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로등급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Maintenance System for Timber Sleepers of Ballast-less track on Railway Bridge (무도상 강철도 교량상 목침목 유지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Jung-Youl;Shin, Tae-Hyoung;Kim, Sang-Jin;Chung, Jee-Se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389-394
    • /
    • 2019
  • In case of damaged timber sleepers, maintenance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rack inspection standar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extent of damage on the bridge, and maintenance is depended on inspector's judg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to improve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imber sleepers for the ballast-less tracks on serviced urban railway bridge. The timber sleepers on railway bridg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degree of damage, and damage scores were calculated for each damage grade. Also we have improved the maintenance system of the timber sleepers through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the individual timber sleepers on railway bridge. As a results, it was judged that systematic management of timber sleepers could be possible during maintena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upon the Metro Wear Using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분석을 이용한 지하철 마모 영향인자 분석)

  • Jeong, Min Chul;Lee, Won Woo;Kim, Jung Hoon;Kong, Jung 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38-38
    • /
    • 2011
  • 일반적으로 레일마모는 열차의 주행안전 및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소음 진동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레일마모가 발생할 경우 궤도구조의 파괴를 촉진시킴으로써 차량 및 궤도유지보수비를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구간 특성 및 환경 영향 인자 등 현장에서 발생하는 마모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마모를 저감할 수 있도록 차량운행 조건과 선로선형 및 궤도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분류와 회귀나무) 분석은 패키지화된 좋은 분류 및 예측도구 기법으로 나무의 상위 분리수준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입력변수들을 사용하는 등의 입력변수를 선정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변수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를 고려한 검측 자료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회귀 나무기반 모델(TBM: Tree Based Model) 분석 수행을 위해 지하철 2호선 마모 데이터와 마모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다변수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를 사용하였다. 2호선 지하철의 구간특성 인자 및 환경인자는 레일의 종류, 레일의 위치, 도상, 곡률반경, 캔트 슬랙 및 운행 일수 등으로 구분하였다. 레일의 종류는 ks-50kg과 ks-60kg 두 종류의 레일이 있으며, 레일의 위치는 지상과 지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상은 콘크리트 도상, 자갈 도상과 일부 구간의 방진상 콘크리트 도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은 직선구간과 완화곡선 구간 및 최소 250m부터 627m까지 분포된 원 곡선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캔트 간격은 최소 96cm 부터 120cm 간격으로 구분하며, 슬랙은 5~9cm에 분포하고, 운행 기간은 해당 기간 동안 유지보수 이력이 없는 구간을 선정하여 2005년부터 2006년까지 4번에 걸쳐 검측된 지하철 2호선 내선 마모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X1부터 X7까지 총 7개의 구간특성 또는 환경특성을 영향인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종속 인자로 Y1인 직마모와 Y2인 측마모를 선정하여 이 중 실질적으로 지하철 궤도의 성능 평가에 주요 판단인자로 사용되는 측마모와 구간특성 및 환경영향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마모 데이터가 검측되는 기간 동안 유지보수 이력이 없는 12272 point의 데이터를 검출하였고 CAR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CART 프로그램의 해석을 위해 종속변수인 직마모량은 각 검측 지점의 마모량에 해당하는 등급으로 변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레일의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와 종속 변수로 사용된 레일의 마모량 사이의 CART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은 실제 구조물에서 영향인자간의 상관 관계와 유사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정량화된 검측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여 구간특성 또는 환경인자 등 외부 영향인자를 고려한 궤도 검측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