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 프로그램

검색결과 3,222건 처리시간 0.044초

멀티 뷰 영상을 활용한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서비스 (A Data Service of Digital Broadcasting for Program-Guiding using Multi-View Video)

  • 고광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1-77
    • /
    • 2015
  • 근래 디지털방송은 백 수십 개의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多)채널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환경 하에서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탐색 작업이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가장 일반적인 방송프로그램 탐색 방식인 영상을 직접 보면서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방법은 수많은 채널들 사이를 0.7초가량 소요되는 채널 변경 작업을 반복해야하는 시간 소비적 작업이 되었다. 본 논문은 방송프로그램들의 멀티 뷰 영상을 활용하여 채널 변경 작업 없이 시청자가 프로그램 영상을 보며 채널을 선택하는 국제 데이터서비스 표준인 MHP기반의 프로그램가이드를 제안하였다. 본 데이터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 방송프로그램 영상들로 구성된 멀티 뷰 영상과 관련 부가정보의 구성 및 송출 방법을 고안하고 방송수신기에 장착된 비디오 디코딩 칩셋의 고속편집 기능을 활용하는 자바 API를 정의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 조은경;성미현;이윤신;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90-200
    • /
    • 201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노인 낙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 낙상예방 자기효능감에 대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 D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실험군, 대조군 각 20명씩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비교육 프로그램은 타당도 검증을 거쳐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F=189.03, p<.001), 태도(F=761.74, p=.003), 낙상예방 자기효능감(F=188.50, p=.002)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노인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낙상예방 자기효능감을 향상한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임상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VPL 활용을 위한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서비스 컴포넌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lligence Robot Simulation Service Component for Utilizing VPL)

  • 홍성용;최호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3-415
    • /
    • 2009
  • 최근 지능형 로봇의 필요성과 활용성이 증가하면서 로봇의 형태와 사용 방법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로봇의 발전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로봇의 지능과 기능을 모듈화 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연구되지 못하였다. 지능로봇 서비스는 로봇의 형태와 사용 방법에 따라 서비스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 개발이 가능하여 쉽고 빠르게 로봇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서 사용자(End User)의 설계 및 개발 시간 단축과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PL 활용을 위한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서비스 컴포넌트 개발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제안한다. VPL은 인간친화적인 GUI환경으로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RDS 프로그램 방법이며,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통해 다양한 환경 그리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로봇의 실험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C# 언어를 사용하여 지능로봇 서비스 컴포넌트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 실제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따라서 향후 많은 로봇 서비스 컴포넌트의 응용 개발과 로봇 산업, 교육 분야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Video-on-Demand 서비스망의 자원 할당 문제를 위한 동적계획법 (A Dynamic Programming for Solving Resource Allocation Problems in Video-on-Demand Service Networks)

  • 조명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3182-3194
    • /
    • 2000
  • B-ISDN(Broadband-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출현으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서비스는 차세대 유망한 영상 정보 서비스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대화성의 정도에 따라 크게 IVOD(Interactive VOD)와 NVOD(Near VOD) 서비스로 분류된다. 다계층 구조 서비스망에서 VOD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자원이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서버, 프로그램, 그리고 저장창고로 두고, 프로그램 전송 비용, 프로그램 저장 비용, 그리고 비디오 서버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는 자원 최적화 문제를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그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VOD를 IVOD로만 서비스 하는 경우 서비스 운용 비용을 최소화하는 비디오 서버의 위치 선정과 설치된 비디오 서버에 저장할 프로그램 종류와 그 양을 결정하는 문제로,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였다. 둘째는 VOD서비스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VOD를 IVOD와 NVOD의 혼합 서비스로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운용 비용을 최소화 하는 NVOD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양 그리고 그 때의 IVOD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서버의 위치 선정 및 설치된 비디오 서버에 저장 시킬 프로그램 종류와 그 양을 결정하는 문제로 동적계획법을 확정하여 제시하였다.

  • PDF

CAMUS 상황인식 미들웨어를 이용한 지능형 TV 추천 서비스 에이전트 (Intelligent TV Recommendation Service Agent Using CAMUS Context-Aware Middleware)

  • 문애경;김현;이성진;이수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99-304
    • /
    • 2006
  • 기존에 개발된 사용자 선호 정보를 이용한 TV 추천 시스템은 대부분 사용자의 명시적인 요구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하지만,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응하는 수동적인 서비스 보다는 상황정보(Context)를 활용하여 능동적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AMUS(Context-Aware Middleware for URC Systems) 상황인식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상황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TV 추천 서비스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CAMUS 기반 서비스 에이전트와 태스크를 구현함으로써, 상황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다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 PDF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AF기반 3D Push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Push Service System based on Stereoscopic Video AF)

  • 윤국진;정원식;허남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응용 포맷(Stereoscopic video Application Format)을 기반으로 IP환경에서 3차원 광고, 홍보 및 교육 등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3D Push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응용 포맷은 모바일 및 고정형 환경에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파일 포맷으로서 다양한 3D 디바이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국제표준(ISO/IEC 23000-11)으로 채택되었다. 제안한 시스템은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를 토대로 프로그램 저작을 위한 저작 및 저장을 위한 저작도구, 저작된 프로그램을 스케줄링하고 각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전송 관리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3D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플레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국제표준을 토대로 다양한 3D 디바이스와 호환성을 제공하며 모바일 및 고화질 3차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사이트 과금에 따라 3D 프리미엄 서비스 및 Non-tapeless기반의 원격관리 3D Push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 PDF

위치와 각도 측정 안드로이드 프로그램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Program Measuring Location and Orientation)

  • 임재걸;진창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331-332
    • /
    • 2011
  • 본 논문은 위치 측정 안드로이드 프로그램과 각도 측정 안드로이드 프로그램 구현 사례를 소개한다. 구현한 프로그램을 갤럭시 S에서 실험한 결과도 소개하고 갤럭시 S2에서 실험한 결과도 소개한다. 근래에 상황기반 서비스와 증강현실 서비스가 널리 연구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실용 시스템 개발의 첫 걸음이다.

  • PDF

방송프로그램의 구간 별 부가정보 기술 방법과 이를 활용한 데이터서비스 개발 사례 (A Method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s Time-Slots and Its Application to a Data Service)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25
    • /
    • 2015
  • 비록 디지털방송의 데이터서비스가 방송통신융합의 대표 서비스로 관련 산업계의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방송프로그램 시청 위주의 TV 시청행태와 열악한 데이터서비스 운영 환경 (방송 수신기의 저 사양, 리모컨 조작의 불편함 등)으로 시청자들로부터 대중적인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시청에 시너지를 더하는 형태로 발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데이터 서비스가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정형적으로 기술하는 방법과 이 부가정보를 디지털방송 표준에 정합된 형태로 정리,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활용 사례로 국내 모 개발사와 티커 형태의 시범적 데이터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멀티미디어 기술 기반 방송제작 체계

  • 김경수
    • 정보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0-16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도입은 방송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방송, 통신, 컴퓨터를 융합시킨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은 지금까지 독자적인 영역에서 발전하여 오던 각각의 미디어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 또는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서비스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와같은 디지털 시대의 대변혁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그 중심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른바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미디어간, 국가간의 경계영역을 초월한 글로벌 경쟁체제가 급속히 진전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의 융합 현상에 따라 제작 환경도 새로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전환되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의 특징인 고품질 및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 콘텐츠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선 제작 체계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제작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컴퓨터 기반의 제작 환경 구축에 핵심 요소인 넌리니어 편집시스템과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는 넌리니어(non-linear) 시스템의 등장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환경, 즉 네트워크에 의해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제작으로부터 송출가지 통합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제작환경, 이른바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 방송 시대의 방송 사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가 되었다.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영상, 음성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영상 이미지를 자유롭게 합성, 조작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편리한 제작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제작 분야로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은 방송의 사전제작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미 선거방송을 비롯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은 가상스튜디오와 가상캐릭터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방송사업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제작시스템을 근간으로 영상검색, 영상 합성, 스크립트 편집, 가상현실 응용 등 고도의 제작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성, 다이나믹한 표현, 실시간, 대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인터넷 금연 강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Internet Information Push-Delivery System Design of Smoking Cessation for Health Promotion)

  • 김영복;신준호;김신월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2호
    • /
    • pp.287-301
    • /
    • 2004
  • 본 연구는 전남 곡성군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흡연율을 감소시키고, 금연 희망자의 금연 의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2002년도에 개발된 곡성군 금연 클리닉의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흡연 욕구 및 금연 장애요인에 대처하고, 금연 실천을 독려할 수 있는 금연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지역 보건소가 수행의 주체가 되는 금연정보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된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에게 금연관련 정보 및 금연 기술을 제공하고, 금연에 관한 자기 통제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개발된 인터넷 금연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자발적인 행위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금연행위 유도 및 지속적인 금연 유지에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성공적인 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인별 금연실천을 돕기 위한 금연 강화 프로그램인 인터넷 금연 푸쉬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이에 관한 효과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연 푸쉬 서비스를 활용한 금연 강화시스템은 개인별 금연실천을 돕기 위해 회원 가입이 이루어진 당일부터 금연 푸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설계하였으며, 모든 금연 푸쉬 서비스는 금연도전 프로그램의 단계에 맞추어 전자메일을 활용하여 제공되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로 일정 형식에 따라 하루 1회씩 프로그램 참여 일정에 맞추어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금연 의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금연 압력 메시지 및 경고 메시지, 성공 메시지를 개발하였으며, 금연 압력 메시지는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 에서 작성된 각 단계별 개인 정보를 활용하였고, 이전 단계에서 수립된 금연전략의 재확인 및 활용수준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금연 푸쉬 서비스를 활용한 금연 강화 프로그램 및 운영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군청 공무원 및 보건의료원의 보건직 공무원 중 흡연자로서 금연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10명으로 평가단을 구성하였으며, 1개월 간 시범 운영을 수행하였다. 넷째, 금연 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 및 접근형식을 평가한 결과, 참여자의 기록 분량, 내용의 난이도. 시각적 효과의 불충분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참여자 중심의 기록방식을 클릭중심의 기록방식으로 전환, 참여자의 이해수준의 고려한 내용수정, 그래픽 요인의 추가 및 시각적 효과의 보완, 추구관리를 모듈 개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금연 강화 프로그램의 운영 시스템에 관하여 평가한 결과, 금연 압력 메시지를 제공하는 금연 푸쉬 서비스와 홈페이지와의 연계성 및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홈페이지와의 링크 작업 개선 및 금연 개인관리 프로그램과의 링크 작업 새선, 휴대폰의 문자서비스(SMS) 기능 활용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여섯째, 금연 강화 프로그램의 향후 단계별 개선방안을 프로그램의 일부 코드의 수정으로 가능한 즉시 개선방안과 프로그램 흐름의 일부 수정, 가감해야 하는 단기 개선방안, 프로그램 흐름의 대폭 수정 및 추가 모듈 개발이 필요한 중장기 개선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금연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금연자 추후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지역 주민의 금연 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지역 보건소 실무 담당자의 지속적인 교육 훈련 및 금연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 표준화된 금연사업 관리 지침서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