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광시설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서보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평가

  • 강민주;최상훈;이평구;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19-222
    • /
    • 2003
  • 폐광된 서보광산 주변의 주요 중금속 오염원으로는 폐광석과 과거에 선광을 하였던 시설 부근에 방치되어 있는 광미를 들 수 있다 과거 선광시설 주변에서 채취한 광미에는 황화광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계속 방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마 기간동안 유실되어 하천 퇴적물을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광미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황화광물이 산화작용을 받을 경우, 용해된 중금속 원소가 주변 토양 혹은 하천퇴적물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중략)

  • PDF

청양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및 황화광물의 산화작용 연구

  • 이평구;강민주;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2
    • /
    • 2003
  • 폐광된 금속광산의 폐광석 적치장, 선광시설, 광미장 등에는 폐광석과 황화광물의 분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풍화작용에 기인된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용해된 유해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이 심각한 중금속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유해 중금속의 물리$\cdot$화학적인 거동, 오염물질의 확산 등을 규제하고 있는 지구화학적 메카니즘 규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폐광석 및 광미에 대한 복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정적인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다 (강민주, 2003). (중략)

  • PDF

Bio-Signal Detection Monitoring System Using ZigBee and Wireless Network (ZigBee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 모니터링 시스템)

  • Kim, Kuk-Se;Bang, Sun-Kwang;Lee, Jeong-Gi;Ahn, Seong-Soo;Lee,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477-481
    • /
    • 2007
  • The emergency patient who occurs from the place where it is various the control which is quick must come to accomplish in Ubiquitous environment. In the body of the patient or the old person the organism signal sensor about under attaching condition of the patient at real-time about under the monitor ring about under disposing the control which is quick against the emergency patient does to become accomplished at the case real-time when the above will get in the body of the patient or the old person. Using ZigBee (802.15.4) system base on Sho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because of complement wireless of hospital. This system use ZigBee (802.15.4) system to get for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and pulse bio-sensors. This paper constructs Bio-Sensor communication monitoring system and transmission rate and the delay which it follows possibility and node occurrence rate of wireless sensor network construction hour transmission session it leads and it verifies the effective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