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유시장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apping and Assessment of Forest Biomass Resources in Korea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평가 및 지도화)

  • Son, Yeong Mo;Lee, Sun Jeoung;Kim, Sowon;Hwang, Jeong Sun;Kim, Raehyun;Par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3
    • /
    • pp.431-43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forest biomass resource which is a carbon sink and a renewable resource in Korea. The total forest biomass resource potential was 804 million tons, and conifer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accounted for 265 million tons, 282 million tons, and 257 million tons, respectively. Proportionately to regional forest stocks, biomass potential of Gangwon-do had most biomass potential, followed by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woody biomass from the byproduct of sawn timber in commercial harvesting was 707 thousand ton/year, and that from the byproduct of forest tending was 592 thousand ton/year. The amount resulted in about 1,300 thousand ton/year of potential supplies from forest biomass resource into the energy market. It's tonnage of oil equivalent(toe) was 585 thousand ton/yea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rogram (BiomassMap V2.0) for forest biomass resource mapping. Used system to develop this program was Microsoft Office Excel, Microsoft Office Access ArcGIS and Microsoft Visual Basic 6.0. Additionally, This program made use of tool such as ESRI MapObjects2.1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spatial information. This program shows the map of total biomass stock, annual biomass growth at forest land in Korea, and biomass production from forest tending and commercial harvesting. The information can also be managed by the program. The biomass resource map can be identified by regional and forest type for the purpose of utilization. So, we expect the map and program to be very useful for forest managers in the near future.

Situation of Fertilizer Industry in Korea (비료산업(肥料産業)의 현황(現況)과 문제점(問題点))

  • Lee, Yun Hw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5 no.1
    • /
    • pp.34-48
    • /
    • 1982
  • 1.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hemical fertilizers in Korea could be divided into five different phases of total imports, setting up fertilizer plants, self-sufficiency in production, net export, and diversification in compound fertilizers. Currently the nation has production capacity of 800 thousand M/T of nitrogen, 400 thousand M/T of phosphate ($P_2O_5$) and 200 thousand M/T of potash ($K_2O$). 2. Yearly consumption increased every year, since 1964, 28,000 M/T N, 7,700 M/T $P_2O_5$, and 7,500 M/T $K_2O$ until 1972, when the increase jumped by eight times for $P_2O_5$ and seven times for $K_2O$ for the following 3 years in anticipation of their short supply. Now total consumption has been more or less stabilized at the level of 450 thousand M/T N, 220 thousand M/T $P_2O_5$ and 180 thousand M/T $K_2O$ for the last 7 years. 3. Current operation rate of fertilizer plants is around 80% throughout the whole industry, after going through several different levels depending on demand at times. 4. Fertilizer export started in 1967 and reached a peak of 150 thousand nutrient ton in 1972, about 20% of total production, before temporarily stopping due to over-demand for next three years. The export resumed again in 1976 rise to the all time high of 670 thousand nutrient ton in 1980, almost half of total production, and then started to decline due to higher price of petroleum since then. 5. The decline in fertilizer export appears to be accelerated because several countries, in South-Eastern Asia, traditional export market for Korean fertilizers, started to build their own plants, since 1980, based on their raw materials of especially petroleum. 6. Current consumption in Korea is about 30 nutrient Kg per 10a, equivalent to that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partly due to new high-yielding rice varieties and extensive cultivation of fruit trees and vegetables. Additional fertilizer demand in future can be anticipated in reclaimed land for growing grass and forestry.

  • PDF

The Study of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유라시아 철도의 다중경로 구축에 관한 연구)

  • Hahm, Beom-Hee;Huh, Nam-Kyun;Hurr, Hee-You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1 no.2
    • /
    • pp.137-170
    • /
    • 2008
  •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logistics strategy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markets which makes competition and corpo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The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rea of Eurasia like China, Japan, Russia and Korea are paying higher costs and disutility to the transportations and communications due to repeated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causes from the politic problems. They are being used surface transportation for most of all logistics between Europe and Asia except special merchandises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cargo to be air, the Silk Road remains vestige only which was main logistic passage to this area since BC. So far the Trans-Siberian Railway is being used by Russia mostly as north of Eurasian transport because of difficulties of service. The Trans-China Railway built in 1992 is not accomplishing as a international logistic passages. It is expected to take a long lead time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resource development and poor logistic infrastructure to the countries like Uzbekistan, double landlocked country, Mongolia and Azerbaijan, the countries do not be adjacent to the sea, even they have great economic jump-up pl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resources.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start to sail officially in 2001 is constructed with China, Russia, Tadzhikistan, Kyrgyzstan, Kazakhstan and Uzbekistan as regular members of 6 countries and Mongolia, India, Pakistan, Afghanistan and Iran as observers 5 countries. It is started as a military alliance to protect terror, but now, it is expended to cooperate with the traffic, transportation, trade and share of energies. The Russia is doing their best to activate TSR as a government target to developnorth area equivalently, and economic develop of far-east Siberia. And also it is agreed provisionally to improve and repair of rail road between Nahjin and Hassan to connect TSR and TKR( Trans-Korea Railroad) by Russi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 Russian's aggressive efforts. The development plan of this area is over lapped with GTI(Greater Tumen Initiative) promoted by UNDP, and is a cooperated project by 5 countries of South Korea, Mongolia,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subject to review the appropriation of energy, tour, environment, rail road connection between Mongolia and China and establishing a ferry route to north-east Asia. It is Japanese situation to pay attention to Russia and China even they have been supplying large-scope of infrastructure in Mongol area without any charges, target to get East Asia Main Rail Road to connect Mongolia and Zalubino of Russia. In case of the program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not creeping, it will be accelerated to connect the TKR and TSR, TKR and TCR by somehow attending United States, including developing program promoted by UN ESCAP. As the result, Korean peninsular will continue the central rol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s in the past, now and future of north-east Asia, as of geographical-economics and geographical-politics whether it is requested or not wanted by neighbor countries.

  • PDF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