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 습관

Search Result 1,26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Development by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nd Parenting Styles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 Kim, Song Ye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3
    • /
    • pp.101-1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basic habits formation by their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 an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s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al features on children's basic habits form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children's sex. Girls' basic habi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their mother's and father'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On the other hand, boy's basic habi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mother's and fa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n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Especially, boys whose parents did not consider important their children's basic habits formed higher level of basic habits in case that their mothers showed affectionate parenting. Also,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basic habits by autonomous parenting.

The Effect of the Healthy Lifestyle Habit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eisure on the Quality of Sleep (여가참가 대학생의 건강생활습관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Soo-Jin Seo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2 no.1
    • /
    • pp.127-135
    • /
    • 2024
  • This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find out the effect of healthy lifestyle habit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on sleep 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major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the arts and sports field showed higher exercise lifestyle habits than the natural field, and in leisure participatio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field showed an effect on exercise lifestyle, health perception habits, eating habits, and subjective sleep. In the leisure activity perio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for more than 3 years had an effect on exercise lifestyle, health perception habits, and daytime sleep. In leisure activity time,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for 1-2 hours had an effect on exercise lifestyle, health perception habits, and eating habits. Second, it was found that bad lifestyle habits had an effect on sleep difficulties, and in daytime sleep, exercise lifestyle habits, bad lifestyle habits, and eating habit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사물인터넷기반 라이프케어 빅데이터 센싱기술

  • Jo, Wi-Deok;Choe, Seon-Tak;Baek, Jae-Sun;Min, Myeong-Gi;Lee, Yeong-Gwon;Lee, Gyu-Pil;Park, Gyeong-Chan;Lee, Jong-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1
    • /
    • pp.21-31
    • /
    • 2015
  • 현대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활습관이 다양해지고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생활습관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와 같은 IT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응용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활습관 추적 및 분석 기술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장애인, 생활습관병 환자 등 특수계층의 건강 예측, 질병 관리 분야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센싱 기술에 초점을 두고, 낮 시간의 활동과, 밤 시간의 수면 및 위치 기반 기술,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홈 패턴 모델링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연중특별기획 - 몸을 망가뜨리는 인간의 치명적 실수, 무관심 - 생활습관에서 시작되는 질환, 치질

  • Jo, Dong-Ho
    • 건강소식
    • /
    • v.35 no.1
    • /
    • pp.18-23
    • /
    • 2011
  • 치질로 인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의 원인을 파악해보면 대부분이 생활습관으로부터 병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도 모르게 익숙해진 식습관, 배변습관이 항문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치질은 수술 없이도 좌욕 등 생활습관만 고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귀찮고 창피하다는 이유로 병을 숨기다가 수술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 PDF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of Public Officials Using Health Belief Model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공무원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 요인)

  • Kang, Jeong-Suk;Cho, Young-Ch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239-251
    • /
    • 2017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among some public officials. The study subjects were 729 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general public office of the government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16. As a result, the health behavior score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vulnerability,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havior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a about lifestyle-related diseases, while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arriers to health behaviors concerning lifestyle related diseases. As a result of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vulnerability and seriousness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The next most important factors were a family history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a, effectiveness of and barriers to health behavior, instrument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ch factor constituting the Health Belief Model (HBM) (perceived vulnerability and seriousness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perceived effectiveness and barriers to health behaviors, family history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ass media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social support network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practic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the health behaviors of the subjects and to manage them continuously.

Lifelog Big Data Based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System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기반 대사증후군 관리 시스템)

  • Kim, Ji-Eon;Kim, Seung-Ji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6-237
    • /
    • 2018
  • 최근 생활습관정보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임상적 진단지표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및 간질환 그리고 당뇨와 같은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질환 정도에 따른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사증후군 환자의 생활습관을 수집하기 위한 대부분의 시스템은 자가진단 및 예방 중심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정확한 생활습관을 수집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임상적 진단지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뢰성 있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수집된 생활습관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 여부에 따라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체계적으로 생활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 Life Analysis Using Iterative Survey Method (반복적인 설문 방법을 이용한 생활습관분석을 위한 대사증후군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i-Eo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14-615
    • /
    • 2017
  • 국내에서 서구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대사증후군 환자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은 다양한 심혈관 및 간질환 그리고 당뇨와 같은 질환으로 위험성 높으며, 여러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을 진단하는데 임상적인 진단지표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생활습관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자가진단 및 예방에 중점을 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 생활습관정보를 기반으로 질환진단에 활용하는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관련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생활습관과 정확한 운동습관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족 생활습관관련 설문지 조사 방법은 반복적인 설문방법을 채택하여 앱상에서 수집하고 운동습관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운동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만 및 대사증후군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따른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수집한 생활습관과 운동습관정보를 분석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