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 혁신 차원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5초

서비스 혁신 수준진단 도구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novation Level Diagnosis Framework)

  • 신성현;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4권1호
    • /
    • pp.37-47
    • /
    • 2014
  • 최근 20여 년 동안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서비스 혁신에 대한 연구접근은 아직까지도 제조업의 제품 품질 개선이라는 전통적 관점을 탈피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20여 년 동안 수행된 서비스 혁신에 대한 분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각각의 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한 후 서비스 혁신에 있어 시계열 성이 고려되고 전 조직 차원과 구성원 차원 그리고 고객차원에 이르는 서비스 혁신 단계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된 8단계의 서비스 혁신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의 초안을 사례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서비스 혁신을 추구하는 조직에게 현재수준에 대한 진단을 통해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참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서비스 연구자에게는 서비스 혁신의 올바른 대상과 추진방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서비스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을 활용한 서비스 혁신 패턴 연구 (Investigating Service Innovation Patterns: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유현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54
    • /
    • 2017
  • 서비스와 기술 간 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서비스 혁신 활동을 간명하게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직관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패턴분류체계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의 상호연관 되고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서비스 혁신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4개의 서비스 혁신 차원(i.e.,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 그리고 기술)과 서비스 혁신 환경(기업 규모) 등 5개의 원인 변수들을 도출하고 기업 성과(매출성장률)를 결과 변수로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국내의 198개의 지식 서비스 기업들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높은 기업 성과를 보이는 4개의 서비스 혁신 패턴과 낮은 기업 성과를 보이는 4개의 서비스 혁신 패턴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 상호작용 혁신은 높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조건이나, 단독으로 수행되기보다 기술 혁신이나 서비스 전달 혁신 활동과 상호작용을 하였을 경우 높은 기업성과를 보였다. 기술 혁신은 비기술 혁신(i.e.,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과 결합하였을 경우 높은 기업성과를 가져오는 서비스 혁신의 핵심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경우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비기술 혁신 활동이 핵심 조건으로 수행되어야만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혁신은 서비스 혁신에서 단독으로 수행될 경우 오히려 낮은 기업성과를 가져왔다. 서비스 창출 혁신과 서비스 전달 혁신은 기술 혁신과 모두 핵심 조건으로 결합되어 수행되었을 때 높은 기업성과를 보였다.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서비스 지배적 논리와 자원 우위 이론을 중심으로 (Identifying Antecedents of Service Innovation: Based on Service-Dominant Logic and Resource-Advantage Theory)

  • 유현선;한진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79-106
    • /
    • 2016
  • 지난 30년간 서비스 혁신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관점의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지만, 아직까지 학계에서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서비스 혁신에 대한 관점 및 측정방법은 부재한 실정이다. 많은 서비스 혁신 연구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기술 개발 및 제품 혁신 이론에 기반을 두고 서비스 혁신을 이해하려 했다. 기존의 제품 중심의 분석방법론은 서비스 혁신의 비기술적 특성을 간과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접근법으로 서비스 지배적 논리가 있다. 서비스 지배적 논리는 새로운 관점에서 혁신과 혁신의 선행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이다. 또한 서비스 혁신이 기업 경쟁력과 기업성과를 향상 시킨다는 인식은 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혁신에 대한 이론 및 활용에 대한 연구와 이해 부족으로 인해 소수의 기업만이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비스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지배적 논리관점에서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다: 1) 서비스 혁신 선행요인은 서비스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2) 서비스 혁신은 기업의 비재무적 그리고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혁신의 선행요인(인적자원 관리 역량, 내부 협업 역량, 마케팅 역량, 정보기술 역량), 서비스 혁신 차원(서비스 창출 혁신, 서비스 전달 혁신, 고객 상호작용 혁신)과 기업성과(비재무적, 재무적)를 가지고 이들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189개의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인적자원 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은 모든 서비스 혁신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부 협업 역량과 정보기술 역량은 서비스 창출 혁신과 서비스 전달 혁신에만 제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상호작용 혁신에는 인력자원 관리 역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서비스 혁신 활동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재무적 성과에는 서비스 전달 혁신과 고객 상호작용 혁신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산업에서의 과학기술의 역할과 새로운 서비스 혁신 모델의 모색: 월마트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ervice Industries and Searching for a New Service Innovation Model: Based on the Cases of Wal-Mart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 정선양;조형례;박성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71-493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서비스 산업이 국내 GDP의 60%이상을 점유하는 만큼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은 주요 선진국들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생산성의 격차는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 지식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더욱 커진다. 띠라서 국가 경쟁력 제고 차원의 국내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 최근 서비스 산업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혁신 모델들이 연구되고 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기존의 제조업 분야와 마찬가지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모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산업에서의 과학기술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혁신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기술경영의 관점에서 '전략적 서비스 혁신경영'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을 도입하여 기업의 성과를 크게 끌어올린 월마트 사례와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복합 산업적 공간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전략적 서비스 혁신경영의 모델을 기반으로 두 사례를 분석한 결과 두 기업은 모두 전략적 서비스 혁신경영의 모델의 요소인 전략적 의도, 기술혁신, 조직혁신을 포함하는 통합적 관점의 혁신전략을 가지고 조직의 성과를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과학기술의 혁신을 바탕으로 조직혁신을 전사적인 차원 추진하여 높은 혁신성과를 창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ibrarians'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ervice Quality in Public Libraries)

  • 송현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417-439
    • /
    • 202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조직 성과인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 공공도서관 7곳의 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 데이터 77건, 이용자 데이터 309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사서를 대상으로 혁신행동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행동의 완성 단계인 아이디어 구현은 정보통제 차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혁신행동의 첫 단계인 아이디어 생성은 서비스의 영향력과 정보통제 차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디어 생성에 머무르고 아이디어 홍보와 구현 등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 상황은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 혁신행동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기술이 서비스 혁신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지식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echnology on Service Innov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Korean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Service Firms)

  • 유현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67
    • /
    • 2016
  • 서비스와 기술 간 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서비스 분야에서 기술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많은 연구에서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이 무엇이고 어떻게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진행 중에 있다. 기존 문헌에서는 서비스 혁신 성공과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 대해 다양한 역할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명확한 역할에 대해 이론적으로 실증적으로 명확하게 규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기업이 기술을 활용을 통해 성공적으로 서비스 혁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서비스 혁신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며,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 성과 간의 인과 관계를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서비스 혁신에서 기술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한다: 2)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를 통해 4개의 서비스 혁신 지향성(예, 서비스 창출, 서비스 전달, 고객 상호작용, 그리고 기술)을 도출하고, 국내의 193개의 지식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서비스 혁신 그리고 기업 성과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술 지향성은 서비스 창출 지향성과 서비스 전달 지향성에는 선행자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객 상호작용 지향성에는 촉진자로서 상호작용하여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지향성에 선행적으로 그리고 조절적으로 영향을 받은 모든 서비스 혁신 활동은 기업 성과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혁신디자인의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f Service Innovation Design)

  • 이성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256
    • /
    • 2009
  •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 중심의 대량생산 전략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수익구조의 시대는 지나고 새로운 산업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통한 사회적 문제들의 해결안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요구된다. 이에 미래의 대체 핵심 산업으로서 서비스산업을 국가적 차원에서 발전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서비스의 정의 및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에 있어 여러 가지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가별 서비스의 이해와 연구 방향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국가별 환경과 인프라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에 있어 서비스혁신디자인 학문분야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령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의 나라는 제조 산업 기반의 생산성 지향적 서비스(Productivity in Service)를 서비스 산업에 적용하고,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는 생태보존의 방법에 있어 서비스분야를 접목하는데 있는데 Product Service System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서비스 개념의 접근 방법을 지역혁신서비스 (Regional Revitaliz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서비스의 의미와 연구 분야 별 접근방법 등을 여러 가지 사례로 설명하려 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관련분야의 학문적 기초를 다지는데 기여를 할 것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제거를 위한 중소기업 직원의 포기옵션 선택에 관한 조직 차원의 조절 변수 연구 (Organizational-Level Moderators on the SME Employees' Adoption of Abandonment Option to Manage the Cloud Computing Service Risks)

  • 강소라;남승현;양희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5-1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콜라우드 서비스의 높은 실패율에 대하여, 어떠한 위험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실물 옵션, 특히 포기 옵션의 채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의 종류에 대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개인 차원에서 인식하는 위험의 정도가 포기 옵션의 채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더하여, 조직 차원의 변수 (CEO의 혁신성, 밴드웨건 효과)가 개인 차원의 효과들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한다.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IT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포기 옵션의 채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며, CEO의 혁신성이 기술적 위험의 효과를 억제하는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밴드웨건 효과는 개인 차원의 영향을 억제하는 조절 효과는 실증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산학연 협력이 서비스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linkages on Service Sector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 최석준;서영웅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9-710
    • /
    • 2011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서비스산업 분야에서 기업과 대학/공공연구기관과의 연계 내지 협력이 기업의 혁신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2006년 기술혁신 서비스분야 자료를 기초로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활용, 산학연 연계 기업들과 비연계기업간 성과를 비교한 결과 최종제품/서비스 혁신건수 및 특허출원 등 일부 성과변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다른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서비스산업에 대해서도 산학연 협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PI(Process Innovation)와 Six sigma연계 전략

  • 김영곤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4년도 품질경영모델을 통한 가치 창출
    • /
    • pp.160-165
    • /
    • 2004
  • 최근 각 기업에는 6시그마, PI등 여러 가지 혁신 활동이 차별화 되지 않고 도입되는 경향이 있으며, 기업 내부에서도 바람직한 혁신활동 연계방안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실 정 임. 따라서 이러한 혁신활동을 잘 이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이것들을 연계한 경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6시그마와 PI의 특징을 살펴보면,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프로세스의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PI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즉, 새로운 작업전략(Work Strategy)의 비전설정과 실질적인 프로세스 디자인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기술적 차원, 인간적 차원, 조직적 차원등 다차원적 변화의 추진과 실행을 의미한다. 반면에 6시그마는 고객의 요구(Customer Requirement)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의 모든 활동을 Top Down시각에서 합리적인 전사 표준을 통해 측정, 평가 후 도출되는 문제점 및 개선 사항에 대해 개선 프로세스에 따라 TFT(Task Force Team)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총체적 고객만족을 구현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이러한 경영혁신 활동은 구성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며, 이에 대한 권한 위임과 더불어 지속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제품 및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부문에 걸쳐 영역 제한 없이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6시그마는 결코 PI를 대체할 수 없으며 상호 보완적 관계로 연계시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