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망어업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서부태평양해역에서의 다랑어 선망어업의 어군성상과 연직수온 (Property of fish school and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of Tuna Purse Seine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 김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3호
    • /
    • pp.237-241
    • /
    • 1999
  •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dition of fishing ground gave what kind of effect school type in relation to the property for the target school after the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and school type were observed when tuna purse seiner for tuna purse seine was opera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round the equator between December 12, 1993 and January 26, 1994. 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is study divided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a one targeted-operation, and the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that are another one for the property. The total of 23 operations were complected including 6 that targeted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and 17 that targeted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It was known that the main operation was conducted on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2.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epth of the surface mixing layer was 86.0m and 13.8m for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61.6m and 13.0m for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respectively. The average depth of the surface mixing layer of the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tandard deviation was higher than thos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ed objects. Accordingly, it was assumed that the effect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for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 was higher than th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 PDF

우리나라와 노르웨이의 선망어업 현황 및 생산구조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on Structure of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Norway)

  • 김대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308-318
    • /
    • 2015
  •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present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structure of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by comparing to the production structure of Norwegian purse seine fishery. Norwegian purse seine fishery has been operating labor and energy-saving systems through a single wire operation and avoiding fishing competi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VQ system with different types of fishing vessel and obtaining benefits from Leading fishery management integrated with fish pumps and cooling water systems. In contrast, our country has a large purse seine fishery issues such as high cost and low efficiency of production structures, the volatility of mackerel resources, the lack of leading fishery management after catching fishes, the reduction of fishing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North East Asia EEZ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initiative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our large purse seine fishery are as follows: First, Implementing the promotion of the effective immature fishes management and establishing Korea-China-Jap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Second, the promotion of reduction of fleet size, the review of possible single fishing operation, leading out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by switching to energy-efficient production systems through enhanced efforts at fisheries catches steps. Third, it is necessary to realize corporate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areas and the large-scale commercialization of production structure.

선망어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II - 파워불록과 트리플랙스용 선망 모형의 유속에 따른 침강거동 -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purse seine fishery-II - The sinking movements with the flow velocity on the model purse seine of the subjective power block and triplex)

  • 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1호
    • /
    • pp.1-11
    • /
    • 2007
  • It is the basic stud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laborsaving of purse seine fishery. Because the seine shape is apt to be transformed in seine shooting process due to the effect of tide, this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4 steps, whose flow velocity are 0, 2, 4 and 6cm/sec, in flume tank and perform the experiment to review the character. We used two model seines designed on the scale of 1 to 180 based on the power block seine, which is the mackerel purse seine generally used in the near sea of Jeju Island and triplex seine, which is the mackerel purse seine of one boat system fishing expected in the future, for the experiment, analyzed of the sinking movements on the two seines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etting over the flow velocity 6cm/sec, experiment was impossible because of flying and transformation of seine were severe. The sinking movements of P seine and T seine generally showed linear phenomenon and the sinking speed showed gentle curve shape. Sinking tendency was distinguished by existence of flow velocity. When there is flow velocity, it showed the phenomenon that it sinking by similar type. Although sinking depth and sinking speed did not show distinguished classification, P seine shows bigger than T seine. When there was in flow velocity, the elapsed time(Et) and sinking depth (PDp, TDp) of P seine and T seine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PDp=(0.21V+4.96)Et-(0.62V-0.10) and TDp=(0.19V+4.95)Et-(0.72V+0.34). When there was in flow velocity, the elapsed time and siking speed (PSp, TSp) of P seine and T seine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PSp=-0.11Et^2+1.42Et+1.75\;and\;TSp=-0.11Et^2+1.41Et+1.37$.

한국 주변해역에서 대형선망으로 어획한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성장과 연령구조 연구 (A Study of Growth and Age Structure for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Caught by a Large Purse Seine in the Korean Waters)

  • 정경미;김희용;강수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4-73
    • /
    • 2021
  •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주변해역에서 대형선망어업으로 어획된 고등어의 성장과 연령구조를 분석하였다. 연령분석을 위해 총 459개의 이석이 사용되었고, 가랑이체장의 범위는 19.6~46.0 cm였다. 연령은 투명대의 수, 채집일, 이석 가장자리 형태, 1월 1일의 명목생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독하였다. 윤문은 고등어의 산란시기인 5월에 형성되었다. 연령은 0세부터 6세까지 추정되었고,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성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암컷과 수컷을 모두 합한 성장식은 FLt=39.3×{1-exp[-0.90×(t+0.033)]}으로 도출되었다. 2015년 대형선망 어획물의 연령구조를 살펴본 결과, 2세군의 어획비율이 30.9%로 가장 높았고, 0~2세군은 전체 어획물의 8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삼치어종의 동태적 최적어업관리 (The Dynamic Optimal Fisheries Management for Spanish Mackerel)

  • 조훈석;남종오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3호
    • /
    • pp.363-3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수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삼치어종에 대해 잉여생산모형을 이용하여 최대지속적어획량(YMSY) 및 최대지속적어획노력량(FMSY)을 추정한 후 현재 가치 해밀토니안 기법을 적용하여 삼치어종을 어획하는 다수어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한 최적어업관리 수준과 민감도 분석을 통한 삼치어종의 제도적 접근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분석 내용으로, 우선, 다수어업의 어획노력량을 Gavaris의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하나의 단위로 표준화한 후, 다양한 잉여생산모형 중 CYP 모형을 채택하여 정태적 자원평가를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생물·기술적 계수와 경제적 매개변수를 가지고 현재가치 해밀토니안 기법을 이용하여 어업 이윤을 극대화하는 동태적 최적 수준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MSY 수준과 이윤이 극대화되는 수준에서 우리나라 삼치자원은 남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경제적 주요 변수인 생산가격과 단위당 어업비용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시도해본 결과, 생산가격 및 어업비용이 변화할 때 삼치어종의 자원량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제 삼치어종에 대한 어획노력량이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어, 동 자원의 남획으로 인해 삼치어종을 어획하는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 대형선망어업, 대형트롤어업의 경영에도 비효율성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근해 수산자원의 회복과 TAC 총량규제의 정부 정책의 확대에 맞추어 삼치어종도 TAC 대상 품종에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자원을 관리해 나가길 제안하였다.

대서양 황다랭이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A REVIEW OF SOME ASPECTS OF THE YELLOWFIN TUNA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 주우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1977
  • 대서양 황다랭이(Yellowfin tuna)어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국제대서양 참치 보존위원회(ICCAT)로부터 수집하며, 자원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대서양에서의 상업적인 황다랭이 어업은 1955년에 시작되었으며, 한국은 1964년 연승에 의해 입어하기 시작하였고, 1972년 부터는 채낚기 어선도 출어하여 참치 어업이 이원화되었으나 아직은 연승에 의해 주로 어획하고 있다. 2. 대서양의 황다랭이 전체 어획량추이로 보면 어업이 시작된 이래, 연승어업의 portion이 극히 높았으나, 1966년부터 표층어업이 앞질러 1975년의 경우에는 전체 114.0천MT 중 연승은 25.5천 MT로 $23\%$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국은 연승어획국중에서는 1위를 마크하고 있다. 1. 대서양에서 황다랭이를 어획하기 위해 투입되는 모든 어획노력량을 연승의 낚시수로 환산한 바, 1974년의 경우 약 476백만 hooks 이었는데, 이중 연승은 163백만 hooks로 $34\%$이었다. 4. 황다랭이 어획량을 어획미수로 환산한바, 1973년에 8.6백만미로 평균 10.9kg짜리가 어획되었다. 5. 최근에 들어 오면서, 표층어업에서는 주군이 2세어군에서 1세어군으로, 그리고 연승에서는 3세어군에서 2세어군으로 야년화되어 가는 현상이 뚜렷했다. 6. 최근의 황다랭이의 평균 총사망계수(Z)는 1.5로 계산되었는데, 자연사망 계수를 0.8로 간주할 때 어획사망계수(F)는 0.7로 나왔다. 7. 1973년의 가입시 체중 계산은 2.7kg으로 나왔는데, 이는 ICCAT의 황다랭이 규제체중인 3.2kg 보다 훨씬 작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 연승은 별문제가 없으나 채낚기 어업의 경우, 이들 규제체중 미달어체의 혼획을 낮추는 문제를 조사${\cdot}$연구할 필요가 있다. 8. 가입량크기(Recruitment strength)를 비교한 결과, 강한 년급군의 가입량은 약한 년급군의 가입량에 비해 3배나 컸으나, 이들이 번갈아 나타나므로서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켰다고 생각된다. 9. 대서양 황다랭이와 최대특속적 어획량은 95-145천 MT로 계산되었다. 이는 현재의 어획수준에 해당하는 값으로, 현재 이상의 어획노력의 투입은 오히려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희망적인 경우라 할지라도, 잉여의 노력량 투입공에 해당하는 만큼의 어획량 증가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10. 오늘날까지의 우리나라의 입장은 원양어업의 신장을 위해 어떠한 형태로 든지의 국제적인 자원규제조치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받아들여 왔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안국의 전관수역의 확산 움직임과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채낚기 및 연승의 선망에 비한 어법의 열세 및 어획량 portion의 상대적 감소등을 감안할 때, 적어도 표층어업과 연승별 어획량 quota 제의 실현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우리에게 안정적인 조업을 할 수 있는 길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 PDF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조업에 관하여 (On the Log-Associated School Fishery of Korean Tuna Purge Seiners)

  • 문대연;이장욱;김종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7-207
    • /
    • 1996
  •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군 조업 비율은 최근 까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며 $1990\~1995$년간의 유목군 어획 비율은 전체 어획량의 $34.6\%$로 선망어업 초기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낮았다. 어획 어종의 조성에서는 유목군 및 부상군 조업에서 다같이 가다랭이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그 다음 황다랭이 그리고 소량의 눈다랭이가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어획 비율은 부상군 조업이 유목군 조업보다 높았다. 승선 조사 시의 유목군 조업의 어획 어종의 조성은 가다랭이 $60\%$, 황다랭이 $38\%$, 눈다랭이 $2\%$로 조업 실적 자료보다 가다랭이는 낮았고 황다랭이는 높았다. 유목군 조업에서 혼획된 종은 모두 11종이었으며 그중 상어류가 전 투망 시에 어획되었고 yellowtail kingfish가 마리수로는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체장 조성을 비교하였을 때 소형 황다랭이는 주로 유목 주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국 서부 초기 수산업에 미친 중국인의 경향 (The Influence of Chinese Immigrants at Early Stage on Western Fisheries of the United States)

  • 김수관
    • 수산경영론집
    • /
    • 제30권2호
    • /
    • pp.91-105
    • /
    • 1999
  • 본 연구는 필자가 미국 Oregon 주의 수산업사를 조사하던 중 194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으로 이민 한 중국인들이 미국 서부 수산업에 미친 영향이 거대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관련된 문헌을 찾아 최초 미국 서부(특히, California 주)에 이민하기 시작했던 중국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수산업 활동을 시작한 배경과 그에 따른 영향 등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인이 미국에 이민하기 시작한 배경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국내적인 요인으로서 중국에서의 경제적 빈곤과 정치적 핍박이었고, 다른 하나는 국외적인 요인으로서 금캐기가 가능하다는 소식 등 미국 생활에 대한 동경이었다. 중국인의 미국 이민사에서 독특한 점의 하나는 중국 남부지 방에 위치한 광동성 지방민들이 절대적인 비중(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광동성은 일찌기 외국문물이 드나드는 곳이어서 인근 광동성 지방민들은 다른 지방민보다 외국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었기 때 문이었다. 미국에 도착한 광동성 지방민들은 쉽게 직업을 구할수 없는 처지이 되자 그들이 익숙하게 알고 있는 바다생활에 뛰어들었고, 마침내는 미국 서부에서 진취적인 어업인이 되었다. 따라서 서부에서 최초의 상업적 어업인이 되었으며, 미국 서부에서 시작한 중국인의 수산업은 점차 다른 주로 퍼져 나갔다는 기록은 중국인이 미국 전역에서 최초의 상업적 어업인이었음을 알게 한다. 최초의 중국인 어촌은 1854년 San Francisco의 Rincon Point에 세워졌으며, 25척의 어선과 150여명의 주민이 살았다. 그들이 사용한 어구ㆍ어업은 통발, 정치망, 선망, 낚시, 연승 등이었으며, 중국풍의 어선과 어구를 직접 만들어 새우, 철갑상어, 대구, 우럭, 넙치, 게, 가재, 전복 등을 어획했다. 1888년에는 San Francisco 전역에 20개의 어촌이 형성되었고, 2천여명의 어업종사자가 있었다. 1900년부터는 점차 그 수가 줄기 시작하였다. 가장 크고 오래 지속된 어업은 새우어업은 1860년대부터 1940년 중반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어업에 의해 새우가 인근 지역의 보편적인 식품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인디언에 의해 단순한 장식품으로 사용되던 전복은 중국인에 의해 그 맛이 알려지게 되었고, 유럽이나 미국 동부로 팔려 나갔다. 상어 또한 중국인에 의해 먹기 시작하였으며, 내장에서 뺀 기름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게를 잡기 위한 통발과 시장형성으로 San Francisco부두의 많은 부분이 차지되었다. 1880년대부터 시작된 해조류의 채취는 처음에는 인디언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곧 중국인들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광동성 지방민들의 초속식품의 하나인 오징어를 잡기 위해 중국인들은 배를 만들어 야간에 횃불을 밝혔다. 오징어는 곧 San Francisco 주민은 물론 태평양 연안주와 미국 전역에 있는 중국식당에서 수요가 지속되었다. 중국인들은 1849년부터 연어를 상업적으로 잡기 시작하였으며, Washington주에서 시작되어 Oregon, British Columbia, Alaska로 퍼진 통조림 공장은 주로 중국인의 노동력에 의해 운영되었다. 위와 같이 중국인들이 미국 수산업 분야에서 크게 활동하자 미국인들은 그들의 수산업 활동을 제재 또는 통제하고자 일정한 납세를 명시한 각종 법률, 특히 The Chinese Exclusion Act 등을 제정하였다. 미국 서부에서 중국인의 수산업은 미국인의 법적 제재, 중국인의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 등으로 1940년대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 PDF

Herzberg 이요인이론을 통한 근해 선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 금성수산 대형선망어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ttitudes of Inshore Fishery Seaman's based on Herzberg's two-factor theory - With emphasis on Large Purse Seine of Keumsung Fisheries -)

  • 강정우;한나영;홍재범
    • 수산경영론집
    • /
    • 제43권3호
    • /
    • pp.59-73
    • /
    • 2012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hygiene factor(job environment factor) and motivation factor(job motivation factor) of seamen 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at end, with the scope of study subjects limited to coastal waters seamen, positive analysis was done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questionnaire analysis, and focus was given to the prospect of acquiring seamen by change of outside environment.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coastal waters seame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affect satisfaction significantly are personal relationship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Second, the factor that affects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ly is employment stability.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are personal relationship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 성숙과 산란 -

  • 차형기;김주일;이동우;박차수;김순송;황강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0-301
    • /
    • 2003
  • 갈치 (Trichiurus lepturus Linnaeus)는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 동중국해, 발해, 일본 서부 및 류슈 연안 등 한국 주변 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난류성 저어어종이다. 우리나라 갈치의 주어장은 EEZ 설정 후 어장이 많이 축소되어 최근에는 흑산도, 제주도 인근의 서해남부 및 제주도 서방해역에서 근해안강망, 쌍끌이기선저인망, 대형트롤, 대형선망, 근해채낚기 등에 주로 어획된다. 우리나라 갈치의 어획량은 1970년대 초반에는 급격한 증가추세로 1974년에 17만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1977년에 7만톤 수준으로 떨어졌고, 1997년부터 다시 높은 수준으로 회복 되면서 1983년에 다시 15만톤의 어획을 기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