jung-Chul;Jeon, Goo-Yang;Ha, Yeon-Chul;Ryu, Han-Sung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7
    • /
    • pp.53-62
    • /
    • 2009
  • 오늘날의 선박은 디지털 선박(Digital-ship)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일부 유비쿼터스(Ubiquitos) 기술을 기반으로 e-Navigation 및 VTS(Vessel Traffic Service) 등 안전 항해 및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선박에 대한 안전시스템이 미비하고, 선박의 주요 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선박 연구에 있어서 안전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많았으나 선박의 재질(철판) 및 밀폐환경에 의해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은 선박 내의 전파 특성을 분석하여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지그비 네트워크 구성으로 선박 내 엔진관리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내항 유선의 선박관리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 유용웅;황현호;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0-12
    • /
    • 2021
  • 유선은 수상에서 고기잡이, 관광, 그 밖의 유락하는 사람을 승선시키는 것 등 「해운법」을 적용받지 아니하는 유선사업에 종사하는 선박으로, 안전관리 부분의 경우 해양경찰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선령기준 초과 유선의 선박검사 및 선박관리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해양경찰청에서는 노후 유선에 대한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평가 하고 있으나, 기존의 여객운송사업의 선박관리평가 기준을 준용하여 평가함에 따라 내항만을 통항하고 출발지와 도착지가 동일한 관광등의 유람 목적 등 유선의 특수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의 통항 특성과 일반적인 운영 환경등을 고려하여 유선에 적합한 선령기준 초과 유선의 선박 검사 및 관리평가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Growth & Selection Criteria of Ship Management Firms and Its Implications (선박관리업의 성장 및 선택기준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 Kim, Hyun-Duk;Ryoo, Dong-Keun;Kim,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8a
    • /
    • pp.277-290
    • /
    • 2006
  • A shipping operation broadly breaks down into: the acquisition of the ship, securing income from the ships, operating the ships, and running the business. For all ships these functions have to be performed. But most important thing is whether it is a better option for some or all these activities to be undertaken by a third party manager rather than resource them in-house or not. However, the size of ship management market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over the last decades to achieve cost-savings. The ship management is considered as creating high added value and contributing to national economic growth. This paper will analyzes development trends of ship management and market, and carry out comparative studies with Korean ship management companies and an empirical studies on selection criteria of ship management firms. In doing so, som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will be suggested in order for Korean ship management companies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gain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

  • PDF

A Study on the Capability Analysis of Ship Management Superintendent(SI) for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MASS) - Based on the 3 Stages of the IMO's Classification of Monitering Ship (자율운항선박에 대비한 선박관리감독(SI) 역량 분석에 관한 연구 - IMO 분류 3단계 Monitoring Ship 기준 -)

  • Jin-Ok Jung;Jung-Woo Nam;Jeong-Min Lee;Dae-song Han;In-Gwon Na;Yul-Se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76-77
    • /
    • 2021
  •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ships, it is necessary to train professional ship management supervisors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the ship's safety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apabilities required of ship management supervisors in preparation for introduction to autonomously operated ships for ship management supervisors in the field, and to suggest future capability development plans.

  • PDF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Hyoun-Sup;Park, Sung-Hoon;Lee, Kyu-Hwa;Choi, Yong-Jun;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02-1105
    • /
    • 2013
  • 최근 선박 산업의 동향은 신규 건조는 줄어들고 기존에 건조한 선박을 최대한 관리하여 수명을 늘려 나가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선박 수리 산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선박 수리 산업의 현재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선박 수리를 위해 필요한 수리 장비 관리, 하청업체 관리, 수리 스케줄 관리 등의 주요 기능들이 아직까지 수작업으로 처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코드를 수리 장비에 부착하여 관리하고 하청업체의 정보와 관리 시스템의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Data Model for Exchanging Information of the IMS for Ship Repair (선박수리용 IMS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모델)

  • Kang, Hyo-woon;Lee, Kyu-hwa;Lee, Jae-myung;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316-318
    • /
    • 2014
  • 선박수리 산업의 발전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박수리 산업의 발전과는 달리 관리는 기존의 수기형식이나 각각의 프로그램을 간단히 이용하는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관리 시스템 자체를 두지 않거나 일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사례는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선박수리용 통합관리 시스템(IMS(Integrate management System)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선박수리용 IMS는 각 시스템간의 정보를 주고 받아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수리용 IMS 정보 교환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각각의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빠르게 접근하며 사용 중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선박수리에 맞는 View를 설계하여 선박수리에 맞는 데이터모델을 설계한다.

  • PDF

De Lege Ferenda for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Sunken Vessels (침몰선박 관리체계의 개선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 Jeon, Yeong-Woo;Jeon, Hae-Dong;Hong, S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5
    • /
    • pp.462-472
    • /
    • 2017
  • Sunken vessels on major fairways can cause many problems in terms of maritime safety and the marin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marine pollution accidents caused by sunken vessels, information on sunken vessels has been collected, a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and the relevant vessels are being manag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assessment. However, there is still a demand for improvements. The most important of the improvement plans is a paradigm shift.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of sunken vessels needs to be transformed according to a new paradigm to manage all sunken vessels within three years from the time of sinking. Legislative improvements are also needed for the reporting system for sunken vessels, risk assessment tools, the implementation of risk mitigation measures, and criteria for the implementation cost of risk mitigation measures. In addition, close coordination between marine pollution response and sunken vessel management efforts is needed. As the division of duties between the Korea Coast Guard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vagu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ministries is required. Close collaboration is also needed between the departments of navigation safety management and sunken vessel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ystem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between the two administrative operations using the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to determine the navigational risk posed by obstacles with regard to the Maritime Safety Act.

정책동향 - 어선 검사제도의 변화

  • Kwon, Yong-Cheol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7
    • /
    • pp.63-71
    • /
    • 2009
  • "선박안전법"에 따른 선박 설비기준 및 검사업무에 관한 규정 가운데 어선 관련 부분을 어선법(법률 제9718호, 2009. 5. 27 공포, 2009. 11. 28 시행)으로 이관하여 어선관리업무를 일원화하고, 어선에 관한 검사 및 검사대행기관 지정토록 개정되어, 그에 따라 어선 검사제도의 변화를 통하여 어선관리업무의 정책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PDF

AIS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궤적의 분석

  • Jeong, Jung-Sik;Park, Gye-Gak;Kim, Eu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8-40
    • /
    • 2012
  • 해상 교통량 증가로 급증하는 선박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 운항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최근 SOLAS에서 300톤 이상 급에 대해서는 AIS의 의무 장착이 제정되면서 선박 운항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S의 정적,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계내 통항 선박의 궤적의 곡률을 분석하여 불규칙 이동 조종선박의 움직임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과거 누적 데이터의 퍼지이론을 활용한 이상 거동의 선박식별 시스템은 전문가 시스템에 의존하여 항적의 비정상성을 판단하므로 항로의 특성에 따른 실 항해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박 움직임에 대한 궤적의 시간 AIS 정보를 활용하여 항로이탈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곡률분석, 항로선으로부터 좌우의 변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VTS 및 VMS의 응용서비스로서 해양사고의 사전예방을 위한 연안 및 항만수로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