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회화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3초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협착과 석회화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enosis and Calcification of Coronary Artery with Using CCTA)

  • 김상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27-435
    • /
    • 2009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중 성별, 연령별 협착률과 혈관 협착과 석회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조사대상병원에서 조사 기간 동안 CCTA를 시행한 대상자 586명의 관상동맥의 협착률과 석회화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협착이 있는 사람은 299명으로 이 중 남성 166명(28%), 여성 133명(23%)이었다. 50~70대가 협착이 있는 자의 246명(82.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개의 혈관이상에서 협착률이 50%가 넘는 협착이 있는 자는 299명 중 남성은 60대에서 43명(33.9%), 여성은 70대에서 39명(37.5%)으로 나타났다. Vessel score가 2점 이상 되는 경우가 70% 이상 협착이 있는 자 139명 중에 70명(50.1%)이었고 남성은 60대가 32명(39.5%), 여성은 70대가 27명(46.6%)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70대에서 Vessel score가 3점이 되는 경우가 14명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2~5배까지 많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LAD가 77.6%, LCX가 47.5%, RCA가 60.5%의 협착 빈도를 나타내었고 삼중혈관병변(Triple vessel disease)은 남성이 15명(36.6%), 여성이 13명(56.5%)으로 남녀 모두 7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협착이 있는 그룹에서는 196명 (33.4%)이 석회화가 있었고, 관상동맥 협착이 없는 그룹에서는 40명(6.8%)만이 석회화가 있었다. 이것은 관상동맥의 협착에 석회화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는 볼 수 없지만, 상당히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웨이브렛 변환과 자동적인 임계치 설정에 의한 미세 석회화 검출 (Microcalcification Extraction by Wavelet Transform and Automatic Thresholding)

  • 원철호;서용수;조진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82-49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X선 유방 촬영 시스템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웨이브릿 변환과 자동적인 임계치 설정기법을 이용하여 미세 석회화 영역을 추출하였다. 디지털 X선 영상 장비는 임상 진단 분야에서는 필수적인 진단 장비이며, 흉부 촬영, 골절상 및 치아 교정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X선 유방 촬영술은 유방암 진단의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 디지털 X선 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X선 유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초기 단계의 유방암 진단을 위해 필수적인 미세 석회화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였으며 진단 방사선학적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이용한 고관절 주위 석회화 건염의 치료: 4례 보고 (Ultrasonography-Guided Multiple Needling for the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Around Hip Joint: 4 Cases Report)

  • 권용욱;이경재;민병우;배기철;조철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93
    • /
    • 2012
  • 고관절 주변에 발생하는 석회화 건염은 그 발생빈도가 극히 드믈지만 증상이 발생하면 매우 심한 통증으로 일상 생활이 힘들어진다. 저자들은 급성 고관절 통증과 관절 운동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4례에서 석회화 건염을 진단하고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반건양건내에 발생한 근육 경색 및 석회화: 증례 보고 (Muscle Infarction and Calcification of the Semitendinosus Tendon: A Case Report)

  • 조진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9-93
    • /
    • 2012
  • 석회화 건염은 주로 견관절이 가장 많이 호발하고 고관절, 슬관절 등 다른 부위의 관절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내에 허혈로 인한 근육 경색 또한 주로 당뇨병 환자에서 빈번한 합병증인 폐쇄성 혈관 병변에 의한 하지 원위부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는 고령의 환자에서 당뇨병 같은 기존 질환이 없고 관절 부위가 아닌 하퇴 후방부 순수 건 내에 생긴 근육경색과 석회화가 같이 동반된 종괴 병변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흉막에 생긴 다발성 석회화 섬유성 가종양 - 1예 보고 - (Multiple Calcifying Fibrous Pseudotumors in the Pleura - A case report -)

  • 이창영;변천성;박인규;정경영;황유화;심효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66-669
    • /
    • 2009
  • 석회화 섬유성 가종양은 조직학적으로 광범위한 사종성 석회화, 조밀한 유리질화, 섬유성 증식, 림프형질 세포의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연부조직 병변이다. 저자 등은 흉막에서 발생한 석회화 섬유성 가종양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견관절의 후상방 관절와 순에서 발생한 석회화 건염 - 증례보고 1례- (Calcific Tendinitis in Posterosuperior Labrum of Shoulder - Case Report -)

  • 지종훈;김원유;김진영;남원식;이연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6-229
    • /
    • 2003
  • 대부분의 석회화 건염은 견관절의 급성 동통의 흔한 원인중의 하나이며 회전근 개 특히 극상근에서 발견되며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쉴게 진단된다. 저자들은 심한 동통과 운동제한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상완 이두 장건-관절와 순복합체 부착 부위의 후방, 특히 후상방 관절와 순에 생긴 석회화 건염을 경험하였다. 병변은 MRI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였으며 관절경 수술로 쉽게 제거하여 조기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디지털 유방영상에서 미세석회화의 자동군집화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Cluster Algorithm for Microcalcification in Digital Mammography)

  • 최석윤;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1호
    • /
    • pp.45-52
    • /
    • 2009
  • 유방 촬영술(Digital mammography)은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서 매우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서 비촉지성 유방암의 조기 발견율을 높여 유방암에 따른 여성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방 병변의 미세석회화(Microcalcification)는 조기 유방암의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병변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선별 검사로 임상적 유용성이 확립된 상태이다. 유방 촬영술에서 미세석회화 소견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여 조직 검사에서 양성 및 악성 병변에 대하여 각각 군집의 개수, 군집 당 석회화 수, 미세석회화 크기와 범위, 미세석회화 형태, 동반 종괴의 유무 등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진단을 확정한다. 그러므로 군집화된 미세석회화의 정보는 유방암 예측에 있어 임상적인 실질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의사에게 진단을 위한 검사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 촬영술의 디지털 영상에 나타난 미세석회화의 정량적인 계산을 위해서 DoG filter, Adaptive thresholding, Expectation Maximization의 3단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을 실험을 통하여 군집화 및 각 클러스터 내의 미세석회화의 분포 개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의 사에게 디지털 유방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초기 유방암 진단의 지표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는 객관적인 유방암 컴퓨터자동검출(CAD)에 사용될 수 있는 병변의 정보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심박동수 및 관상동맥 석회화가 64 절편 다중검출기 심장 CT의 관상동맥 질환 진단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rt Rate and Coronary Calcification 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ultidetector Cardiac CT in Coronary Artery Disease)

  • 강영한;박종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39-347
    • /
    • 2009
  • 연구목적: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의 진단일치도를 알아보고,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심장 CT 검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심장 CT와 관상동맥 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78명(남자 84명, 여자 94명)을 대상으로 심장 CT에서 관상동맥 협착과 심박동수, 석회화 수치를 측정하였고,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좌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 우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geq50%$)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를 표준으로 심장 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kappa index($\kappa$)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환자별 협착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심장 CT의 정확도는 96.6%였다. 혈관별로는 LAD, LCX, RCA 각각 86.5%, 84.3%, 92.1%로 높은 진단일치도를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혈압은 심장 CT의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박동수는 60/min 미만에서 정확도 90.1%, $\kappa$값 0.78이었고, 70/min 이상에서는 정확도가 75.8%, $\kappa$값 0.52이었다.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100 미만에서는 정확도가 91.3%, $\kappa$값 0.81이었고,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정확도 68.6%, $\kappa$값 0.33으로 떨어졌다. 결론: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는 관상동맥 조영술과 거의 비슷한 진단일치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심박동수 70/min 이상,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진단일치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심장 CT 검사 시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확인하여 검사하여야 하고, 심박동수가 70/min 이상이면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여 심박동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관상동맥 석회화점수 감소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Decreased Score on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 심재구;김연민;김진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5-290
    • /
    • 2016
  • 이 연구는 관상동맥 CT 석회화점수 검사를 2회 이상 받은 자 중에서, 이전에 비하여 점수가 낮아진 원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건강검자 환자 100명(남자 85명 $60.6{\pm}6.9$세, 여자 15명 $67.2{\pm}7.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석회화점수 감소가 발생한 경우를 Agatston의 분류 방법에 따라 minimal (1-10), mild(11-100), moderate(101-400), severe (400< )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Mild 그룹에서 4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minimal 그룹에서 감소율 변동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석회화점수 감소 요인은 Scan location 불일치 51%, Motion artifact 26%, 장비변동 14%, 작업자의 실수 5%, 입력 miss 2%, Image loss 1%, 부정맥 1% 로 나타났다. Scan location의 불일치는 scan된 석회화의 slice 위치에 따른 부분체적 효과로 생각되며,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작은 100 이하 그룹에서는 높은 변화폭(19.7%)이 나타났고 100 이상의 그룹에서는 낮은 변화폭(2.2%)을 보여 석회화 점수에 따라 허용될 수 있는 변화폭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tion artifact 요인은 26%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심박동에 의한 것으로 심박동이 높거나 검사 전 폐기능, 운동부하 등 심박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석회화 건염의 보존적 및 수술적 치료 결과 (Conservative and Arthroscopic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 최창혁;김신근;이호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67-174
    • /
    • 2007
  • 목적: 석회화 건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 및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후 석회질 소실정도와 임상경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126예 중 6개월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주사치료 64예 및 수술 치료 12예를 대상으로 하여 석회질의 소실정도와 임상증상의 호전을 비교 관찰하였다. 126예의 평균연령은 53세, 여성이 77%였으며, 극상 건에 침범한 경우가 84%였다. 결과: 주사 치료의 경우 77%(49/64)에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다. 방사선적으로 석회질의 완전소실을 볼 수 있었던 경우는 36%(23/64)였고 불완전 소실은 17%(11/64)였으며, 석회질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47%(30/64)였다.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석회질은 83%(10/12)에서 평균 3.9개월에 완전 소실되었다. 결론: 용해기의 급성통증은 스테로이드주사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다. 형성기의 석회화건염에 대한 관절경하 수술적 치료 시 완전제거를 시행할 필요는 없으나, 완전한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석회침착물의 완전 소실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