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적점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f Modern Astronomical Terminology in the Early 1900s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3.2-63.2
    • /
    • 2016
  •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천문학 서적 2권을 중심으로 사용된 천문학 용어를 현재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두 서적에 사용된 용어에서 천문학용어, 화학원소 용어, 인물 및 지명 용어로 나누어서 현재의 과학용어사전과 비교하였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용어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용어, 그리고 의미는 동일하지만 변화를 보인 용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 권의 천문학 서적에는 영어 색인이 포함되어 있어, 그 기준으로 현재와 비교하고, 나머지 천문학 서적은 본문에 나온 용어를 추려서 비교하였다. 용어를 통해서 두 권의 서적이 다른 경로로 수입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현재와 같이 용어의 통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당시 천문학 교육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당시의 천문학 서적이나 관련 서적을 연구할 때, 한자 표기 없이 영어 어휘를 음차하여 표기된 용어를 동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Taoist Literatures Including in Annotated Classified Bibliographies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해제목록에 나타난 도가서적(道家書籍) 연구)

  • 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1
    • /
    • pp.63-81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annotations of Taoist literatures in "Haedong-munheon-chongnok", "Gyujang-chongmok", "Nupango" and "Hongssi-dokseorok", which were annotated classified bibliographies compiled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from which the annotations were written since Taoism was considered to be heretical from a Confucian point of view. With respect to writing the annotations of Taoist literatures, it was general that the annotations were written objectively about Taoism, rather than relying on a Confucian perspective. Yet, Hong Seok Ju, who wrote "Hongssi-dokseorok" clearly expressed his opinions about the pros and cons of Taoism. Overall, it would be well appreciated that the annotated bibliographies in Joseon Dynasty retained objectivity in Taoist literatures regarded as heresy at that time.

Book Genre Visualization based on Genre Identification Algorithm (장르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책 장르 시각화)

  • Kim, Hyo-Young;Park, Jin-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52-61
    • /
    • 2012
  • Text visualization is one of sectors in data visualization. This study is on methods to visually represent text's contents, structure, and form aspects based on various analytic techniques about wide range of text data. In this study -as a text visualization study-, 1) a metho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 book's genre using words in the text of the book was looked into, 2) elements of visualization of a book's genre based on verification through an experiment were drew, and 3) the ways to intuitionally and efficiently visualize this were explained. According to visualiz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first, actual genre of a book can be understood based on words used in the book. Second, with which genre is closed to the book can be found out with one glance through images of visualization.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complicated genres included in a book can be understood. Furthermore, the level of closeness (similarity) of a genre -which is found to be a representative genre using the number of dots, curvature of a curve, and brightness in the image- can be assumed. Finally,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book customizing service such as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provides images of personal preference books or genres through application of books favored by individual customers.

The Distribution and Scale of Book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s "Kyujangjeonun" ([ "규장전운" ]을 통해서 본 정조조의 서적 반사와 그 규모)

  • Shin, Seung-W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293-316
    • /
    • 2004
  • The best way of getting knowledge is reading in the Cho-sun dynasty, so getting books is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the scholars. The most important way of getting books for scholars in Cho-sun dynasty is taking Bansabon published and given to scholars by government. but there is few data and few concrete studies of it. This study deals with the object and the scale of distribution of books on the basis of Bansagi ; king Jeong-jo published 『Kyujangjeonun』 distributed about 1,500 volumes to scholars and govermment agencies.

  • PDF

출발 1999 전망과 회고-과학

  • Kim, Seong-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9
    • /
    • pp.10-10
    • /
    • 1999
  • 지난해의 연장 속에서 환경문제와 함께 인간 복제문제, 상대성이론과 시간과 관련된 내용들, 노벨상과 관련된 대중서가 계속 소개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외국서적을 단순히 번역할 뿐만 아니라 국내 저자가 저술한 책의 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 PDF

A Study on Dongkuksipji Yeamunji (『동국십지(東國十志)』 「예문지(藝文志)」에 관한 연구(硏究))

  • Jin, Na-Young;Song, Il-Gi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3
    • /
    • pp.107-14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ngkuksipji's Yeamunji, written by Bae Sang-hyun(裴象鉉) in 1855. Dongkuksipji is a kind of encyclopedia. Dongkuksipji's Yeamunji record 137 books written in Goguryeo, Silla, Goryeo, Joseon and China. Yeamunji has its own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ncludes 15 different topics. But this classification system emphasizes too much some field, such as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Yeamunji contains information on the period of compilation, author, title, and some bibliographic introductions. Although Dongkuksipji's Yeamunji does not have a perfect system for its contents, it is worthy of notice because it is a large catalogue of ancient books compiled by just one person.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용 자기 센서

  • 송용설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7 no.5
    • /
    • pp.280-283
    • /
    • 1997
  • 흔히 EAS SYSTEM으로 불리는 Electronic Article Surveilance System(전자 상품 가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이라고 한다.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목적은 편의점, 슈퍼마켓, 의류점, 서점,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판매점 및 대여점, 스포츠용품점, 하이마트, 도서관 등의 일정한 보호구역으로부터 의류, 서적,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CD등의 상품을 도난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이다. 상품 도난방지 시스템은 판매되는 상품 표면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Tag)를 부착하고, 입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Frame)를 설치하여 라벨이나 태그가 계산대에서 제거되거나 센서 기능이 소멸되지 않은 채 유출될 때, 상품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시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한다.

  • PDF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었던 천문학 관련 도서

  • An, Sang-Hye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19.3-19.3
    • /
    • 2011
  • 1631년 정두원이 명나라로부터 가져온 네 권의 과학서와 한 편의 보고서 가운데, 치력연기(治曆緣起)라는 책과 서양공헌신위대경소(西洋貢獻神威大鏡疏)가 강화도의 외규장각에 소장되고 있었다. 이 점에 유의하여 강화도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었던 천문학 및 수학 관련 서적을 조사해 보았다. 외규장각 소장 도서의 목록에 해당하는 외규장각형지안(外奎章閣形止案)을 조사하여, 소장 도서의 내역과 소장 상태의 변천을 알아낼 수 있다. 그 결과 서양공헌신위대경소는 1791년 신해박해 때 천주교 서적으로 오인되어 소각되었고, 치력연기는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해군에 의해 소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외규장각에는, Napier의 대수(logarithm)에 관한 아이디어가 반영되어 있는 쟈크 로우(Rho)의 주산(籌算)이란 책이 소장되어 있었고, 조선조 양대 물시계에 관한 보고서인 흠경각영건의궤(欽敬閣營建儀軌)와 보루각중수의궤(報漏閣重修儀軌)가 있었으며, 조선 국왕들이 천문에 관해 작성한 어제 및 어필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천문류초(天文類抄)와 천기대요(天機大要)와 같은 널리 사용되던 천문 및 음양학관련 서적이 소장되어 있었다. 특히, 1866년 프랑스 해군에 의해 약탈되어 현재 프랑스 파리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숙종석각의 탁본으로 추정된다. 현재 10여 개의 탁본이 국내외에 남아 있으나, 최근 프랑스로부터 반환되게 된 외규장각 도서 내역에 천상열차분야지도가 포함되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약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한말 신문광고에 비친 책망 풍속도

  • Lee, Seung-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36
    • /
    • pp.8-11
    • /
    • 1993
  • 한말 신문광고를 유심히 살펴보면 최최의 전문적인 서적상이라 할 '대동서시'가 문을 연 1896년 이후부터 한일합방 때까지의 15년간, 경향 각지에 무려 70여곳의 서점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경술국치를 전후한 시기에 고작 10여개의 서점이 서울에서 영업을 하고 있었다는 지금까지의 통설을 크게 수정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