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로그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이달의 광학인-한국후지필름(주) 김학수 영업이사

  • Yun, Mi-Seon
    • The Optical Journal
    • /
    • s.99
    • /
    • pp.42-44
    • /
    • 2005
  • “디지털은 메시지다”라고 말한 마셜맥루한의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아도 될 만큼 디지털기술은 우리 생활 깊숙한 곳으로 스며들고 있다. 90년대 초, 폭발적인 보급력을 지닌 디지털카메라는 메시지가 담긴 이미지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 커뮤니케이터다. 과거 아날로그 시대에서부터 최첨단 디지털카메라까지 한국후지필름(주)의 김학수 이사는 26년간 한국후지필름(주)에서 기획실,영업, 관리, 신규사업을 거쳐 인화지/아날로그 현상소 영업을 비롯해 필름, 디지털 인화점 등 사 진관련 분야의 여러 곳을 섭렵한 베테랑이다. 아날로그의 깊은 멋과 디지털의 세련됨을 함께 지닌 김 이사는 95년도 통신 분야에서 디지털화의 기틀을 마련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진업계의 디지털화를 구축하고 있다. 김 이사는“사진을 일상의 엔터테인먼트로 사용하는 유저들이 촬영 후 디지털 인화/출력 문화로의 연계가 업계의 관건”이라고 언급했다.

  • PDF

Development of Plot Design Tool for Life Log Story Generation Using Petri Net (Petri Net을 이용한 모바일 라이프 스토리 생성을 위한 플롯 디자인 도구의 개발)

  • Lee, Young-Seol;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72-275
    • /
    • 2007
  •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기록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기를 쓰거나 사진을 찍어 기록을 남긴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사람의 삶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Petri Net과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모바일 라이프 로그로부터 사용자의 일상생활을 반영하는 스토리를 생성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Petri Net을 이용하여 플롯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존의 Petri Net 툴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Petri Net과 플롯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반영하기 어려웠으며 플롯 제작에 있어서 일반적인 Petri Net 툴로 디자인 한 후에 스토리 엔진을 위한 포맷으로 변형하여야 했기 때문에 디자인과 변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etri Net을 이용하여 플롯을 구성하기 위하여 스토리 생성에 필요한 개념을 추가적으로 정의하고 추가된 개념들을 잘 나타내기 위한 도구를 작성하여 Petri Net으로 스토리를 디자인하기 위한 보다 편리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 PDF

SIOT: Secure Gateway for Internet of Things

  • Kim, Yeon-Geun;Go, Yeong-Hwan;Kim, Min-Su;Jang, Jin-Su;Bae, Sang-Uk;No, Ju-Hwan;Gang, Byeong-Hun;Park, Gyeong-Su;Kim, Yong-Dae;Si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80-89
    • /
    • 2017
  • 오늘날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급속도로 발전하며 인간 생활 곳곳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개인 정보 등의 민감한 데이터들을 다루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 환경에 대한 강력한 보안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사물 인터넷 환경은 비정상적 접근을 허용하거나 업데이트를 통한 펌웨어 변조 등의 많은 보안 취약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물 인터넷 환경이 가지는 보안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딥 러닝 기반의 이상 탐지, 로그 위/변조 탐지, 기기 무결성 검증 등의 다양한 보안 기법들이 집약된 보안 게이트웨이인 SIOT를 제안한다. SIOT는 저성능의 사물 인터넷 기기들이 충분한 보안 기능들을 탑재할 수 없음에 주목하여 다수의 보안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사물 인터넷 보안 프레임워크로써, 지속되는 사물 인터넷 보안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Study on the Promotion of Digital Traditional Music Contents (디지털 전통 음악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ung, Yong-Kwan;Lee, Suk-Sun;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317-323
    • /
    • 2008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급격한 발달은 인류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트랜드를 바꿔 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아날로그와 오프라인의 시대에서 이제는 디지털과 온라인의 시대로 우리의 생활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정보화측면에서는 선진국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CT(Cultural Technology)를 국가전략분야로 육성해나가고 있는 등 세계화시대 및 문화산업시대의 도래와 함께 부가가치의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로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강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법 등의 제정을 통하여 자료의 디지털 화에만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그보다 더 중요한 정보의 활용 즉, 활성화 측면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활성화되지 못한 디지털 자료는 땅속에 묻혀있는 오래된 유물과도 같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디지털화가 가장 용이하며, 활성화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디지털 전통음악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Healthcare App for Diabetes (당뇨 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앱 개발)

  • Im, Jura;Shin, Moon-Sun;Seo, S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22-1725
    • /
    • 2015
  •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전 세계는 스마트 서비스 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다. 스마트 폰을 활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는 고령화 사회에서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당뇨 환자들의 식이관리 및 운동관리를 위해 당뇨 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당뇨PHR은 스마트 폰을 통해 일상생활의 라이프 로그를 입력하여 식이 관리와 운동 관리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현된 당뇨 PHR은 사용자의 건강관리뿐 만 아니라 맞춤형 건강 정보 제공을 통해 헬스케어의 일상 구현에 기여 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academic affairs support chatbot (학사업무 지원 챗봇 개발)

  • Yun, Tae-Jin;Kim, Il-Kwon;Lee, S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99-300
    • /
    • 2019
  • 신입생과 재학생들이 학사업무에서 문의사항이 있을 시 전화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변화된 생활 환경에 맞게 SNS를 많이 이용하므로 이를 통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챗봇(Chatbot)을 활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경운대학교 학사업무에 대한 문의를 자동으로 응답하는 챗봇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효율적인 응답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Dialogflow플랫폼을 사용하여 챗봇에게 질문했을 때 답을 하는 응답내용을 개발하고, Webhook을 사용해서 Facebook Messenger플랫폼에 연동하여 챗봇을 Facebook Page에 만들어 응용하였다. 또한 실제 채팅을 통해 실험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Context Information Based Application Recommend System Using Application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보와 상황정보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 Shin, Jae-Myoung;Kim, Jong-Hyun;Choe, Hwa-You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38-40
    • /
    • 2011
  • 최근 상황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 수집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사용자의 컨텍스트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컨텍스트는 물리적 컨텍스트(Physical Context)와 소프트 컨텍스트(Soft Context)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가지의 컨텍스트를 조합하면 사용자의 취향과 상황 그리고 생활 패턴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반을 둔 로그 수집 방법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소프트 컨텍스트와 물리적 컨텍스트의 조합으로 생성한 통계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에게 친화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횟수에 따른 분류 등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활용패턴을 통계정보로 나타내준다.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인에게 가장 알맞은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활용 패턴 및 통계정보도 숙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밀접한 스마트폰 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정보 기반의 로그 분석과 수집,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추후 상황인지 및 사용자의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Web Image Server for sharing e-Commerce System's Image (전자 상거래의 이미지 공유를 위한 웹 이미지 서버의 성능 평가)

  • Kim, Myoung-Eun;Cho, Dong-Sub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5
    • /
    • pp.533-540
    • /
    • 2002
  • We can buy products everywhere from Web-based shopping mall using desktop, cellular phone or PDA. To guarantee the various services for different equipment, shopping mail systems should allow a lot of different size or quality of images to provide a good service to their customers. Despite of same product image, each shopping mall saves the image in its storage space individually. Furthermore, all the product images in each shopping mall are stored as images of different quality. It may waste resources of shopping mail server and bring us developmental overhead. It is difficult to update all the images for product that is used by distributed e-catalog in everywhere. In this paper, we extended the proposed Web Image Server (WIS) for sharing one image with all clients and processing Image dynamically, so that we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managing shopping mall as a client of WIS and added the function of recording clients'log file and image catalog for shopping mall. We measured the response time from WIS and conventional e-Commerce site using by WAS which is one of the stress test tools for Web application. Furthermore, we measured WIS responses image requests in reasonable time when the current user is increased.

A Study on the Service Status of the 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Web Server User Log: 2014.5.20.~2014.6.2. Log Data (웹 사용자 로그 분석 기반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 사용현황 연구: 2014.5.20.~2014.6.2. 수집자료 대상)

  • Lee, Seung Han;Cho, Tae Hyun;Kim, Min S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67-76
    • /
    • 2014
  • Recent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IT and mobile technology, spatial information plays a role of infrastructure of the people life and the national economy. Many kinds of applications including SNS and social commerce is to leverage the spatial information for their services. In the case of domestic, spatial open platform that can provid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ervices in a stable manner has been released. And many people have been interested to the open platform services. However, the open platform currently has many difficulties to analyze its service status and load in real time, because it does not hold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analyze the real-time service status of the open platform using the analysis of the web server log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propo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s: amount of data transferred, network bandwidth, number of visitors, hit count, contents usage, and connection path. We think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perfect service status of the open platform.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of the service status and for system expansion of the open platform, every year.

Health Risk Management using Feature Extraction and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ime Flow (시간흐름을 고려한 특징 추출과 군집 분석을 이용한 헬스 리스크 관리)

  • Kang, Ji-Soo;Chung, Kyungyong;Jung, Hoil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99-104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health risk management using feature extraction and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ime flow. The proposed method proceeds in three steps. The first is the pre-processing and feature extraction step. It collects user's lifelog using a wearable device, removes incomplete data, errors, noise, and contradictory data, and processes missing values. Then, for feature extraction, important variables are select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data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re classifi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variance. In order to analyze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lifelog, dynamic clustering is performed through the K-means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passage of time. The new data is clustered through the similarity distanc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e increment of the sum of squared errors. Next is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cluster by considering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using the health decision-making system through feature clusters, risks able to managed through factors such as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habits, disease status, health care event occurrence risk, and predictability.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s the proposed method using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with the fuzzy and kernel-based clustering.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roposed method is excellently evaluated. Therefore, through the proposed metho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and appropriately manage the user's potential health risk by using the similarity with the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