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술어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nstruct ion of Metaphor Ontology Using HowNet : Based on the Concept, 'Culture' (HowNet 기반 은유 온톨로지 구축: 추상개념 '문화'를 중심으로)

  • An, Dong-G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05-2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사고를 가능하게 해주는 개념은유 표현의 서술어를 분석하여, 추상개념의 근원영역을 찾는 알고리즘을 HowNet 지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로 추상개념 '문화' 가 쓰인 242개의 은유 표현 용례 문장을 가지고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근원영역을 찾고. 이를 토대로. 목표영역 '문화' 의 근원영역이 추론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추론되는 HowNet 기반 은유 온톨로지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문화' 와 영어표현 'Culture'의 근원영역 비교를 통하여 구축된 온톨로지를 영어 번역 및 작문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보이고자 한다.

  • PDF

A Classification of Endings for an Efficient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고성능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한 어미 분류)

  • Eun, Zong-Zin;Park, Su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41-47
    • /
    • 2000
  • 한국어 형태소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용언구(서술어)를 분석하는 것이다. 형태소 분석 뿐만 아니라 구문 분석, 의미 분석 단계에서도 정확한 용언구 분석은 매우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또한, 용언구에는 [체언+지정사+어미] 패턴도 포함되므로, 정보검색기의 핵심 모듈인 명사 추출기(색인기)의 성능에도 용언구의 분석은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구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견고하면서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어미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Honorific Correction Program Using Case Frame Dictionary (격틀사전을 활용한 존댓말 교정 프로그램)

  • Jang, Yunjeong;Lim, Lina;Lee,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954-957
    • /
    • 2019
  •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는 현재 여러 곳에서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검사할 뿐, 존댓말과 같은 높임표현이 잘못 사용되었는지는 검사할 수 없다. 최근에는 맞춤법 검사를 위해 통계적 방식과 딥러닝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규칙 기반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잘못된 높임표현을 탐지하여 그에 대한 오류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표현으로 교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문 분석기를 사용하여 주어-서술어 구조를 파악하고,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높임표현을 탐지한 후 격틀사전의 정보를 이용하여 존댓말 오류를 탐지한다. 본 연구는 격식이 있는 문서를 검사할 때나, 한국어 높임말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semantic ambiguity in the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한국어 개체명 인식 과제에서의 의미 모호성 연구)

  • Kim, Seonghyun;Song, Youngsook;Song, Chisung;Han, Jiy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03-20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맥락에 따라 개체명의 범주가 달라지는 어휘를 중심으로 교차 태깅된 개체명의 성능을 레이블과 스팬 정답률, 문장 성분과 문장 위치에 따른 정답률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레이블의 정확도는 KoGPT2, mBERT, KLUE-RoBERTa 순으로 정답률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스팬 정답률에서는 mBERT가 KLUE-RoBERTa보다 근소하게 성능이 높았고 KoGPT2는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다만, KoGPT2는 개체명이 문장의 끝에 위치할 때는 다른 모델과 비슷한 정도로 성능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문장 종결 위치에서 인식기의 성능이 좋은 것은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의 문장 성분이 서술어일 때 명사의 중첩이 적고 구문이 패턴화되어 있다는 특징과 KoGPT2가 decoder기반의 모델이기 때문으로 여겨지나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xtracting multiple sentiment expression areas using BERT+CRF (BERT+CRF를 이용한 다중 감성 표현 영역 추출)

  • Park, Ji-Eun;Lee, Ju-Sa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71-575
    • /
    • 2021
  • 감성분석이란 텍스트에 들어있는 의견이나 감성, 평가, 태도 등의 주관적인 정보를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감성분석 실험 중 감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파악하여 서술어 중심의 구 혹은 절 단위로 감성 표현 영역을 추출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BERT에 classification layer와 CRF layer를 결합한 것이고 baseline은 일반 BERT 모델이다. 실험 결과는 기존의 baseline 모델의 f1-score이 33.44%이고 제안한 BERT+CRF 모델의 f1-score이 40.99%이다. BERT+CRF 모델이 7.55%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 PDF

Relativpronomen im Deutschen und deren Entsprechung im Koreanischen - Aus der sprachtypologischen Perspektive - (언어 유형학적 견지에서 본 독일어 관계 대명사와 한국어의 대응구조)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5
    • /
    • pp.53-65
    • /
    • 2002
  • 독일어의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반복과 그에 결부된 일치 규정을 철저하게 따름으로써 가능한 한, 언어의 모호성을 배제하려 한다. 이에 반해 한국어에서는 그런 것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독일어의 관계대명사에 해당하는 부가어 문장이 항상 그의 관계어/선행사 앞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양측의 (모국어)화자는 심각한 언어간섭 현상에 빠지기 마련이다 그들의 차이가 서로에게 너무 큰 까닭이다. 이러한 대립적인 어려운 문제들은, 일면에서는 전치성과 후치성이란 언어 특성을 익히고, 다른 일면에서는 한국인이 번역에서 독일어의 관계대명사에 결부된 구조를 완전히 생략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독일어나 한국어처럼 상호 대립적으로 발달한 언어를 정복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문장 자체를 한 단어처럼 익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서술을 위한 표현능력을 신장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이에 따른 문법을 따로 배워야 한다는 생각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언어습득장치는 모든 것을 언제나 문법적/체계적/분석적으로 수용하기 때문이다.

  • PDF

엔진 ECU 개발과 타 제어장치와의 통합

  • 이귀영;오희근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10
    • /
    • pp.830-836
    • /
    • 1992
  • 엔진ECU의 개발현황과 타 제어장치와의 통합 문제 특히 트랙션 제어와의 통합 문제를 개괄적 으로 서술하였다. 현대의 자동차에 있어서 전자 제어장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등장한 지 오래고 그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국내에서의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개발이 최근에 와서야 그 중요성의 인식이 제고되고 있어 후발 주자로서의 시기적, 기술적 어 려움이 예상된다. 이러한 가운데 더욱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업계와 학계 간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필요하며 선진국과의 격차를 빠른 시일내에 줄여 나가기 위해서는 업계 간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 PDF

The Extraction of Head words in Definition for Construction of a Semi-automatic Lexical-semantic Network of Verbs (동사 어휘의미망의 반자동 구축을 위한 사전정의문의 중심어 추출)

  • Kim Hae-Gyung;Yoon Ae-Sun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10 no.1
    • /
    • pp.47-69
    • /
    • 2006
  •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of interests concerning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a Korean thesaurus. In this paper, a semi-automatic method for generating a lexical-semantic network of Korean '-ha' verbs is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lexical definitions of these verbs. Initially, through the use of several tools that can filter out and coordinate lexical data, pairs constituting a word and a definition were prepared for treatment in a subsequent step. While inspecting the various definitions of each verb, we extracted and coordinated the head words from the sentences that constitute the definition of each word. These words are thought to be the main conceptual words that represent the sense of the current verb. Using these head words and 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reation of a thesaurus could be achieved without any difficulty in a semi-automatic fashion.

  • PDF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science writing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 Park, Kilsoon;Kang, Eugene;Kim, Jina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344-355
    • /
    • 2014
  • The 2009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science writing as a way to foster scientific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aspect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by analyzing seven vers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science writing pages is small and the amount of science writing differs a lot depending on the kind of textbook. Also, science writing is generally located in the wrap-up part of each unit, and the amount and the number of science writing vary substantially from unit to unit depending on the textbook. Second,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knowledge-explanation' statements have the largest proportion and 'STS-assertion' statements have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in terms of topics and style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Some 'scientific knowledge-explanation' statements are not appropriate to foster scientific ability because they evaluate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suggested passage as nonliterary writing, not the writing itself as a method to learn sc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redicates that do not indicate a clear purpose of the science writing contained in science textbooks.

  • PDF

Concern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Integrated Science'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과학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교육과정 적용에의 고민과 어려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을 중심으로-)

  • Bongwoo Lee;Jaeyong Park;Jeongwoo Son;Ki-Young Lee;Wonho Choi;Kew-Cheol Sh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4 no.2
    • /
    • pp.219-229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rn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by autho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ir experiences with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 collected 89 opinions from textbook authors and categorized them into several key areas: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and descriptors provided in the curriculum,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inquiries and activities, and the depth and scope of learning cont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difficulty encountered by the textbook authors was in defining the level and scope of learning content. Many also expressed concern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ambiguity of terms and predicate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 difficulties were identified in concerning the repetitive descrip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rrang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flow of learning. Regarding inquiries and activities, there were experiments presented that were difficult to experience or actually implement, along with limitations in activity composition due to the need to optimize learning volume. Given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textbooks for effective science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it is crucial to establish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and textbook authors. Additionally, a robust support system for textbook development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