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망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태평양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의 어장변동

  • 문대연;안두해;황선재;김종빈;박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50-351
    • /
    • 2000
  • 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다랑어 어군은 연승어업과는 달리 주로 표층에서 유영, 이동, 또는 섭이하는 가다랑어나 황다랑어 무리로 이들의 분포 특성을 감안하면, 해수의 표층수온 등 해양환경 변화는 선망어업의 어획량, 단위노력당어획량 및 종조성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Lehodey (1997)는 미국의 선망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엘니뇨가 가다랑어의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1995-1998년간 한국 다랑어 선망어선으로부터 수집한 어획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의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한국 선망어업의 어장변동 및 조업특성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선망어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단선식 시험조업에 있어서 선망의 운동특성-

  • 김석종;최찬문;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7-28
    • /
    • 2002
  • 우리나라의 선망어업은 주변 어장 환경의 변화와 남획으로 인한 어획 자원의 고갈은 물론 통(統)당80명이나 필요한 조업인력 및 과다한 조업경비 절감의 문제로 시급하게 구조개선 방안이 요구되면서 선단조업 형태에서 단선 조업의 형태로 전환을 시도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고, 이에 알맞은 선망어구 설계 및 어로방법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한국 근해 대형선망어업의 다종자원평가

  • 손명호;김진영;최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1-422
    • /
    • 2001
  • 우리나라의 연근해어업은 다종자원을 여러 가지 어구로 동시에 어획하는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업에는 대표적으로 기선저인망어업, 안강망어업, 선망 어업, 유자망어업 등이 있으며,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선망어업의 경우 고등어, 전갱이, 정어리 둥 10여종을 동시에 어획되는 다종어업의 한 형태로 취급할 수 있다. (중략)

  • PDF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the Purse Seine Fishery - The characteristics on the motion of purse seine in the experimental operation of one boat system - (선망어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단선식 시험조업에 있어서 선망의 운동특성 -)

  • 김석종;최찬문;정용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9 no.2
    • /
    • pp.99-111
    • /
    • 2003
  • The fundamental studies on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purse seine fishery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xperiment on net shooting and hauling was carried out in the near sea of Jeju Island (33$^{\circ}$37.8' N, 126$^{\circ}$31.1' E) by using the Cheju national university training ship (A-Ra, 990tons) which was constructed for the one boat system operation of purse seine. The corkline and leadline of the purse seine used for the experiment were 829.1m and 995.7m in length, respectively. Micro data recorder system, net sonde, and tensiometer were used to measure the depth of leadline and the tension of purse seine.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the motion and tension of purse seine at the time of shooting, hauling, and pursing were characteriz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hooting and hauling of net were found to be possible in the one boat system experimental operation. 2. At the time of purse seine shoo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Dp) of leadline and elapsed time (Et) was found to be Dp=7.58Et-6.48. 3. At the time of pur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Dp) of leadline and elapsed time (Et) was found to be Dp=-0.8Et$^2$+7.42Et+92.04. 4. At the time of pursing, the tension (metric tons) of purse seine attained its maximum value (14.7tons) when the elapsed time is 8 minut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lapsed time was found to be T=-0.13Et$^2$+3.23Et-5.72.

선강의 침강 저항 해석 - 2. 망지재료와 침자귀이 다른 모형망 경우 -

  • 김석종;구명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9-62
    • /
    • 2003
  • 우리나라의 선망어업은 제주도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소흑산도, 대마도 동북방해역과 동중국해에서 고등어, 전갱이, 정어리 등 부어류를 주 어획대상으로 연중 조업이 이루어지며 연근해 어업 중에 그 규모가 가장 큰 중요한 어업이다. 선망어업은 다른 어범에 비하여 그물어구가 대형이고 조업방법이 복잡하며 신속한 어구의 조작이 필요한데, 선망어구의 형상은 단순하나 망지의 분량은 대단히 많다. (중략)

  • PDF

전어 선망어구의 개량 및 조업시스템 개발 I. 어구구조 및 조업 특성

  • 신형호;장덕종;김동수;김진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0-61
    • /
    • 2000
  • 전어 선망어업은 전어의 특성상 년 중 조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어군이 연안에 머무는 4∼5개월 정도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년 단절적인 어업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전어 선망어업은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고 연구나 조사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어민들도 년 중 어획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과거부터 사용하여온 어구 및 어법을 답습하는 상태이다. (중략)

  • PDF

조업과정중 선망어구의 거동 시뮬레이션

  • 김현영;이춘우;권병국;원성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34
    • /
    • 2001
  • 지금까지 이러한 선망 어구의 조업시 형상에 관해 많은 연구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해상실험 또는 모형실험으로서 실험자체의 어려움과 번거러움 등으로 다양한 실험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실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구이다. 하지만, 선망어구는 매우 대형의 어구 시스템이며 대부분 그물이라는 유연한 물체에 의해 구성되어있어 외력에 대해 그 형상이 비선형적이므로 그 형상과 운동을 정의하기가 어렵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Behaviour of Fish Schools in the Process of Catch of the Purse Seine Fishing Method (선망어법의 어획과정에 있어서 어군행동에 관한 연구)

  • Park, Jeong-Sik;Kim, Seok-Jong;Kim, Sam-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3 no.3
    • /
    • pp.173-182
    • /
    • 1997
  •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in purse seine fishery : on the behaviour of fish schools of tilapia Tilapia mossambica in the process of catch of the purse seine fishing metho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the mackerel purse seine which using of power block by fishing fleet system in the near sea of Cheju Island and as a forecast in the near future on the purse seine fishing, using of triplex net winch by one boat system in the near sea of Norway. These model purse seines were made of the scale of 1/180 of its full scale. The model purse seine test on the escaping behaviour of fish school by gap, area reducing of gap and tension of purse line was carried out in the stagnant water of experimental water tank. Designing and testing for the model purse seines were based on the Tauti's law.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When the time for the completing of pursing was 20 minutes, average swimming speed of fish school through a gap was 9.71cm/sec for powerblock seine and 9.97cm/sec for triplex seine. 2. In the case of pursing time in actual value was 20minutes, at 50 percent of the pursing, swimming behaviour of fish school in purse seine was 10% to I section, 80% to II section, 10% to III sectional direction for powerblock seine and a similar tendency for triplex seine. 3. In the case of pursing time in actual value was 20 minutes, at the time of 10 minutes have proceeded since then, area reducing rate of gap of the seine in projected front view was 63.5% for powerblock seine and 67.5% for triplex seine. 4. In the case of pursing time in actual value was 20 minutes, escaping rate of fish school by gap in projected front view was 70% for powerblock seine and 30% for triplex seine. Maximum tension of purse line was about 8.1 tons for powerblock seine and about 8.3 tons for triplex se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