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울 생활권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Changes of Urban System Reflected in Daily Movement: 2005-2012 (일일 인구이동으로 본 국토공간의 도시체계 변화: 2005년과 2012년)

  • Son,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2
    • /
    • pp.203-216
    • /
    • 2015
  •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of urban system through the network and the flow pattern reflected in daily movement in Korea. Because daily movement reflects trip pattern, urban system formed by inter-city linkages can be recognized in terms of living sphere. While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cities have the number of linkage systems of city network and the number of traffic regions composed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has increased respectively. Nevertheless, spatial extent of Capital region and Busan region has been expanded. In Gangwon-do in which Seoul-oriented high-speed transportation network has developed, separation of living sphere between Yeongdong area and the Soyanggang cultural region formed around Chuncheon was intensified. Living sphere that includes Daejeon and the surrounding cities has been expanded to the southern Gyeonggi-do. The existing living sphere formed in Jeollanam-do was fragmented into the east and west around Mokpo and Suncheon due to the weakened centrality of Gwangju. Living spheres formed by spatial interaction were consistent with regional administrative boundary. Considering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Seoul and its surrounding cities,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y-region centered on Seoul is expected.

  • PDF

고속 전철에서의 중전기 응용

  • 한규환
    • 전기의세계
    • /
    • v.40 no.1
    • /
    • pp.27-36
    • /
    • 1991
  • 교통수단을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나라가 세계의 주도권을 행사해 왔다면 지나친 비약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해가 지지않는 나라로 찬란하 문화와 부를 구가했던 영국은 19세기 산업혁명에 의해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를 개발했고, 20세기초에 들어 세계의 부를 누렸던 미국은 그야말로 자동차의 나라라고 할만큼 많은 자동차를 개발해왔다. 이제 맞이해야 될 21세기의 세계 역시, 어떤 나라가 새로운 교통 system을 개발하느냐 하는것도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살아온 세대보다도 더 많은 사람의 교류와 정보의 전달 및 물자의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금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21세기의 항공분야도 초음속 여객기가 상업화되어 그들의 주장대로 서울에서 Losangeles 간을 4시간대에 비행한든지, 뉴욕과 파리간이 2시간 이내에 비행된다면 세계는 어떻게 변모할 것이며, Europe 대륙에서 영국 Dover 해협을 해저로 통과하는 초고속 열차에 의해 Europe을 한 덩어리로 묶고, Europe 대륙에서 Asia 대륙을 횡단하는 초고속 열차가 실용화된다면 세계는 어떻게 변모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볼때, 일일 생활권에 놓인 세계는 사회, 경제, 문화면에서 급속한 변화를 겪게 될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순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부산을 2시간대로 운행 할 수 있는 초고속 열차가 추진되고 있고, 이 서울, 부산간을 축으로 하는 경부 고속전철이 완공된 후 서울에서 광주, 서울에서 강릉을 연결하는 국토종합 개발권의 고속전철이 운행된다면, 지역간 시간적 거리가 단축되고 국토 구조도 많이 변모할 것이며, 행정기관의 지방이전이나 서울 중심의 경제적, 문화적 기능들이 지방으로 많이 분산되어 좁은 국토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명제를 안고 추진되는 우리나라의 고속전철사업을 생각하면서 이미 실용화된 선진각국의 고속전철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전기기들이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 PDF

21세기의 교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11 s.330
    • /
    • pp.43-66
    • /
    • 1996
  • 세계가 하루 생활권이 된다. 서울에서 아침을 먹고, 뉴욕에서 볼 일을 본 후, 로마에서 관광을 한다. 교통수단의 발달은 꿈같은 세상을 만들어 줄 것이다. 미래 교통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인지 알아 보았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of IAQ(Indoor Air Quality) for Underground Environments in Seoul (서울시 일부 지하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정진원;김윤신;윤동원;권성안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04-306
    • /
    • 2000
  • 오늘날 경제적 생활 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제한된 공간에서 인간 활동은 지하생활공간이라는 새로운 활동영역을 창출하였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의 거주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지하생활공간이라는 용어가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지하생활공간이라 함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지하철,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지하 보·차도, 지하터널 등을 말하며 개인의 생활 양식에 따라 단시간 이용하거나 또는 생활터전으로 장시간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afety in Urban Spaces and Aging in Place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과 노인들의 계속 거주와의 관계분석)

  • Park, Jong 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09-12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afety of the urban spaces and the aging in place tendency of the elderly. Method: For analysis, the physical safety of the urban space is divided into four elements: outdoor space and building safety, pedestrian safety, transportation safety and living safety, and for aging in place, the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1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for each of the five urban community in Seoul. Results: 78.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good at continuing to live in the present living area, the elderly living in Seoul has the high tendency of aging in place.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good at living continuedly is in the order of southeast, northwest, southwest, northeast, and downtown. Conclusion: Whe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are good at staying in the current living area is high, not only the overall physical safety but also the average of the physical safety factors of the urban space are also high, physical safety of urban spaces is a factor affecting aging in pl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applied as a method to create a safe city in the process of city development or urban renewal in the future.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시운동의 부상

  • Lee, Gi-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127-156
    • /
    • 2017
  •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에서는 도시공간에 관한 권리를 둘러싼 격렬한 투쟁이 이어져왔다. 급작스러운 임대료 상승과 그에 뒤따르는 폭력적 전치는 이제 도시생활의 일상적 의례의 하나로 자리잡은 듯하다. 흔히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명명되는 도시공간의 자본화는 한편으로 도시 내 계급지배가 관철되는 대표적 양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도시운동이 발생하는 조건과 배경으로도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울의 도시공간에서 발견되는 도시운동의 새로운 형태들을 2010년 이후 등장한 세 개의 도시 운동 집단, '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맘상모),' 리슨투더시티, 비빌기지에 초점을 맞춰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도시공간에 대한 이들의 대안적 상상과 실천의 형성 과정을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들이 제시하는 도시운동의 '새로움'을 과거의 도시운동과 비교 분석하며, 도시운동으로서 이들의 실천이 지닌 함의를 도시권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내용과 형식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의 행동은 몇몇 핵심적 특성을 공유한다. 첫째, 이들은 공동재(commons)로서의 도시공간을 추구한다. 둘째, 이들은 느슨하고 유연하며 소규모의 조직을 지향한다. 셋째, 이들은 예술과 문화를 주체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원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철거민운동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계급 기반 도시운동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계급 이후(post-class) 도시권의 전망을 선취한다.

A Proposal for expansion of the low-floor bus based on analysis of living area for the handicapped mobility people in Seoul Using R (R을이용한 서울시 교통약자 생활권 분석에 따른 저상버스 확대 제안)

  • Yun, Sang-hee;Kim, Jeong-joon;Jeon, Gwang-il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6
    • /
    • pp.195-201
    • /
    • 2017
  • As of 2016, the total traffic usage of handicapped people were 24.8%. Buses (25.6%) have the highest rate of travel, with the exception of "walking (33.5%)" as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se handicapped people. Therefor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panded the low-floor bus, which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underbelly, to 30% by 2015, but the satisfaction level of mobility improvement of the underbelly was only 2% To 55%. In fact,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low-floor buses is merely a superficial solution,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solving fundamental problems with limited budge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 statistical analysis R, with a simple data manipulation and visualization function, to grasp the living area and life pattern of handicapped people in Seoul city.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 Kim, Yong-G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3
    • /
    • pp.76-89
    • /
    • 2014
  • The functions of urban park including health related benefit and clim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are expanding. However, in-depth research and discourse on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expanded park function has been limited so far. Following research suggests Green Welfare concept to reflect distributive equity and multifunctionality in the process of urban park policy development and execution. This study developed park welfare indices to analyze disparities of neighborhood urban park(NUP) distribution viewed from green welfare by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by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een welfare is defined as "to receive equitable benefits and participate in the delivery process of green services which are promoting health and securing safety from climate change risks for every citizen by life cycle regardless of socioeconomic status". Second, NUP per person in Seoul indicate meaningful differences by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tus of Seoul administrative districts. Park welfare indices correlated to NUP per person were shown population density(negative), percentage of individuals $aged{\geq}65$(positive), percentage of self-reliance of local finance(positive), flood and air pollution vulnerability by climate change(negative). Third,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s three significant clusters that indicate differences of park welfare level. Thus, it was found that NUP in Seoul from a green welfare perspective was provided disproportionately. Future urban park policy in Seoul was required equitable distribu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park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and priorit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ark service consumer.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in Seoul and Pusan (서울 및 부산지역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 김윤신;이상복;권성안;최원욱;김현탁;이홍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01-303
    • /
    • 2000
  • 오늘날 경제적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일상생활 대부분이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인구 및 산업의 도시집중화에 따른 지하생활공간의 이용이 확대되는 둥 생활양식과 거주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실내공간은 현대 도시인들에게 있어서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는 공간으로서(Wily et at., 1991)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이 보건학적인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며(Spongier, 1983) 현재 국내에서도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오염도가 조사되고 있으나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김윤신, 1994). (중략)

  • PDF

Estimation of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the Seoul Subway Stations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PM_{10}$ 오염원의 기여도 추정)

  • 차재두;장철순;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5-346
    • /
    • 2003
  •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1호선을 시작으로 현재 8호선까지 운행되고 있으며, 40 %이상의 높은 수송 분담율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용 승객의 증가와 함에 주변의 지하상가와 역세권을 형성하여, 주요 교통수단 및 서울시민의 중요한 생활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한근혁, 2002). 그러나 서울시 지하철의 지하역사는 실외공간과 달리 공간적 밀폐성으로 공기질 악화문제에 직면하고 있다(환경부, 2002).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