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출물

Search Result 32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es in New Zr base Alloys for Fuel Cladding (핵연료 피복관용 Zr신합금의 석출물 특성)

  • Jeong, Yong-Hwa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6
    • /
    • pp.585-588
    • /
    • 1996
  • 여러 가지 Zr합금에서 생성되는 석출물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편을 $60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한후 EDX가 부착된 TEM을 이용하여 석출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Zr1.4Sn0.2Fe0.1Cr 합금에서는 두 종류의 석출물이 생성되는데 하나는 석출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HCP 구조으 Zr(Cr, Fe)2 석출물로서 이는 둥근 형태를 유지하며 결정립내나 결정립계에 관계없이 널리 분산되어 분포된다. 다른 하나의 석출물은 극히 일부에서만 관찰되는 Zr2(Fe, Si)성분의 석출물로서 이는 tetragonal 구조를 갖는다. Zr0.5Nb0.6Fe0.3V 합금에서는 tetragonal (Zr, Nb)2(Fe, V) 석출물이 형성되며, Nb이 1.0 wt.% 첨가된 Zr1.0Nb0.6Fe0.3V 합금에서는 HCP 구조의 (Zr, Nb)(Fe, V)2 석출물과 BCC 구조인 $\beta$-Zr이 생성된다. Zr1.0Nb0.6Fe0.3V합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합금에서 석출물은 약 1.0$\mu\textrm{m}$의 크기를 나타냈다. 합금 조성이 다를 경우에 석출물 크기와 35$0^{\circ}C$ 부식 특성과는 부식 특성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로 나타났다.

  • PDF

핵연료피복관용 Zr합금의 석출물 조성 및 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 정용환;김경호;김창호;김영석;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539-544
    • /
    • 1996
  • 핵연료 피복관용 신합금으로 개발되고 있는 여러 가지 Zr합금에서 생성되는 석출물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EDX가 부착된 TEM을 이용하여 석출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Zrl.4Sn0.2Fe0.1Cr 합금에서는 두 종류의 석출물이 생성되는데 하나는 석출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HCP 구조의 Zr(Cr,Fe)$_2$ 석출물로서 이는 둥근 형태를 유지하며 결정립내나 결정립계에 관계없이 널리 분산되어 분포된다. 다른 하나의 석출물은 극히 일부에서만 관찰되는 Zr$_2$(Fe,Si)성분의 석출물로서 이는 tetragonal 구조를 갖는다. Zr0.5Nb0.6Fe0.3V 합금에서는 tetragonal (Zr,Nb)$_2$(Fe,V)석출물이 형성되며, Nb이 1.0 wt.% 첨가된 Zr1.0Nb0.6Fe0.3V 합금에서는 HCP 구조의 (Zr,Nb)(Fe,V)$_2$ 석출물과 BCC 구조인 $\beta$-Zr이 생성된다. Zr1.0Nb0.6Fe0.3V 합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합금에서 석출물은 약 1.0 $\mu$m의 크기를 나타냈다. 합금 조성이 다를 경우에 석출물 크기와 35$0^{\circ}C$ 부식 특성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trast Experiment and Precipitate Analysis in Age-Hardening Aluminium-4% Copper System (시효경화(時效硬化) 알루미늄-4%동(銅) 계(系)에서의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한 콘트라스트 실험(實驗) 및 석출물(析出物) 분석(分析))

  • Lee, Jeong-Yong
    • Applied Microscopy
    • /
    • v.19 no.1
    • /
    • pp.89-108
    • /
    • 1989
  • 알루미늄-4%동 계에서의 ${\theta}$${\theta}'$ 석출물과 석출물/기지 계면 전위를 투과전자현미경상으로 관찰하고 콘트라스트 실험 및 석출물 분석으로 석출물/기지 계면의 정합성과 여러 전위들의 Burgers 벡타를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 변형장은 정벽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고, 판상의 ${\theta}'$ 석출물은 {100}형 정벽면을 지니고 있었다. ${\theta}'$판 주위의 전위는 정벽면에 수직인 Burgers 벡타를 지닌 칼날전위였다. 그리고, 석출물과 기지 사이의 접합변형을 작게하기 위한 계면전위의 Burgers 벡타는 a<100>과 a/2<100>형이었다. 또한 Hornbogen의 예견과 일치하는 사실로, ${\theta}'$의 석출물의 끝부분에서 ${\theta}$상이 핵생성을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PDF

Effect of second-phase particles on the formation of anodic oxide films on AC2A alloy (AC2A 합금의 양극 산화 피막 형성에 미치는 석출물의 영향)

  • Nam, Yun-Gyeong;Mun, Seong-Mo;Kim,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205-206
    • /
    • 2009
  • 다량의 석출물을 포함하고 있는 AC2A 합금을 $0^{\circ}C$에서 2.25M H2SO4에서 양극산화처리를 행하여 피막형성 거동을 관찰하였다.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은 다량의 석출물을 포함하고 있고 석출물들은 산화피막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용 AC2A합금의 양극 산화 피막의 형성에 미치는 석출물들의 영향을 OM, SEM, LSCM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관찰해 보았다.

  • PDF

Ultrasonic Nonlinearity Measurement in Heat Treated SA508 Alloy: Influences of Grains and Precipitates (열처리된 SA508 합금에서의 초음파 비선형성 측정: 결정립과 석출물 영향)

  • Baek, Seung-Hyun;Lee, Tae-Hun;Kim, Chung-Seok;Jhang, Ky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0 no.5
    • /
    • pp.451-457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s of grains and precipitates of microstructural evolution on the ultrasonic nonlinearity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prior-austenite grain and precipitate size are controlled by the variation in austenitizing and tempering conditions in reactor pressure vessel materials of nuclear power plant, SA508 Gr.3 low alloys. The ultrasonic nonlinearity was found to have strong correlations with grains and precipitates since the ultrasonic nonlinear parameter $\beta$ shows decrease trend with coarsening of grains and precipitates. Although the prior-austenite grain size increased, the $\beta$ changed little due to the effects of subgrains, packets and laths. For the preciptate effects, the $\beta$ decreased sharply due to decrease in $Mo_2C$ causing the coherency stain in addition to the precipitate size. The results in this study may provide a potential for characterizing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grains and precipitates, by measuring the ultrasonic nonlinearity.

The Relation Between Precipitat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Direct-Quenched Microalloyed Steels with Molybdenum (몰리브데늄 첨가 직접 소입 비조질강에서의 석출물 거동과 기계적 성질간의 관계)

  • An, Byeong-Gyu;Lee, Gyeong-Seop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1
    • /
    • pp.999-1006
    • /
    • 1997
  • 0.14wt.%C-0.82wt.%Mn-0.20wt, %Si-0.10wt.%V-0.03wt.%Nb의 조성을 갖는 직접 소입강에 몰리브데늄을 각각 0.30wt.%, 0.58wt.% 첨가하여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의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석출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소입시의 석출물은 M$_{2}$C, MC의 비평형 상태의 석출물이 생성되었고 석출물들은 마르텐사이트 래스내의 침상형탄화물, 구형의 M$_{2}$C탄화물, 직사각형 형태의 MC탄화물이 관찰되었다. 유냉시에는 래스내의 침상형 탄화물만 관찰되었으며 수냉시에는 M$_{2}$C 탄화물이 관찰되었다. 0.58wt.%의 몰리브데늄의 첨가된 강에서는 MoN이 관찰되었으며, 이 강의경우 강도의 손실 없이 인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니켈기 전열관 소재에서의 결정립계 Misorientation 분석

  • 이용복;이덕열;장진성;이창규;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89-194
    • /
    • 1997
  • 니켈기 전열관 소재에서 결정립계의 misorientation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결정립계에서 석출물을 관찰 할 수 있지만 쌍정과 만나게 되면서 석출물의 분포가 갑작스럽게 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정립계의 구조와 에너지에 관련되는 결정립계의 misorientation 특성에 갑작스런 변화가 생겨나기 때문이라. 이러한 결정립계의 misorientation 특성은 T.E.M (Transmission Electro Microscope)에서 얻은 각 결정립의 Kikuchi pattern을 이용하여 분석하었다. 석출물을 갖는 결정립계들은 random high angle 결정립계이고 석출물이 존재하지않는 결정립계들은 특정한 C.S.L ( Coincidence Site Lattice) 결정립계이었다.

  • PDF

Alloy 690에서 용체화처리에따른 미세조직 관찰

  • 이용복;이덕열;장진성;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469-474
    • /
    • 1996
  • Alloy 690은 응력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요구되는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재료에 사용되고 있다$^{(1)}$ . 응력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은 주로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크롬탄화물의 기여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크롬탄화 석출물의 핵생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110$0^{\circ}C$에서 용체화처리를 0, 1, 3, 10분 동안 하여 관찰하였다. 용체화처리한 모든 시편에서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석출물의 분포는 쌍정과 교차하면서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이처럼 석출물이 존재하지 않는 결정입계들은 대부분 낮은 ∑ 값의 CLS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입계가 될 것이다.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석출물은 기지와 Cube-Cube orientation relationship을 갖는다. 그리고 단지 하나의 결정입과 반정합을 이룬다. 기지와 반정합을 이루는 석출물은 M$_{23}$ C$_{6}$형태의 크롬 탄화물이고 격자상수는 기지의 격자상수보다 3배 크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particle behavior and austenite grain growth in Ti added low alloyed steel HAZ (Ti 첨가 저합금강에서의 용접 열영향부 석출물 거동 및 오스테나이르 결정립 성장 예측 모델)

  • 문준오;엄상호;이창희;안영호;이종봉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v.43
    • /
    • pp.130-132
    • /
    • 2004
  • 석출물의 용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석출물의 야금학적인 거동을 예측하였다. 평균 사이즈 석출물의 지속적인 성장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모델과 달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의 경우에는, Gibbs-Thomson equation으로부터 유도되는 critical particle size를 고려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이용해서 TiN석출물의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 및 기존의 모델에 의한 예측 값과 비교하였다. 석출물들의 분포는 전형적인 log-normal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이 기존의 모델에 비해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원자력용 316LN 스테인레스강의 탄화물 석출 거동

  • 오용준;류우석;윤지현;홍준화;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689-694
    • /
    • 1995
  • 원자력용 316LN 스테인레스강의 입계탄화물 석출거동에 미치는 질소 및 Ti, B의 미량원소 영향을 시차열분석기(DSC)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들 결과와 예민화 특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Ti과 B의 첨가는 316LN 강의 탄화물 석출온도를 높이며, 탄화물 석출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 값은 미첨가강에 비해 높았다. TEM/EDX 분석결과, 예민화된 316 LN 강은 M$_{23}$C$_{6}$ 탄화물이 입계에 석출되며 입계에서 Cr 고같층이 관찰되었다. 반면 Ti 및 B 첨가강은 7$50^{\circ}C$, 20시간 열처리 조건에서도 거의 입계석출물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일부 소량 존재하는 입계 석출물은 EDX 분석결과 Mo-rich 상인 Laves 상으로 분석되었다. DSC와 TEM 분석 결과는 Oxalic 시험 및 Modified Strauss 시험에 의한 입계 부시시험결과와 잘 일치하였고, Ti 및 B의 첨가는 Cr의 확산을 저지시켜 입계탄화물의 석출 및 성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며, 316LN 강의 예민화 특성을 양호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