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요인

검색결과 3,066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Personal types,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 이미라;전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61-8869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 보건계열 1, 2학년 대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0월 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4유형과 5유형에서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 모두 가장 낮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자아탄력성과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낙관적 태도였으며 그 외 영향요인은 자신감, 감정조절, 성적이었고, 총 6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개인의 성격유형이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영향을 주므로,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긍정적태도와 자신감, 감정조절 등을 강화하여 건강한 측면의 성격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일정한 학교 성적을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한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도 높아질 것이다.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on Self 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in Elementary Students)

  • 이경숙;이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1-8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자기표현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와 U광역시 각각 1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6학년 905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7월 20일까지였다.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순 상관관계이었으며, 자기표현과 학교생활적응과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 특성 중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담임 교사와의 관계, 학년, 성별, 교우관계 이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표현의 하위요인 중 표현내용, 신체언어가 57.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Mental Health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백선숙;조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7-85
    • /
    • 2016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1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197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의 차이는 성별이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는 성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다섯째,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정신건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우선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앞으로 다각적인 적응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창의적 특성을 매개로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 이은일;고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61-47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 창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기술통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 개인 창의적 특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적 경험 하위요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노인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매개변인인 개인 창의적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문화예술적 경험과 개인 창의적 특성은 노인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개인 창의적 특성이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박다혜;김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지역 6개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4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따돌림, 동료의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3일부터 2015년 12월 1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동료의 지지(r=.38, p<.001) 및 자아탄력성(r=.6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따돌림(r=-.24,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F=334.33, p<.001), 동료의 지지(F=60.86, p<.001) 및 따돌림(F=22.0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설명력은 4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고, 개발된 교육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관련성 연구 (The Influence of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65-71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G광역시, J지역 보건계열학과 19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21년 6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긍정적 지각은 부정적 지각(r=-.286, p<.01), 정서조절(r=.296, p<.01), 대학생활적응(r=.520,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부정적 지각은 정서조절(r=-.619, p<.01), 대학생활적응(r=-.428, p<.01)과 부(-)의 상관이 있었다.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r=.341,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긍정적 지각, 부정적 지각, 정서조절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VID-19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VID-19)

  • 안혜란;이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45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라는 위기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전공선택동기, 학업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개 지역의 간호학생 243명을 편의모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는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 한 달 용돈 금액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5.6%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기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관절염 노인의 IADL과 Stress, 건강생활동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ADL, Stress and Motivation on Healthy Lifestyle among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 김종근;문경희;임은선;유장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09-21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건강생활동기,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관절염 노인의 활동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65세 이상의 관절염 노인 1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간에 유의한 역상관관계, 건강생활동기와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에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신체적 요인(${\beta}=-0.354$, p<.001), 건강생활동기 하위영역 중 자기효능감(${\beta}=0.250$, p<.001)이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18.5%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절염 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건강생활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메타양육 척도(K-MPQ)의 타당화 연구 (Culturally Responsive Construct of Meta-Parenting : Validation of Korean Meta-Parenting Questionnaire)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9-50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Hawk(2007)이 자녀 및 양육과 관련된 부모의 의도적 사고로 제시한 메타양육(MPQ) 척도를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원래 MPQ에는 예상, 평가,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 등 4개의 요인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상 요인과 반성적 사고 요인이 같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들은 미국 어머니보다 메타양육 수준이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예상과 반성적 사고 요인에 더 높은 점수를, 그리고 문제해결에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K-MPQ는 상당히 안정적 구조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한국 어머니들의 메타양육 요인들은 대체로 양육신념 및 양육실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 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5-156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가족 연구와 가족생활교육 및 가족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족의 건강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관련 척도 고찰을 통하여 하위 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고, 문항의 적합도와 안면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예비조사 도구 100문항이 구성되었다. 가족생활주기별로 34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항양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X^2$ 값과 Cramer의 V계수를 산출하였고,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요인(가족간의 의사소통, 가족간의 몰입, 가족원의 적응력, 가족 가치관)이 추출되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57%의 설명력을 갖는다. 또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별 문항을 선정함으로서 최종적으로 34문항이 구성되었다. '가족 건강도' 척도 및 그 하위 요인과 ${\ulcorner}Family\;Adaptability\;and\;Cohesion\;Evaluation\;Scale{\lrcorner}$, ${\ulcorner}Family\;Stengths\;Scale{\lrcorner}$과의 상관계수는 .25에서 .56사이로 나타나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의 a계수 .9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80에서 .91로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