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디스커버리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5 seconds

Comparative Study of Discovery Services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비교 분석)

  • Kwak, Seung-Jin;Shin, Jae-Min;Kim, B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7 no.4
    • /
    • pp.5-20
    • /
    • 2016
  • Discovery service has as its object to cope with the user to take advantage of the collection of the library as possible to index and search, one step further, the interface by more efficiently to the user's information needs. Discovery service has features such as providing a ranking and navigation services to subdivide the search results by facet results along the suitability and visually rich display, suggestions, recommendations associated resources. In this study introduces the status of discovery services such as discovery service products, usage status, and feature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use agencies, content status, main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three discovery services used in Korea library.

Implementation of Service Discovery Middleware for Heterogeneous Agent Platforms (이종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 Oh, Se-Jung;Paik, Ju-Ryun;Ko, Hyuk-Jin;Shin, Dong-Ryeol;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5-88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분산되어 존재하는 서비스나 디바이스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종류나 서비스의 위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사전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정확히 탐색해서 찾아주는 일련의 과정을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라 칭하며, 유비쿼터스 같은 분산 이동 환경에서 가장 먼저 구축되어야만 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발달된 에이전트 기술을 서비스 디스커버리와 접목시켜 분산되어 있는 서비스와 디바이스 그리고 사용자까지 효율적이고 유용성 있게 관리하는 추세이다. 각국의 기업이나 학교에서 수 많은 에이전트 플랫폼이 개발되어 왔지만, 각기 다른 개발 기준의 적용으로 인하여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Interoperability)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FIPA 에서는 이종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제공 서비스 상호운용을 위해서 디스커버리 미들웨어(Discovery Middleware) 모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FIPA-OS 와 JADE 그리고 SLP 플랫폼 들이 서로의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FIPA 에서 제안한 디스커버리 미들웨어를 실질적으로 개발하여 상호간의 서비스 디스커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ervice Discovery Technology for Large-scale Distributed Environment (대규모 분산 환경을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술)

  • Kim, Eujin;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59-161
    • /
    • 2015
  •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대부분의 분산시스템 및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핵심 구성요소다. 실시간 시스템 기반에서 서비스 위치는 자주 변경될 수 있는데, 이 때 서비스 중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동적인 서비스 등록과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오픈 소스 솔루션들을 소개한다. 각 솔루션들은 레지스트리 타입에 따라 크게 범용 레지스트리와 단일 목적용 레지스트리로 나눌 수 있다. 각 솔루션들의 기능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Efficient Service Discovery Scheme based on Clustering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클러스터링 기반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

  • Kang, Eun-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2
    • /
    • pp.123-128
    • /
    • 2009
  •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service discovery to search for an available service is an important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scheme that is combined a node id-based clustering service discovery scheme and a P2P caching-based information spreading scheme. To search quickly a service, proposed scheme store key information in neighbor's local cache and search services using it's information. We do not use a central look up server and do not rely on flooding.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performance of response time and network load compared to other methods.

  • PDF

Physical Effect Based Service Discovery (물리 효과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

  • Yong-Jin Shin;Do-Hyun Kim;Young-Hee Lee;Woo-Ji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970-973
    • /
    • 2008
  • 본 논문은 대체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효과 기반 명세 모델과 매칭 방식을 제안한다. 효과기반이라 함은 시맨틱 웹의 IOPE 모델에서 효과(effect)를 재 정의 하여 서비스 및 디바이스를 명세하는데 사용한다는 말이다. 여기서 효과는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오감을 사용하며, 오감의 인지는 센서를 통하여 한다. 오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탐색 함으로써, 우리는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매칭은 서비스를 세 가지의 타입으로 나눈 후 각 타입에 해당하는 항목별로 유사도를 계산하고 각 항목들의 합으로 최종 유사도를 도출해 낸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효과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기존의 시맨틱 서비스 디스커버리보다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Protocol for Directory Facilitator Based on CALM Agent (CLAM 에이전트 기반 Directory Facilitator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구현)

  • Lee, Seung-Hyun;Shin, Dong-Ryeol;Jang, Kyung-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6
    • /
    • pp.275-282
    • /
    • 2011
  • Current service discovery protocols such as UPnP, Jini, SLP provide the basic function which is message exchange pattern, service representation and description, in service discovery. They does not guarantee service interoperability among service discove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CLAM (Component-based Autonomic Layered Middleware) agent platform to enable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through extension of DF agent function in FIPA-compliant specification. Also, we propose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mechanism using DHT-Chord algorithm to guarantee scal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DF agent.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for Mobile Ad Hoc Networks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 Kang, Eu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9B
    • /
    • pp.947-954
    • /
    • 2009
  • In mobile ad hoc networks, service discovery to search for an available service is an important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protocol that is combined a dht-based service discovery scheme and a P2P caching-based information spreading scheme. Proposed scheme store key information in hashed zone and search services using it's information. To search quickly a service, it use its physical neighbors information which collected by 1-hop hello message between a node and its physical neighbors. We do not use a central look up server and do not rely on flooding. Hence, it uniquely balanced all node's load in mobile ad hoc networks and reduced the number of messages exchanged, network load and response ti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tocol outperforms DHT-based and flooding protocols.

Service Discovery Using FIPA-Compliant Agent Platform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FIPA 기반 에이전트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 Kim, Hyung-Jun;Lee, Kyu-Min;Choi, Kee-Hyun;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581-584
    • /
    • 2005
  • 에이전트 시스템(agent system) 관련 기술은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에서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런 에이전트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를 진행해 나가고 있는 단체인 FIPA(Foundation for Intelligent Physical Agents)는 1996년 에 형성되었고, 이질적인 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인정된 명세서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FIPA 표준안은 모바일 ad-hoc네트워크와 같은 환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에이전트는 이질적인 네트워크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FIPA 표준을 참고하여 만든 FIPA-OS(Foundation for Intelligent Physical Agents Open Source) 를 수정한 에이전트 플랫폼을 제공한다. 우리는 이러한 에이전트 플랫폼을 이용하여 이질적인 환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상호운용성과 에이전트 플랫폼 안에 DM(Discovery Middleware)을 추가하여 확장성을 보장한다. DM은 에이전트가 ad-hoc 네트워크 안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들을 사용하여 서비스들을 찾고 생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우리는 다양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 중 UPnP (Universal Plug and Play)와 LSD (Lightweight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하여 DM을 구현하였다. UPnP는 UPnP 포럼에서 개발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LSD는 우리가 만든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로 캐쉬 관리를 강조하여 개발하였다. 우리가 제안하는 DM을 이용하여 수정된 에이전트 플랫폼에서 UPnP와 LSD의 장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상호간 이용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n Agent Platform for Service Discovery in PC Grid Computing (PC 그리드 컴퓨팅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에이전트 플랫폼에 관한 연구)

  • Kwak, Jun-Won;Paik, Ju-Ryon;Ko, Huk-Jin;Shin, Dong-Ryul;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96
    • /
    • 2005
  • PC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환경이란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최대한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컴퓨팅 파워, 데이터 저장 장치, 첨단 실험 장비 등 가용한 모든 자원들, 나아가 인력 자원들까지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기술이다. 각 클라이언트는 공동으로 작업하는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를 중심이 되는 서버에 전송한다. 중심 서버에서는 각 클라이언트들의 개별적인 처리 결과를 종합하여 단일 결과를 도출한다. PC 그리드 컴퓨팅 환경하에서 분산된 모든 서비스나 장치들이 상호작용 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가 제공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한 자신이 원하는 자원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정확히 알아야만 한다. 이런 일련의 작업들을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라 한다. 이기종 에이전트 플랫폼 간에 자원의 공유를 위해서 FIPA 에서는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대한 명세서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이기종 에이전트 플랫폼간에 서비스 디스커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ervice Discovery Scheme Design Using Mobile Agent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커터스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 설계)

  • Kim, Kyung-In;Sun, Seung Sa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09-612
    • /
    • 2004
  • 유비쿼터스 환경은 인간이 생활하는 각종 기기들에 컴퓨팅 능력과 네트워킹 능력을 가지고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컴퓨팅 인프라 및 네트워킹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지원되어야 한다. 여러 서비스 프레임워크에서 중요한 한가지로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디스커버리 엔진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디스커버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을 이용하면 빠른 서비스의 검색뿐만 아니라 서비스 목록들의 일관성을 유지해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