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플랫폼

Search Result 3,2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loud-based Rich Media Emergency Alert Service Analysis for Cable & IPTV Broadcasting Platform (유료방송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리치미디어 재난경보서비스 분석)

  • Ra, Sang-Jung;Goo, Jae-Hyung;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09-21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 방송망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는 공통경보프로토콜(CAP) 메시지 기반의 리치미디어 재난경보 서비스를 케이블 방송이나 IPTV 등 유료방송 플랫폼으로 확대적용한 시스템의 현장실험 결과를 분석한다. 우선 현재 서비스중인 지상파 UHD 방송망 기반 리치미디어 재난경보 서비스를 유료방송 플랫폼으로 확대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를 설명하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의 기능 및 동작을 서술한다. 이를 적용하여 구현된 시스템에 대해 실환경 지상파 UHD 방송망 및 유료방송 플랫폼에서 현장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재 서비스 중인 지상파 UHD 방송망 기반 재난경보 방송 서비스를 다양한 형태의 방송 플랫폼으로 확대 적용하고, 정보 취약계층 등으로의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oT 상호운용성 및 서비스 개발

  • Go, Yeong-Jun;Kim, Yong-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5
    • /
    • pp.31-35
    • /
    • 2015
  • IoT 서비스 사업자, IoT 기기 공급업체 또는 산업분야별로 구축한 IoT 서비스가 파편화돼 가는 상황에서 IoT 플랫폼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관련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서비스 플랫폼간의 상호운용성 및 IoT 디바이스간의 상호운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간 연동(Interworking) 기술 및 개방형 표준 플랫폼 기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사용 편의를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기술 구현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다정보통신이 개발한 oneM2M 국제표준 기반의 지능형 IoT 플랫폼인 OMNIPASS와 다양한 IoT 플랫폼 간의 상호연동성을 지원하는 IoT Gateway장치로서 Smart Brain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IoT 서비스의 발굴과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의 확산을 도모하고자 한다.

Extensible software platform based on OSGi (OSGi 기반의 확장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 Ju, Hyun-Tae;Kim, Jung-Guk;Kim, Hyun-Joo;Seo,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504-508
    • /
    • 2008
  • 기존의 비호환성 서비스 플랫폼을 대체할 수 있는 OSGi 기반의 확장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OSGi Alliance에서 제정한 서비스 플랫폼 명세(Service platform specification)를 기반으로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는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에 관하여 논한다. 이는 플러그인 방식의 쉬운 확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의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서비스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PDF

지능형 자동차 서비스를 위한 차량 SW 플랫폼

  • Jeon, Bu-Seon;Lee, Jeong-Hwan;Han, Tae-M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9
    • /
    • pp.30-37
    • /
    • 2012
  • 과거 단순한 이동수단이었던 자동차는 다양한 안전과 편의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다양한 활동이 수행되는 생활의 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선택하는데 있어 소비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 IT 기술의 접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자동차 IT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편의성, 안전성, 편리성을 위해서 차량 내에 많은 ECU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부품에 소프트웨어가 탑재됨에 따라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듈에 대하여 재사용성, 부품 호환성 등의 요구가 생겨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차량 SW 플랫폼 표준화를 통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동차 서비스 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차량 전장용 SW 플랫폼인 AUTOSAR 플랫폼과 차량 내 헤드유닛을 통해 멀티미디어 및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 표준 플랫폼인 GENIVI 플랫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S-100 기반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 Jang, In-Seong;Lee, Chung-Ho;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39-241
    • /
    • 2014
  • 최근 S-100 표준을 기반으로 웹 상에서 표준화된 전자해도 및 항행정보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S-101의 전자해도, S-102의 해저지형 등과 같은 데이터 표준들은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 제시되고 있으나, 선박과 선박, 선박과 항만, 또는 선박/항만과 대국민 사이에 항행정보의 웹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표준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O 19100과 OGC의 공간정보 표준을 참고하여 개발되고 있는 S-100 표준의 상황을 고려하여 S-101의 전자해도 표준과 공간정보의 WMS, WMTS 등의 웹 서비스 표준을 수용하는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전자해도, 공간정보, 날씨, AIS 정보 등의 융합 서비스가 가능하며, WebApp 서비스 또는 앱 지원을 통하여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손쉽게 항행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Which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Payment Options are Favored by Korean Online Seller?: Focusing on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Payment Options' Characteristics (온라인 쇼핑 플랫폼 및 간편결제서비스 선택 시 판매자가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 Lee, Hyerin;Bae, Hyunjin;Lee, Sang 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5
    • /
    • pp.443-4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sellers' preference of online shopping platform and simple payment service among the Korean domestic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analyze which factors they consider depending upon their preferred platform and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putation, ease of payment, and ease to navigate of online shopping platform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choosing the online shopping platform. Also, the usability, ease of payment and service fee of simple payment service are influencing factors to select simple payment service for sellers. Meanwhile,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degree of reputation, ease to navigate, service fee, and ease of payment differs on each selected online shopping platform. Also, the degree of usability and security in simple payment service is different between each chosen simple payment services.

Evaluation of the Cluster-based stage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클러스터 기반의 단계화된 응용서비스 플랫폼의 평가)

  • Kim Tae boon;Park Se m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3B
    • /
    • pp.105-113
    • /
    • 2005
  • In this pape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application service,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stage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which is based on the sharing of the PVM cluster.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provides three managers for dividing the request processing steps into two stages, such as a request processing stage and a service providing stage. Three managers and its relation to the divided stages are as follows, service manager and load manager to distribute the request in front-end server for a request processing stage, job manager in clustered(back-end) servers for a service providing stage.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stage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provides more stable and scalable characteristics and better performance improvement on the dynamic load changes than the single server system. And also it shows that real application service system can be implemented easily without modification of the proposed service platform.

A Hybrid Mobile Broadcasting Platform Based on HTML5 (HTML5 기반 융합 모바일방송 플랫폼)

  • Kim, Hyun-Soon;Kim, Sang-Hun;Kyung, Il-Soo;Chung, Shi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70-73
    • /
    • 2011
  • 2005년 12월 1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방송이 실시된 이후 다양한 형태의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가 시도되었다. 그러나 DMB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사 등 시장 참여자들의 수익 창출의 어려움, 속도 및 요금 측면에서의 양방향 망의 한계, 방송사, 통신사의 시스템 및 망에 종속적이며 폐쇄적인 콘텐츠 제작 및 제공 방식 등으로 인하여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공으로 방송, 통신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어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시도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상파 DMB가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중심 매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융합 서비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인 'HTML5 기반 융합 모바일방송 플랫폼'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 예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누구나 콘텐츠 제공에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망, 단말, 서비스 모델이 융합되며, 표준화되고 개방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이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방송 콘텐츠 및 이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리치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전달, 소비에 이르는 생태계 전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KBS(Korean Broadcasting System)는 서비스 시스템, 수신 프로그램 개발, 시험 서비스 구현 등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WiBro/LTE 기반의 M2M 단말 표준 플랫폼

  • Kim, Gyeong-Su;Jeong, Jong-Il;Kim, Yong-Jin;Heo, Seong-Pi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2
    • /
    • pp.18-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M2M(Machine-to-Machine) 서비스의 확산과 산업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M2M 단말에 대한 표준 플랫폼 기술과 연구개발 결과를 소개한다. 먼저 본 연구개발의 추진 배경 및 연구 내용과 M2M 단말 플랫폼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M2M 기술 표준화 현황을 소개한다. M2M 서비스 계층과 M2M 통신모듈과 관련된 주요 표준화 기구의 작업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M2M 단말 표준 플랫폼 개발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를 설명한다. 이어서 국내외 표준화 추진 결과와 함께 연구개발의 결과로서 국내외 M2M 표준을 적용하여 개발된 M2M 통신모듈, 단말 관점에서 M2M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미들웨어 플랫폼 SDK(Software Development Kit), M2M 단말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RDK(Reference Design Kit)의 세부내용을 소개한다. 또한, 개방되고 표준화 된 M2M 서비스를 위해 M2M 단말과 연동되는 M2M 서비스 플랫폼의 구조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며 이들이 실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지를 검증하기 위해 구현된 M2M 서비스 사례에 대해서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개발 결과물의 활용방안과 여러 단말 개발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M2M 테스트베드 구축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M2M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dget-based Workspace in YouFree (YouFree에서의 위젯 기반 워크스페이스 설계 및 구현)

  • Yang, Kyung-Ah;Kim, Ki-Heon;Chung, Moon-Young;Ku, Kyoung-I;Choi, Won-Hyuk;Kim, Won-Young;Yang,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93-294
    • /
    • 2009
  • 최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젯(widget)이 각광받고 있다. 사용자들에게 쉽고 편리한 자신들만의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YouFree의 개인화된 정보접근 및 처리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위젯 서비스를 적용한다면 사용자는 개인의 작업환경에 맞추어 보다 유연하게 YouFree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YouFree 사용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YouFree를 위한 위젯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