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지

검색결과 2,464건 처리시간 0.029초

차세대 서지 기술 형식으로서의 BIBFRAME 모형 연구 (BIBFRAME Model for the Next Generation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mat)

  • 박지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년도 제2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에 적합한 서지 기술을 위해 LC에서 개발한 BIBFRAME을 분석하고, BIBFRAME이 개방형 서지 데이터의 생성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BIBFRAME의 등장 배경 및 특징을 FRBR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BIBRAME은 1)서지 객체의 지적 내용과 물리 매체를 구분하고 있었는데, FRBR의 제1그룹보다 단순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2) 인명전거와 주제전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전거를 정의하고 있었으며, 서지데이터 작성자의 관점과 이용자의 관점을 함께 고려하였다. 3) 다양한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및 개별 도서관에 특화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주석 개념을 도입하였다. BIBFRAME은 MARC 레코드에서 변환하거나 직접적으로 서지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안이 모두 가능하며, 웹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주요국 국가서지 현황조사를 통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분석 (Current Trends for National Bibl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National Bibliographies)

  • 이미화;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57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을 분석하고자 문헌연구, 홈페이지분석, 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 국가 출판물의 기록이라는 국가서지의 정의에 부합하기 위해서 국가서지에 인쇄에서 전자자원까지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도록 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자료가 포함될 수 없으므로 제외사항이 있었다. 보편적인 국가서지 선정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고, 분석을 바탕으로 한 타당하고 포괄적인 수록범위를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서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출판사 및 도서관 등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서지 생성의 효율성을 위해 표준화 및 일관성, 디지털 자원에 대한 컬렉션 단위 메타데이터 기술, 링크드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서지 생성 등과 같이 국가서지 발행 및 생성에서 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서지는 국가서지 온라인 검색 시스템, 링크드데이터 검색, PDF, OAI-PMH, SRU, Z39.50을 이용한 MARC 다운로드, RDF/XML 형식의 대량 다운로드 형태 등으로 발행되고 있고, 온라인목록과 통합되거나 별도로 구축되기도 한다. 다만, 국가서지와 온라인목록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 재사용 방식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서지를 위한 차별화된 기능으로 다양한 브라우징 기능과 함께 이용자 태깅, 국가서지 통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국가서지 빅데이터 분석, 전자 출판물과의 링크, 링크드데이터의 대량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한 개방 서비스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및 고려사항을 통해 국내 및 국외 국가서지의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 아시아지역의 국가서지 현황

  • 구자영
    • 도서관문화
    • /
    • 제17권4호
    • /
    • pp.3-6
    • /
    • 1976
  • 본고는 오는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개최될 국제도서관협회연맹대회 전체회의A(동양출판물의 서지통제-국가 서지의 역할)에서 발표될 논문을 미리 게재하는 것임을 밝혀 준다.

  • PDF

서지 보호대책 및 보호기준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전기기술인
    • /
    • 제208권12호
    • /
    • pp.37-43
    • /
    • 1999
  • 서지전압은 전산시스템과 같은 전자장비에 대표적인 장해원으로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서지 전압에 기인한 장비의 파손 방생률이 매3~4년마다 배가되고 있다.

  • PDF

FRBRoo 분석을 통한 FRBR 개념모형의 확장과 개선 (Expanding and Improving FRBR Conceptual Model through FRBR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1-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FRBRoo 분석을 바탕으로 FRBR 시리즈 개념모형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FRBRoo는 CIDOC CRM과 연계된 플러그인 온톨로지다. FRBR 모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 분야와의 협력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FRBR 시리즈 모형이 IFLA LRM으로 통합 개정되었다. 이에 LRM에 대한 분석도 추가하였다. 서지 정보가 도서관의 업무와 이용자를 지원해야 한다면, 도서관이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서지정보를 분석하는 방식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이벤트 개념이 서지정보의 모델링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서지정보의 구축과 교환 단위를 서지레코드보다 더 작은 단위나 더 큰 단위로도 확대해야 하며, FRBRoo를 서지정보의 공유를 위한 외부와의 연계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지 유틸리티와 CIP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OCLC와 미국국회도서관 CI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Utility and Its Use of CIP Data : With a Focus on the LC CIP Program and OCLC)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9-36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국회도서관의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지 유틸리티를 통한 CIP 데이터 접근, 배포, 개선 및 활용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LC CIP 프로그램은 많은 출판사의 참여와 지속적 성장, CIP 서지정보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즉각적 접근을 위한 서지 유틸리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출판 후 서지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 개선을 위한 품질제어 노력 등의 특성을 갖는다. LC와 OCLC와 같은 서지 유틸리티 사이의 협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 도서목록' 프로그램의 제한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의 대표 서지기관으로서 출판예정 단행본에 제한된 CIP 데이터 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국내간행 신구간 자료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대한 국내 도서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 PDF

서지자료특성에 대한 이용자 반응 조사 (A User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ibliographic Materials)

  • 박온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2-126
    • /
    • 1984
  • 정보가 폭증함에 따라 이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서지정보검색도구의 생산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용자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서지정보검색도그를 생산해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용되는 7종의 서지도구의 이용상황 및 그 특성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한 두 종류의 서지도구가 집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용도가 높은 서지도구일수록 불만족의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가장 많이 이용되는 4종의 서지도구의 인쇄형태가 검색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기 위해 실험검색을 실시한 결과 4종의 서지도구가 공통적으로 낮은 검색율을 나타내었고 그중 정기간행물기사색인의 경우 가장 낮은 검색율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발간되는 서지자료들이 보다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정보검색도구로써 그 역할을 다 할 수 있으려면 광범한 이용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개선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PDF

4분의 1 파장 단락 스터브 방식 서지 어레스터의 잔여 전압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limination of Residual Voltage in Quarter Wave Short Stub Surge Arrestor)

  • 김연태;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8호
    • /
    • pp.33-44
    • /
    • 2000
  • 고전압 전류 특성의 낙뢰는 안테나를 통해 지상에 설치된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서지 어레스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지 어레스터의 개념, 종류, 동작 원리, 설계 및 제작 등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국내외에서 이용되고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인 셀룰라, GSM 및 PCS 등과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인 IMT-2000의 기지국에 적용 가능한 서지 어레스터들을 설계하였다. 초기 설계된 서지 어레스터들은 고주파 3차원 구조 시뮬레이터 상에서 특성 예측을 위한 컴퓨터 모의 실험과 서지 어레스터의 전자기적 특성 개선을 위한 내부 구조 최적화 작업이 수행되었다. 서지 어레스터의 최종 설계도를 기반으로 실제 IMT-2000 기지국용 4분의 1 파장 단락 스터브 방식의 서지 어레스터를 제작하였으며, 전자기적 전송 특성 측정과 낙뢰 전달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작된 서지 어레스터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압 정재파 비는 1.05 이하, 삽입 손실은 -0.035 dB이하, 상호변조 특성은 -150 dBc 이하의 특성을 얻었으며, 잔여 전압 특성은 7∼ll V 정도의 특성을 보였다.

  • PDF

FPSO용 연료가스압축 시스템을 위한 서지방지 밸브 설계 (Design of Anti-Surge Valve for FPSO Fuel Gas Compressor System)

  • 박형욱;조종래;이승민;박종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443-450
    • /
    • 2011
  • 연료가스 압축 시스템은 중급의 FPSO에 설치되며, 이 시스템에서 서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 서지 밸브가 사용되어진다. 만약 서지가 발생하게 되면 시스템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안티서지 밸브는 반드시 구조강도와 구조안전성 평가가 수반되어야한다. 특히, 비상시에도 밸브는 구조안전성과 그 성능을 보장해야 된다. 이 연구에서는 안티서지 밸브의 구조강도와 구조안정성 평가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형상모델은 유니그래픽스 NX4.0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은 ANSYS Workbench 12.1 버전을 이용하였다. 밸브의 허용 강도와 안전계수는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를 참조하였다.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an Integrated KORMARC Bibliogrphic Format)

  • 이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1-144
    • /
    • 2009
  •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이 발간됨에 따라 그동안 자료유형별로 각각 발간되었던 KORMARC의 문제점들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고, 도서관 현장에서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도입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 적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및 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효과적 적용을 위해서는 데이터 적용 범위를 먼저 결정하고, 데이터 변환 및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통합서지용 KORMARC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적용을 고려 중인 기관과 상용 도서관시스템 업체들에게 실제적인 방향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