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품질-공공도서관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5초

이용자가 인식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품질 결정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Us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Public Libraries Service Quality)

  • 오동근;임영규;여지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2호
    • /
    • pp.47-70
    • /
    • 2009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공통된 요인을 추출하여, 표준화된 서비스품질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탐색적 시도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주요척도들을 사용하여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을 직원의 상호작용, 정보자원 및 프로그램, 물리적 환경 및 시설의 세 가지 차원 나누고, 이를 다시 하위차원으로 세분하였다. 아울러 이 서비스품질의 차원을 바탕으로 위계적 3차원 요인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정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 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61-78
    • /
    • 2005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인쇄형태 출판물과 인터넷 및 전자자원,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이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 및 불평의도, 충성도(재이용의도포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8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4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시한 인과적 모델을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쇄형태 출판물과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은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시설 및 환경의 품질은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 (Measuring and Assessing Internet Service Quality at U.S. Public Libraries)

  • 장윤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7-285
    • /
    • 2005
  • 1990년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미국 공공도서관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로 새로운 측면의 도서관 e-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측정 평가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과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및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과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마케팅 경영 분야에서 서비스 품질 평가의 대표적 모델로 알려진 SERVQUAL과 SERVPERF 그리고 현재 미국 대학도서관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도서관 품질 평가 모델인 LibQUAL+ 모델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4가지 주요 인터넷 품질 평가 요인 및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와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한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Services through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 정대근;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1-75
    • /
    • 2018
  •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평가 도구인 LibQUAL+를 활용하여 특화서비스를 제공여부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과 그렇지 않는 도서관 차이에 최소수준 및 인식수준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대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정도는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적정성 갭 및 우위성 갭에서 대부분 높은 이용자 인식을 나타내고 있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Librarian's Job Satisfaction in Public Libraries)

  • 김미진;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66
    • /
    • 2015
  •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강화라고 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도서관 내부인적자원의 능력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10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LibQUAL+^{TM}$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 중 직무자체 요인과 조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Older Persons in Public Libraries by the Use of LibQUAL+: The Case of G-gu in Seoul)

  • 김보일;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9-344
    • /
    • 2017
  •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노인 이용자 서비스는 새로운 관점에서 제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서비스 영향력, 정보 제어, 도서관 장소) 그리고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개선방안으로 노인 이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적합한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과 노인 이용자의 세분화된 연령별 정보요구에 따른 장서 개발 그리고 노인 서비스에 적합한 전담 인력을 배치를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rvice Image of Public Library: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65-280
    • /
    • 201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지역대표도서관 이용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대해 신뢰성과 공공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비스충족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절차품질이 높고, 인적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중 긍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신뢰성의 '유용한 정보제공', 공공성의 '신분에 상관없는 처리', 유형성의 '편리한 시설'이었으며, 부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접근가능성의 '좋은 교통여건', 응답성의 '신속한 최신정보제공', 유형성의 '쾌적한 시설'이었다. 넷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5-361
    • /
    • 2013
  • 이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간략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지수 간략판인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20명의 전문가에 대한 설문과 800명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도서관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8항목(직원차원 2항목, 자원 및 서비스 차원 4항목, 시설 및 환경 2항목), 도서관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3항목, 도서관고객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2항목 등 총 15개 설문항목을 제시하고, 도서관서비스품질 차원 50%, 도서관고객만족도 차원 40%, 도서관고객충성도 차원 10%의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척도들에 대해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식 조사법을 활용하여 계층적 분석 방식(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차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및 각 차원별 핵심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해내고,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입수한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LCSI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관료제적 특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ureaucratic Characteristics on Service Quality in Public Libraries)

  • 송현경;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91-414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대표적 조직 특성 중 하나를 관료제로 보고, 이것이 서비스 품질을 바탕으로 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8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고 사서를 통해 각 도서관의 관료제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료제 특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료제 및 탈관료제 특성들은 모두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료제 특성들의 조합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관료제 특성 중 규칙 체계는 서비스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조직이 양질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관료제 특성을 실증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2010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 이용자만족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in Korea)

  • 차성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5-308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을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 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세부항목별 요인들이 도서관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용자만족도 지표는 공공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6개 변인(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 전체 이용자만족도는 정보제공정도, 시설, 직원 변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서비스 및 프로그램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 중 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 전체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정보제공정도와 시설, 장서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