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화학적 특성

검색결과 787건 처리시간 0.028초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분리(分離) 및 그 생화학적작용(生化學的作用)과 성질(性質)에 대(對)해서 - (Studies on the inhibitory substance of yeast growth - (Part 1)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east growth inhibitor -)

  • 서정훈;고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19-25
    • /
    • 1972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로 부터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 Yeaststatic substance인 일종(一種)의 peptide (Astradix-P)를 얻었으며 이 물질(物質)의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다. 1) 이 물질(物質)은 일종(一種)의 peptide이며 그 PI는 8.2로 나타났다. 2) 이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을 조해(阻害)하며 이 조해(阻害)는 정균효과(靜菌效果)에 기인(起因)한다. 3) 본(本) 물질(物質)은 열안정성(熱安定性)이 매우 커서 $100^{\circ}C$에서 10시간(時間), 혹은 $121^{\circ}C$에서 30분간(分間) 가열(加熱)하여도 거의 실활(失活)하지 않는다. 4) pH에 대(對)해서도 안정(安定)하며 $pH2{\sim}pH10$까지는 별(別) 영향(影響)이 없다. 5)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glucose, sucrose, maltose등의 당류(糖類)는 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아니한다. 6)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Mg, Ca, $PO_4$ 등 염류(鹽類)도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7)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류(酵母類)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며 그 유효농도(有效濃度)는 ${\mu}g/ml$의 범위(範圍)에 있으며 예(例)로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등 균주(菌株)의 $G.I.\;_{50}$$4{\mu}g/ml$이며, S. coreanus, S. sake는 13, $18\;{\mu}g/ml$이며, Candida pulcherrima는 $3\;{\mu}g/ml$, C. tropicalis는 $38{\mu}g/ml$로 나타났다. 8)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alcohol 발효(醱酵)에 대(對)해서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수종 세균의 농약분해력 검정 및 동정 (Pesticide Degradation Activity of Several Isolates of Soil Bacteria and Their Identification)

  • 박경훈;이영기;이수헌;박병준;김찬섭;최주현;엄재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8-148
    • /
    • 2006
  • 농약분해에 관여하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작지 시설하우스 토양 및 밭토양시료에서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해 생육저해를 받지 않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이들을 표준사용농도 및 그 1/10의 농도가 함유된 배지 상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한 2균주, B52 및 B71을 선발하여 농약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을 6종의 농약(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parathion, alachlor, pendimethalin)이 40 mg a.i. $L^{-1}$의 농도로 함유된 TSB배지에서 분해율을 조사한 바, 대조구에 비해 분리균 B52는 최고 53.2%, 분리균 B71은 25.0%의 차이를 보여 분리균이 농약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한 분해율이 높았다. 이들 3종 농약의 농도에 따른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5{\sim}40$ mg a.i. $L^{-1}$까지는 균의 생육이 왕성하였고 농약의 분해율도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농약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균의 생육과 분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배양일수별 분해율의 변화는 농약의 종류 및 균주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B59는 parathion을 6일간의 배양으로 거의 분해하였고 procymidone과 alachlor는 배양 21일까지 거의 비슷한 속도로 분해되었다. 배양액의 pH는 농약의 분해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pH 5 이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pH 4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했으므로 분해율 또한 매우 낮았다. 선발균은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동정장치를 이용하여, B59는 Acinetobacter sp. B71은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유류오염지역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 sp. B2로부터의 Lipase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ase from Acinetobacter sp. B2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 손성화;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0-327
    • /
    • 2004
  • 대전 근교의 유류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분해하는332개의 세균 콜로니를 분리한 후 이 중 lipase 활성이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생리생화학적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Acinetobactor sp. B2로 확인되었다. 최종 선별된 Acinetobactor sp. B2는 trehalose, mannitol을 제외한 다양한 당을 이용하였고,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spectinomycin의 항생제에 대해서 약한 내성을, 그리고 Ba, Li, Mn, Al, Cr, Pb 등의 중금속에 대해서는 mg/ml 단위까지 강한 내성을 나타냈고 생장 최적 온도는 $30^{\circ}C$로 확인되었다. Acinetobactor sp. B2에서 정제된 lipase의 분자량은60 kDa이었고, 이 효소의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40^{\circ}C$와 pH 10이었다. 그리고p-nitrophenyl palmitate (pNPP)를 가수분해하는데 필요한 활성에너지는 $4-37{\circ}C$의 범위에서 2.7 kcal/mol 이었고, $6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효소임이 확인되었다. 또 pNPP에 대한 이 효소의 Michaelis constant (Km)와 최대속도상수 $(V_{max})$값은 각각 21.8 ${\mu}M$$270.3\;{\mu}M\;min^{-1}mg^{-1}$ 이었고, 이 효소는 $Cd^{2+},\;Co^{2+},\;Fe^{2+},\;Hg^{2+},$ EDTA, 2-mercaptoethanol에 의해 강하게 억제되었다.

이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의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부착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Comparison of Specific Proteins of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Adhes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Using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김영훈;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8
    • /
    • 2006
  • 최근 들어 병원성 미생물의 저감화를 위하여 기존의 항생제 계열의 항균물질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신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이러한 신개념의 병원성 저감화 소재 중 인간의 장내에 존해하는 probiotics 균주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L. acidophilus 균체와 세포 파쇄물을 대상으로 STEC ATCC 43894의 장 상피세포 부착 억제능력을 측정하였다. 10 mg/mL의 세포 파쇄물이 존재하였을 때 $10^9cfu/mL$의 균체가 존재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STEC ATCC 43894의 부착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L. acidophilus A4의 상등액에서는 그 저해 효과가 세포 파쇄물의 $5{\sim}10%$ 정도 수준으로 관찰되어 그 효과는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이 STEC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0mg/mL의 세포 파쇄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STEC의 단백질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 gel의 image에서 평균적으로 800개의 spot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중 2배 이상의 발현차이를 보이는 13개의 spot을 선발하였다. 7개의 spot은 세포파쇄물이 첨가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3개의 spot은 발현이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3개의 단백질 spot은 세포파쇄물이 존재할 때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에 존재하는 물질은 (1)STEC의 부착과 관련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2)STEC과 장상 피세포에서의 수용체 경합을 통해 부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세부적인 작용 메카니즘 연구 및 생화학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rdycepin이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흰쥐의 조직 과산화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dycepin-increase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Tissue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Damage in Rat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04-912
    • /
    • 2013
  •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식이 중에 각각 3%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해부하기 2일 전에 2회 사염화탄소를 복강주사하여 급성 간손상을 일으켜 임상생화학적 특성 및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 및 음료섭취량은 각 실험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손상 임상 지표인 AST, ALT, LDH 활성도 각 실험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높은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조직 내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glutathione농도 또한 모든 조직과 혈청내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미네랄 함량 측정결과 지방의 산화를 촉진하는 비헴철과 항산화 성분인 아연이 정상수준까지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 독성을 저하시키며 혈청과 간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과 지질대사 개선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국제표준화기구 ISO/NP 16266 방법을 이용한 환경 중 Pseudomonas aeruginosa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Natural Environment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NP 16266)

  • 이시원;김지혜;이보람;주윤리;최별;박수정;정현미;정원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4-386
    • /
    • 2014
  • 녹농균은 병원, 물, 토양 및 대기 등의 많은 자연과 인공환경에서 서식하는 기회주의적 병원체로, 병원 내 감염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높은 표준화 방법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을 적용하여, 물과 토양에서 220개의 녹농균의 추정 집락을 분리하였으며, 생리생화학적 특성으로 녹농균을 동정하였다. ISO/NP 16266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총 220개의 추정 집락 중 방류수에서 drain swab으로 채취한 오직 1개의 집락만이 최종적으로 녹농균 양성으로 확정되었다. 한편, ISO에서 2014년 새롭게 제안한 1,10 phenanthroline 저항성 실험은, 환경 중 P. aeruginosa를 검출 및 동정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한국 당뇨병 노인의 혈액생화학적 특성, 식이 섭취, 당화혈색소 관련 위험 요인 및 위험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와 제7기(2016-2018) 비교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Dietary Intake, and Risk Factors Related to Poor HbA1c Control in Elderly Korean Diabetes Patients: Comparison between the 4th(2007-2009) and the 7th(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오성원;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06-421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comorbidities, dietary intake, and other risk factors leading to poor glycated hemoglobin (HbA1c) control in elderly Korean diabetes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Methods: Data from the 4th (2007-2009) and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were us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gender, region,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nutrition education, diabetes duration and diabetes treatment), lifestyle characteristics (drinking, smoking, regular walking,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HbA1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blood urea nitrogen, and blood creatinine), co-morbidities (obesity,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anemia), energy and nutrients intake, food group intake, and HbA1c control-related risk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Compared to the 4th survey, the 7th survey showed an increase in diabetes prevalence among men, an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the older patients, and an increase in the duration of diabetes. The energy ratio from carbohydrate consumption in the 7th survey was lower than in the 4th. Compared to the 4th survey, thiamine and riboflavin intake had improved, and the intakes of vitamin A, vitamin C, and niacin had worsened in the 7th. A comparison of food group intakes showed that there was a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whole grains, potatoes, and milk and an increase in the intake of beverages and alcoholic beverages. The risk factors for poor control of HbA1c were the duration of diabetes and co-morbid hypertriglyceridemia in the 4th survey, wherea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besity, and hypercholesterolemia as co-morbidities were found to be risk factors in the 7th in addition to the risk factors highlighted in the 4th survey. Conclusions: For the future management of elderly Korean diabetes patients, greater care is indicated for men over 75 years, and those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ake of milk and vegetables, and reduce the intake of beverages and alcoholic bevera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cidence of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for proper control of blood sugar.

국내 40세 이상 위암 환자의 성별에 따른 혈액생화학적 특성, 영양섭취비교: 제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횡단연구 (Comparison of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by sex in gastric cancer patients over 40 years in Korea based on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이현주;오성원;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60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x-associated differences in the dietary intake of gastric cancer patients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7th (2016-2018)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2 gastric cancer patients aged over 40 years (75 male, 47 femal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food security, comorbidities,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fasting plasma glucose (FPG),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and quantity and quality of dietary intake were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Results: Males had higher rates of having a spous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than females. The proportion of males with a normal range of FPG, BUN, and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that in females. The total cholesterol levels above the normal range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We also found that females had a higher percentage of intakes below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and intakes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for carbohydrates, niacin, phosphorus, and iron than males.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phosphorus and folat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for vitamin C, thiamine, niacin, folate, calcium, and phosphorus, and the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lower in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s: In Korean gastric cancer patients, management of comorbidities such as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lowering FPG, and raising HDL-cholesterol level management is required for males, whereas management of lowering total cholesterol and raising hematocrit is required for femal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nutritional intakes were poor in gastric cancer patients, especially in females, who had a lower nutritional intake than males. We suggest t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overall nutritional intake in both male and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n particular, we propose that support is urgently needed for females whose nutritional intake is lower than that of males. In addition, family, social, and national support for nutritional management of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s highly necessary.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JLM 0636)의 orotic acid 유발 흰쥐의 지방간 개선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JLM 0636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차재영;안희영;허수진;박상현;정영기;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74-1280
    • /
    • 2011
  • 동충하초의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들 중 cordycep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육종된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JLM 0636)가 7.42 mg/g으로 시판의 번데기 동충하초보다 최고 7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눈꽃 동충하초는 cordycepin이 검출되지 않았다.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의 지방간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오르트산 유발 지방간 흰쥐에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in 함량을 높인 번데기 동충하초를 각각 3% 식이 첨가 시킨 후 혈청 임상생화학적 특성과 간장 조직 검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간장에서의 triglyceride 농도가 증가함으로서 지방간 유발이 확인되었고 혈청 triglyceride 농도가 감소함으로서 지방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OA투여와 함께 동충하초를 동시에 투여한 군들에서는 간장의 triglyceride 농도가 감소하고 혈청 triglyceride 농도가 증가해서 지방간이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간장의 형태학적 및 조직병리학적 관찰에서도 OA유발 지방간에서는 지방의 침착과 지방세포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각각의 동충하초 동시투여에 의한 간장 및 혈청 triglyceride의 감소와 함께 간장 조직의 지방침착 정도 및 지방 세포수의 감소로 지방간 개선 효과가 다시 한번 확인되었고,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투여군에서 가장 근접하게 정상군의 간장과 유사한 형태를 보임으로서 cordycepin이 OA 유발 지방간에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UV조사에 의해 유발된 SKH-1 hairless 마우스의 피부노화에 미치는 한천마스크의 개선효과 (Beneficial Effect of an Agar Mask against Skin Damage Induced by UV Exposure in SKH-1 Hairless Mice)

  • 송보람;김지은;윤우빈;이미림;최준영;박진주;김동섭;이충열;이희섭;임용;정민욱;김배환;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75-985
    • /
    • 2017
  • UV 조사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photoaging)에 대한 한천젤마스크(agar gel mask, AGM)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KH-1 hairless 마우스의 피부에 4주간의 UV조사와 AGM 및 에센스처리 한천젤마스크(agar gel mask dipped in essence, AGMdE)를 동시에 처리한 후 피부주름, 피부표현형, 피부조직구조, 항산화조건 및 독성 등을 분석하였다. AGM과 AGMdE의 부착은 주름형성의 억제, 홍반지수의 감소, 피부수분의 증진뿐만 아니라 경피 수분손실(TEWL)을 방지하였다. 또한, 표피두께는 UV+Vehicle 처리군과 비교했을 때, UV+AGM 및 UV+AGMdE 처리군에서 UV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MMP-1과 tyrosinase의 발현수준은 UV+Vehicle 처리군에서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나 UV+AGM 및 UV+AGMd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더불어, SOD 활성은 UV+Vehicle 처리군에 비하여 UV+AGM 및 UV+AGMd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지만, 대부분의 독성화합물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혈청생화학적 지표와 조직학적 특성의 변화는 UV+AGM 및 UV+AGMdE 처리군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AGM이 피부형태, 조직학적 구조, 산화적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예방하는 마스크팩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