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로그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Overview of Intelligent Gadget Technology for Life Log Service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가젯 기술 동향)

  • Bae, C.S;Won, J.H.;Ryoo, D.W.;Noh, K.J.;Lee, G.H.;Choi, E.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5 s.101
    • /
    • pp.81-92
    • /
    • 2006
  • 최근 미니홈피, 블로그 등의 개인 홈페이지가 활성화되면서 개인의 생활 경험 정보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주로 영상이나 텍스트에 의존한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디지털 라이프로그라는 개념으로 개인의 전반적인 일상 생활을 디지털 미디어로 기록해 두고자 하는 시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라이프 로그에서 저장되는 정보는 단순히 개인이 보고 듣는 정보뿐 아니라 개인의 주변상황 및 신체상태 등 그 다양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개인의 실생활에서 수집하기 위해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사물에 정보 수집 및 처리 기능을 부가하자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이 지능화된 사물을 지능형 가젯(gadget)이라 부른다. 지능형 가젯은 단순한 사용자의 개인 생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외에도 가젯들 간의 상호 정보 교환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라이프 로그가 저장된 서버와의 정보 교환으로 사용자의 과거 경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나 취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기본이 되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가젯의 각 구성 모듈인 지능형 가젯 플랫폼, 지능형 가젯 네트워크, 그리고 지능형가젯 미들웨어의 기술 동향과 라이프 로그 서비스의 연구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An Exploratory Study on Daily Activity Types based on Life-logging Data (라이프로그 기반 일상생활 활동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Lim, Hoyeon;Chung, Seungeun;Jeong, Chi Yoon;Jeong, Hy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761-76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행동인식 결과로부터 일상생활의 활동유형을 분석하는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실제 일상생활 중에 수집한 가속도 센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분석한 행동인식 결과를 정적-동적 행동으로 분류된 특징 벡터로 나타내었고, 이를 클러스터링하여 6개의 대표 활동유형으로 분류하였다. 50명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적-동적 활동의 비율에 따른 활동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실제 라이프로그 데이터로부터 일상생활 활동유형을 확인하였다.

A Summarization of Multi-Camera Office Event Using User Log Analysis (사용자 로그분석을 이용한 멀티 카메라 사무실 이벤트 요약)

  • Park, Han-Saem;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186-190
    • /
    • 2008
  • 최근 카메라를 비롯한 다양한 센서 기술 및 디지털 저장장치의 발달로 사용자의 일상생활의 기록인 라이프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라이프 로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실외에서 수집되는 경우와 실내에 카메라를 중심으로 한 센서를 설치하여 수집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수집된 로그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요약이나 검색과 같은 서비스 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오피스 환경에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수집한 실내 비디오 로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로그를 분석하여 요약을 위해 활용한다. 다수의 카메라는 오피스의 가운데 부분을 비추도록 하여, 발생한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시점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 요약 과정은 크게 데이터 어노테이션, 사용자 로그분석을 이용한 이벤트 시퀀스 요약, 도메인 지식을 이용한 카메라 뷰의 선택으로 나뉘어 수행된다. 최종적으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요약 방법이 좋은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Created Time of File and Log Abusing Unreliable System Time and a Solution (시스템 시간을 악용한 신뢰할 수 없는 파일과 로그의 생성시간과 해결 방안)

  • Yoon, Se-Won;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382-385
    • /
    • 2010
  • 컴퓨터가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된 만큼 각종 범죄에서도 컴퓨터와 관련된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범죄와 관련된 컴퓨터에서 법정에 제출하기 위해 증거를 분석하고 제출하는 과정을 디지털 포렌식이라 한다. 대표적인 포렌식으로는 사용자의 행위를 기록한 로그 분석이 있다. 반대로 증거 분석을 방해하는 과정을 안티 디지털 포렌식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시간을 변경해 로그 기록시간을 허위로 기록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해결 방안을 알아본다.

  • PDF

A Study for the Availability based on the Image Logging Server (이미지 로깅서버 기반의 사용자 가용성 보장을 위한 연구)

  • Yoo, Seung-Hee;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409-410
    • /
    • 2008
  •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정보화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는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사이버 범죄라는 역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이블 위하여 이전 논문에서 우리는 이미지 로그파일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로그 파일이란 디지털 증거자료로써 디지털 포랜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안상 취약한 기존의 텍스트 파일 형태의 로그 파일을 보완하여 웹 페이지를 이미지로 저장한 파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미지 로그 파일이 디지털 증거 자료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의 무결성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웹 페이지를 복구하기 위한 백업용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로그 파일에 대하여 기술하여 보고자 한다.

  • PDF

The detection of threats using loging data analing of network resource (네트워크 자원의 로그 분석을 통한 보안 위협 탐지)

  • Kim Jin-Hong;Lee Haeng-Gon;Jo In-J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9-182
    • /
    • 2006
  • 정부, 기관(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심지어 일반 개인 생활에서 인터넷의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네트워크 장비의 중요성은 한층 강조되고 있다. 현재 네트워크 장비의 보안은 방화벽, 침입탐지장치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 장비들은 잘 알려진 공격을 기준으로 패턴 매정 방식으로 검출한다. 따라서 잘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는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보안장비를 위회한 보안위협이 탐지될 경우 네트워크 자원에서 발생하는 로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침해사고 시 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실시간 로그 분석을 통해 신속한 보안 위협의 탐지 및 해결방안을 제공한다.

  • PDF

GPS Log Management for Personalized Service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GPS로그 관리)

  • Chung, Hae-Jin;Nah, Yun-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43-48
    • /
    • 2010
  • 정보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일반적인 정보 검색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이나 선호도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준다. 이로 인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받는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선호도 조사의 방법으로 GPS로그 파일을 이용한다. GPS로그는 사용자의 모든 이동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이므로 이를 분석하면 개인의 선호도와 숨어 있는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GPS로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용량 이동 객체 분산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인 GALIS를 응용한 GPS로 그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며, 프로토타입 구현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Linving Close Contact Service Supporting System Using Disablities Lifestyle Log Analysis System (장애인의 라이프 로그 분석을 이용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 제안시스템)

  • Park, Gyeongsu;Kim, Kwangsil;Kim, Chang Gi;Seo, J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7-178
    • /
    • 2016
  •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 및 스마트 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들의 일반화로 인해 라이프 로그와 같은 빅 데이터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및 활용이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자료를 포함한 소셜미디어(SNS) 자료들은 장애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는 각종 가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여 장애인들에게 꼭 필요한 여러 사회복지 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할 수 있는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이 자발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해 내는 자료인 공간정보를 포함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장애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생활 밀착형 사회서비스를 발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Context Extraction and Analysis of Video Life Log Using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동영상 기반 라이프 로그의 분석 및 의미정보 추출)

  • Jung, Tae-Min;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414-418
    • /
    • 2010
  • 최근 라이프 로그의 수집과 관리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 중에 있다. 또 핸드폰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발전으로 자신의 일상생활을 비디오로 저장하고,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라이프 로그의 한 예로. 동영상의 촬영 및 수집이 활발해짐에 따라 동영상의 메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동영상 검색과 관리에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 로그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영상과 라이프 로그를 이용하여 의미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의미정보란 사용자의 행동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컴퓨터 사용, 식사, 집안일, 이동, 외출, 독서, 휴식, 일, 기타로 9가지의 의미정보를 추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GPS, 가속도센서, 캠코더를 이용해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될 특징은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상태정보 그리고 영상처리릍 통한 RGB와 HSL 색공간의 요소와 MPEG-7의 EHD(Edge Histogram Descriptor). CLD(Color Layout Descriptor)이다.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사람 행동과 같은 불안정한 상황에서 강점을 보이는 확률모델 네트워크인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의미정보를 추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추론하고 10-Fold Cross-valida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한다.

  • PDF

Analysis on System Log of Huawei Smartphone (화웨이 스마트폰 시스템 로그에 대한 분석)

  • Park, Eunhu;Kim, Soram;Kim, Jongsung
    • Journal of Digital Forensics
    • /
    • v.12 no.3
    • /
    • pp.9-17
    • /
    • 2018
  • Smartphone have become commonplace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making life easier. The smartphone's system log stores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ser actions. Since 2015, Huawei has been growing rapidly, with its sales volume increasing and it was ranked second in the world in three years. The use of Huawei smartphones by many users means that Huawei smartphones are likely to be used to detect traces of criminal investigations, so we need to study system logs of Huawei smartphon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system log which is forensically meaningful for Huawei smartphone. We also propose how to use logs in forensic inves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