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울 주거지역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 Kim Min-Hoi;Kim Tae-Hyun;Hong Sun-Gwan;Kim H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Change in the Commercially Gentrifi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Korea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 Lee, Gihoon;Lee, Sugie;Cheon,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1
    • /
    • pp.31-47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business type in the residental areas that have commercial gentrification issues in Seoul, Korea,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gentrification occurrence area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low-density and old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those areas are more likely to have great accessibilities to highway ramp, subway station, colleges, and other facilities that attract peopl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gentrification occurrence areas are associated with longer road length, lower rate of road areas, higher local integration of road network, and higher rate of three-way intersection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low-density and old residential areas with organic road networks have strong links with commercial gentrification.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business type has been substantially changed from 2006 to 2014 in the commercially gentrified residential areas. While the coffee shops and drinking places have been increased, but neighborhood-living facilities have been decrease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business life-cycles of drinking places or Korean restaurant are getting short.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commercial gentrification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residential districts in Seoul, Korea.

서울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변화 특성

  • 유순영;윤성택;소칠섭;채기탁;이평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39-142
    • /
    • 2001
  • 서울시 대도시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오염 특성을 토지 이용 특성(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과 관련하여 고찰함으로써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효율적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3개년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한다. 총용존고체 함량(TDS)은 지하수 수질 특성 파악에 손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임이 확인되며, 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의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서울 도시 지하수 수질은 일차적으로 부근의 도시화 특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청정지역의 수질 특성 자료를 제시하여 지하수 오염도 평가의 기준(배경 수질)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서울 동부 지역 암반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보면, 강북, 노원, 도봉 등 중랑천 상류 지역의 지하수가 동대문, 성동, 송파구 등 하류쪽의 지하수에 비해 낮은 TDS 함량을 갖는 경향이 있다. 서부 지역 지하수는 동부 지역에 비해 높은 TDS 값을 보이며, 공단부지 면적이 큰 영등포, 금천, 구로구 일대 및 종로, 중구 등 교통혼잡지역 등에서 매우 높은 TDS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국, 서울시 지하수의 TDS 함량은 수-암 반응보다는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해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n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or the Intra-Urban Migr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주거 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 Jun, Myung-Jin;Kang, Do-Gyu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1
    • /
    • pp.83-10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or the inter-urban migr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doing so, we have built a discrete choice model, using household sample data from the 2010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e classified households, which made a intra-urban movement during the last five years, into four groups: 1) movers from Seoul (central city) to Gyunggi-Incheon (suburban), 2) movers from Gyunggi-Incheon to Seoul, 3) Intra-Seoul movers, and 4) intra-Gyunggi-Incheon movers. The analysi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were found among different types of movers. Second, movers from Gyunggi- Incheon to Seoul were likely to choose small housings with fewer rooms, indicating that their housing choices were forced rather than voluntary due to high housing prices in Seoul. Third, all types of movers have a high preference for the neighborhood with a good accessibility by public transit including subway. Lastly, neighborhood amenity was also an important attracting factors for the intra-urban migrants in Seoul.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부동산 관련 창업자를 위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 Jin, Seon-Ji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81-1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에 차이, 그리고 주거환경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2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등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환경 중 단지질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시설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근린, 사회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주거환경 만족도 변수상호간에는 주택환경 만족도와 단지 내 환경 만족도, 단지 내 환경 만족도와 관리상태 만족도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서울시 주거 지역 용도 현실화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36
    • /
    • pp.82-82
    • /
    • 1971
  • 서울시에서는 시가지가 확산되고, 간선 도로를 따라 건축물이 들어섬에 따라 용도지역 변경을 해서 건축허가등의 제약을 현실화했다고 한다. 이번 용도변경된 지역은 모두 주거지역때 대지면적의 60%까지 건축하던 것을 70%까지 건축할 수 있고, 점포전용 건물신축이 가능해 졌으며,40개 모선상업지역을 도로경계선에서 양쪽 12m까지 상업지역과 똑같은 용도로 대지를 쓸수 있게 됐다. 이번 용도지역변경 된 곳은 아래와 같다.

  • PDF

A Study on Vacant Hous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eclining Area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 Kim, Jinha;Nam, Ji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1
    • /
    • pp.105-122
    • /
    • 2016
  • Recently people are starting to pay attention to the vacant house. Vacant house across the country are expected to be a Mill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created a new legal provisions regarding maintenance to Vacant on the Construction Law. But Vacant house information systems in government are not available Other countries to clarify the role each entity to manage these Vacant and manages the Vacant. The national government has made the operating budget support program for the Vacant management. The local government has made legislation of self-government to create a DB for the Vacant management. A non-profit corporation is developing a program operated by the Vacant, and the Vacant intermediaries to consumers. Therefore, our country is also to expand the national budget for the Vacant administra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Vacant house research and DB.

Analyzing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서울시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변이성 분석)

  • Choi, Hyun-Ah;Song, Chul-Chul;Lee, Woo-Kyun;Kwak, Ha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55-4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997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1개 자동기상관측망(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에 의한 지표 근처 기온($^{\circ}C$) 및 강수(mm)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기상인자의 시 공간 구조 분석 및 변화경향과 변이성을 도출하였다.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여,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하는 공간통계학적 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여 보관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1997년에 비해 2006년의 기온이 약 $1.03^{\circ}C$, 강수량이 약 483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10년 동안 기온의 경우 산림지역에서는 변화의 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거 지역의 경우 변화이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강수량의 경우 산림지역과 주거지역의 변이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Geographical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Outcomes and Housing Expenditure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과 주거비 차이)

  • Hyunjeong Lee;Sangjun Na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3
    • /
    • pp.17-36
    • /
    • 2023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financial, and housing statuses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expenditure in four districts - Seoul and Gyeonggi-Incheon Area(GIA)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of non-SMA. From the 2020 Korean Housing Survey(KHS), this cross-sectional analysis examined a sample of 691 households, and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were headed by college-educated, salaried male workers aged 31 years old. While childless dual-earner couples were common in Seoul, single-income families of three were prevalent in non-SMA. The financial status of the couples in Seoul was a lot better than in the other three areas, particularly much higher in Chonsei deposit and total asset value. Further, many lived in a three-bedroom apartment unit sized 60m2 and bigger, using a Chonsei loan. Regardless of areas, almost all the households spent a very low portion of their living expenses and income on housing costs. However, dual-earner families positively increased borrowing capacity, which improves the household's financial position that is likely to lead to equity increment in a volatile asset market in the long run.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assessment was influenced by neighborhood quality and housing expenditure was affected by housing size in Seoul, urban amenities in GIA and householder's gender in non-metropolises. Thu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strong measures be considered to mitigate housing inequality embedded in geographic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Feral Pigeons Columba livia by Habitat in Seoul (서울지역 집비둘기 Columba livia의 서식지별 중금속 오염)

  • Kim, Jeong-Su;Han, Sang-Hui;Lee, Du-Pyo;Gu, Tae-Ho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5
    • /
    • pp.303-307
    • /
    • 2001
  • Some Feral Pigeons Columba livia were collected in commercial, industrial, park and resident areas of Seoul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ir liver, kidney, bone and muscle tissu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levels of exposure by habitats. Statistical analyses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heavy metals among these habitats. The levels of iron in liver and zinc in kidney were lower in resident area than in the other ones. Manganese and copper levels in all tissues were the highest in industrial area and park area, respectively. Lead bone level in resident area was the lowest, while that in commercial area was the highest. Cadmium level in kidney was higher in park area than in the other areas. Of these results, the levels of iron, zinc and lead in some tissues were related to traffic density in each habita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