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명체계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ertification History Service for Long-term Signature Verification (전자서명 장기검증을 위한 인증역사서비스)

  • Lee, Byoung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95-197
    • /
    • 2012
  • 전자서명의 장기검증이란 서명에 사용된 인증서의 유효기간이 지난 오랜 후에 서명을 검증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RFC3126에서는 전자서명의 장기검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타임스탬프기관(TSA)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전자서명에 타임스탬프(TS)를 부가하여 장기검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TSA의 인증서도 유효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TS를 계속 부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과거에 사용했던 인증서 및 CRL등의 인증체계 자체를 보존하고 인증해주기 위한 메커니즘은 인증체계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현재의 공개키기반구조(PKI) 메커니즘에는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인증체계의 장기검증을 위해 RFC3126[1]의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인증체계의 과거역사를 보존하고 보증해주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데, 인증기관이 자신의 인증서를 갱신하는 경우 자신이 운영했던 과거의 인증역사에 대해 봉인을 하고 책임있는 사후서비스를 하도록 하며, 현재의 인증서에 과거역사에 대한 명시적인 인증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인증체계와 함께 이용될 수 있고 인증체계의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며 전자서명 장기검증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전자서명 인증관리센터 구축 및 운영

  • 오경희
    • Review of KIISC
    • /
    • v.9 no.3
    • /
    • pp.9-22
    • /
    • 1999
  • 금년 7월 1일 전자서명법의 시행과 함께 출범한 국가최상위 인증기관(Root CA)인 전자서명 인증관리센터는 공개키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에 기반한 전자서 명 인증관리체계의 구축·운영, 공인인증기관에 대한 인증서 발급 및 관리 등의 인증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의 안전·신뢰성확보와 전자서명 인증제도 및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 기반 조성에 이바지함을 주요 임무로 한다. 본고에서는 전자서명 인증서비스 전자서명법 제정·시행 최상위인증기관 및 공인인증기관 구축·운영등에 대한 국내외 현황 을 분석·제시하고 국내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 전자서명 인증관리센터 구축현황 및 운영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 PKI (정부의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GPKI) 활성화 및 발전방안)

  • 추경균;김종배;류성열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4 no.2
    • /
    • pp.85-100
    • /
    • 2004
  • Study and analysis on the digital certification of the world today, and census on how digital signature is being used or considered for the government will be used to sum of what can be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operating digital signature certifications for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s at this research, and of course the answers to these problems will be provided too. This research suggests practical ideas on how to interoperate between Government PKI (GPKI: Administrational Digital Certification for the Government) and National PKI (NPKI: Digital Certification for General Public &Business), how to make use of Standard Security APIs, how to manage (e.g. issue, reissue, update, revoke) digital certificate, how to improve technical side of security and reliability, and how to improve political issues on public education for information security. Digital certification will become more popular and widely use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s in the future. Therefore, census and research on demands md satisfactions of digital certification for public and government will be regularly performed. Of course, continuous maintenances and improvement in this field will be necessary to obtain firmer way of information security.

A Study of Improvement Schemes for MPKI of National Defense Digital Network (국방전산통신망을 위한 국방인증체계(MPKI)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Han, Kwang-Taek;Lee, Su-Youn;Park, Chang-Seop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4 no.6_1
    • /
    • pp.147-155
    • /
    • 2014
  •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in National Defense is divided into three system; KMI, MPKI, and GPKI. In this paper, we report inherent problem and security threaten in MPKI and propose an attribute-based authentication scheme using attribute-based signature in order to improve user authentication. In our scheme, access structure is used by Monotone Span Program, and system server provides service after user authentication.

양자내성 전자서명의 블록체인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 Hangyeol Kim;Dabin We;Myungseo Park
    • Review of KIISC
    • /
    • v.33 no.2
    • /
    • pp.49-56
    • /
    • 2023
  • 양자 컴퓨터의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Shor 알고리즘과 Grover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의 공개키, 대칭키 및 해시 암호체계에 위협을 줄 수 있다. RSA 및 ECC 암호체계는 Shor 알고리즘에 의해 다항시간 내에 해독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보안위협의 증가로 양자내성의 성질을 지닌 양자내성암호가 주목받고 있으며 양자내성 전자서명을 블록체인의 전자서명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내성암호를 블록체인의 전자서명에 적용하는 연구동향에 대해 설명한다.

A Study on Malicious App using Vulnerability of Android Code-Signing (안드로이드 코드서명의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 앱에 관한 연구)

  • Park, GyeongYong;Cho, T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568-571
    • /
    • 2013
  • 스마트 폰의 보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악성코드의 위협도 높아졌다. 여러 스마트 폰 플랫폼 중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높은 점유율과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특성상 다른 플랫폼에 비해 악의적인 공격에 취약하다. 안드로이드 앱이 스마트 폰에 설치, 실행되기 위해서는 개발자의 서명이 요구된다. 안드로이드 서명체계는 다중 서명을 허용하는데, 다중서명 체계상 악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코드서명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실행시키고 다른 앱을 감염시키는 악성 앱을 개발하여 취약점의 악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이버 증권거래와 전자서명 인증서비스 체계

  • 양덕기
    • Review of KIISC
    • /
    • v.9 no.3
    • /
    • pp.43-58
    • /
    • 1999
  • 눈부신 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우리나라 사이버 증권거래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히 분석하고 시급하고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증권업계의 전자서명 인증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증권전산 전자인증센터(signkorea)의 서비스 체계를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rnet Public Key and Certification System (전자서명 Key와 인증 System에 관한 연구)

  • Jung, Ji-Moon; Shin, Jung-Gil;Hong, Chang-Sun;Cho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49-252
    • /
    • 2000
  • 국내 전자서명법의 제정 및 시행은 21세기 새 천년을 준비하는 시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자적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재 시점은 기존의 대면 방식의 거래 문화가 컴퓨터 네트워크나 기타 통신망을 통한 비대면 방식의 거래 문화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중요한 시점이다. 전자서명법의 시행을 통한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의 구축, 전자서명 인증관리센터의 구축, 운영, 공인인증기관의 지정, 운영 등은 전자적 거래 활성화 및 전자정부 구현에 근간이 되는 국가 공개키 기반구조 구축이라는 기술적 기반을 갖추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의 구축은 궁극적으로 전자적 거래 활성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을 외국 기업의 독점적 선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도 가질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Crypto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Public-Key Infrastructure and Ways to Improve It (행정전자서명 암호체계 기술 현황 분석 및 고도화 방향)

  • Younghoon Jung;Dongyoung Roh;Bonwook K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3 no.1
    • /
    • pp.13-31
    • /
    • 2023
  • Korean Government-PKI (GPKI) is a public-key infrastructure which provides authentication and security functions for information system used by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to provide their own administrative and public services. The current cryptosystem of GPKI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2000s, and more than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last improvement in 2010. Over the past decade or so, the information security, including cryptography,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will continue to face many changes.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security of GPKI,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ecurity of the cryptosystem at this poin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security of technologies and standards used in the system. We identify cryptographic algorithms with degraded security, international standards which are obsoleted or updated, and cryptographic parameters that should be revised for the high security level. And based on this, we make several suggest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cryptographic algorithms and related technologies for the security enhancement of GP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