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

Search Result 23,22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환경부, 생활 소음 저감 대책추진

  • Kim, So-Jin
    • 주택과사람들
    • /
    • s.189
    • /
    • pp.9-9
    • /
    • 2006
  • 현대인들은 바쁘고 정신없다는 말을 자주 쓴다. 생활환경 속 소음이 스트레스 가중시키고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등 일상생활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환경부가 발표한 생활 소음 저감 대책에 대한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어촌의 관광지화에 관한 연구

  • 김일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0
    • /
    • pp.27-56
    • /
    • 1984
  • 국민소득 증대와 생활의 질 향상은 우리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자가용의 급속한 증가는 여가 생활이 국민 생활의 중요한 부력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같은 추세는 관광비를 포함한 문화비(cultural expenses) 지출 증가를 가져왔고 관광 자원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an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LA 거주 한국이민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과 특성)

  • 홍숙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8 no.1
    • /
    • pp.157-170
    • /
    • 1990
  • 본 연구는 미 L-A에 거주하는 한국이민 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기여하는 결정요소들이 무엇인지 가려내며, 그 얻어진 결과를, 동일한 시각과 접근으로 시도되었던 미국 노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1986년 12월에서 1987년 2월까지 3개월간 미 L-A 카운티에서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한국 이민노인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중 192명을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의 결과, 활동성의 제약정도, 결혼상태, 재정적인 안정, 교육정도, 연령증가 등 5가지 변인들의 특별히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강한 연관성이 있었고, 반면 자신들이 평가한 건강상태, 지인과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미국거주 년한 등은 노후생활의 안녕에 전혀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그러나 자신들이 평가하는 건강상태는, 활동성의 제약 등과 같은 다른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서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서구나 미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의 세 요인인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활동성과 비교해 볼때, 사회적 활동성과 연령증가 변인에서 서로 상반되는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즉, 백인노인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낮아지거나 혹은, 연령증가와 생활만족도 사이에 별로 유의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한국노인은 나이를 먹으면서 오히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활동성은, 백인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혹을 부정적으로 가장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하나임에 반하여, 한국노인들은 이것이 자신들의 생활만족에 중요한 것이라 믿고는 있었지만 실제 통계학적으로는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요인이었다. 주거환경(자식과의 동거여부) 역시, 이제껏 한국사회에서 기대되어왔던 통념과는 달리,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 PDF

Study on the Couple Relationships in Military : Relationship among Military life Stress,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and Military Adjustment (육군 병사들의 커플관계에 관한 연구 : 군 생활 스트레스, 커플관계 탄력성, 그리고 군 생활 적응의 관계)

  • Jeon, Ji-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2
    • /
    • pp.47-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the CRR, MA, and MS of military solder's who have experienced couple relationship troubles. Data collected from 239 soldiers in front-line division and post line division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SPSS 18.0. As the results, 1. CRR and M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RR and MS showed a negative corelation. 2. CRR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 3. CRR had a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where MS influenced M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primary data for raising the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especially on the subject of couple relationship, and as an educational guidance for helping soldiers to see the positive aspect of the adversity and stress of military life.

Ecosystem Factors that Affect Abandoned Mine Area Residents' Life Satisfaction (생태체계 요인이 폐광지역 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oh, Hyo-L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0
    • /
    • pp.6869-687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measures to improve abandoned mine area residents' life satisfaction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5 residents aged at least 30 years and structured survey were used collected from April, 3, 2014 to 20. The levels of abandoned mine area residents' mental health were measured using the general mental health scale and the residents'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using a life satisfaction scale. The abandoned mine area resident's life satisfaction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ir future life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the lowest. Out of the microsystemic factors, mental health degree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and those with lower depression and anxiety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None of the mesosysystemic factors, were not found to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ut of the macrosystemic factors were found to be mine area special law in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ne locals seem to need practical strategies related for maintaining a healthy mind and continued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