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 권역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iver Section Analysis Using HEC-RAS in Han River Watershed (HEC-RAS를 이용한 한강권역 하천 단면 분석 연구)

  • Noh, Yeonjung;Kim, Seongjoon;Hur, Junwook;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7-477
    • /
    • 2022
  • 환경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면서, 환경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하천의 경우, 시민들의 레저 활동 및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어 청정한 환경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70년대 이후부터 오염물질로부터의 수량 보장 등의 목적으로 하천 유지유량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수질 환경 및 물수요의 충족을 위한 취수량 확보 목적을 넘어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량인 환경생태 유량의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계 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또는 최소 유량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종의 어류에 대한 하천의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서식지 기반 모델에 의해 수행되어왔으며,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하천 단면에 대한 수위, 유량, 지반고 등의 하천 고유 특성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유량 산정에 앞서 HEC-RAS(하천 분석 시스템)를 이용하여 한강권역내 생태유량 산정을 위한 취약지역 3지점에 대한 하천 단면 정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lassification of Carbon-Based Global Marine Eco-Provinces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K-Means Clustering (K-Means Clustering 기법과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탄소기반 글로벌 해양 생태구역 분류)

  • Young Jun Kim;Dukwon Bae;Jungho Im ;Sihun Jung;Minki Choo;Daehyeon H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3
    • /
    • pp.1043-1060
    • /
    • 2023
  • An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has led to increased attention towards 'blue carbon' which refers to the carbon captured by the ocean. However, our comprehension of marine ecosystems is still incomplete.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global marine eco-provinces using k-means clustering considering carbon cycling. We utilized five input variables during the past 20 years (2001-2020): Carbon-based Productivity Model (CbPM) Net Primary Production (NPP), particulate inorganic and organic carbon (PIC and POC), sea surface salinity (SSS),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 total of nine eco-provinces were classified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e were analyzed. Among them, five provinces showed characteristics of open oceans, while four provinces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coastal and high-latitude regions. Furthermore, a qualitative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previous studies regarding marine ecological zone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features of nine eco-provinces considering carbon cycling. Finally, we examined the changes in nine eco-provinces for four periods in the past (2001-2005, 2006-2010, 2011-2015, and 2016-2020). Rapid changes in coastal ecosystems were observed, and especi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eco-provinces having higher productivity by large freshwater inflow were identified. Our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marine ecosystem classification and coastal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carbon cycling and ongoing climate changes. The findings can also be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ulnerable coastal regions to climate change.

Long-term distribution trend analysi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based on National Fish Database, and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s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배스(Micropterus salmoides) 시공간 분포 분석 및 생태위해성 평가)

  • Kim, Jeong Eun;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2
    • /
    • pp.207-217
    • /
    • 2021
  •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ish, we determined the population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a translocated species into the aquatic ecosystem of Korea. .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this species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an optimized hot spot analysis. After determining potential invasiveness and risk assessment, we measured the disturbance of biodiversity in the aquatic ecosystem. The result of distribu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opulation of M. salmoides was concentrated in the major basins of Han river,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Yeongsan-Seomjin river, including the Jeju island. In particular, Nakdong river basin showed the highest appearance rate. On the contrary, Yeongsan-Seomjin river basin showed the lowest appearance rate. The Nakdong river and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the areas with the high spatial concentration of M. salmoides. On the other hand, only Han river basin and Geum river basin had the lowest spatial concentration.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FISK) was used to assess M. salmoides, which inhabited a broad region of aquatic ecosystem: the assessment score was 31.0, indicating its 'highly invasive' nature. Our study aims to encourage research that improves the biodiversity and the conservation of M. salmoides in a priority area.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Water Quality of Z acco platypus by Region (권역단위 피라미 수질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 Hong, Rok Gi;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8-458
    • /
    • 2021
  • 하천의 환경기능과 생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생태를 고려한 하천 유지 유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문 특성의 물리적 서식처에 관한 연구는 PHABSIM, River2D 등의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유지유량증분법(IFIM), 수문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HSI)를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하천의 수질을 고려한 서식처 연구는 각 수질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 자료의 부족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에 반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수질·생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수온, DO 등의 수질 인자에 대한 피라미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권역 단위로 산정했다. 수질 및 어류조사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최근 10년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조사자료를 이용해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수질별 서식 적합도는 일반화가법모형(GAM)을 적용하여 수질 인자별 어류 개체 밀도 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수화하였다. 특히, 어류의 서식 특성은 수계별로 상이할 수 있어 가용 데이터의 범위를 고려하여 권역별 수질 인자에 따른 피라미의 서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권역단위 피라미의 수질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생태를 고려한 하천사업의 계획,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라미 외 각 하천의 주요 생태 어종 평가를 위한 수질 서식처 적합도지수 산정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stimation water-cycle ratio by sub-watershed of Gyeongancheon mid-watershed (경안천 중권역의 소권역별 물순환율 산정)

  • Kim, Kyeung;Lee, Hyeon-Ji;Kim,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0-360
    • /
    • 2019
  •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 증가로 인해 유역의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비점오염 배출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왜곡된 물순환 체계 회복 및 비점오염 배출 저감 등을 위해 중장기 물순환 개선 목표 수립과 관련된 조항이 물환경보전법 상에 추가되어 2020년 시행예정이며, 광주, 대전, 울산, 안동, 김해시 등은 물순환 선도도시로 선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등 물순환 개선을 위한 노력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모의하여, 소권역별로 물순환요소를 도출하고, 물순환율을 산정 하고자 한다. 모형의 구동을 위한 기상자료는 기상청으로부터 취득하였으며, 지형자료는 환경부의 소권역도,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였고, 토지피복도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취득한 연속지적도를 토지피복 분류에 따라 재분류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한 유량자료는 환경부 유량측정망과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3~2017년은 보정, 2008~2012년은 검정기간으로 활용하였다. 도출된 수문모의 결과를 활용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소권역별로 매년 물순환율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물순환 현황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ies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Stream Environment in Dorim Stream for Establishing Eco-wetland Parks (도림천 수변지역 조성을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 및 하천환경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Lee, Sang-Don;Kim, Seok-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3
    • /
    • pp.133-139
    • /
    • 2008
  • Urban streams are degrading functional role due to development and pollution. This study chose the representative stream of Do-rim and identified flora and fauna. The ecological survey aimed at identifying indicator of urban streams for measuring urban healthiness and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wetland conservation area. From the beginning of Dorim stream to An-yang mixture we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113 species of plants, 9 of mammals, 23 of birds, 4 of amphibians, 2 of reptiles and 2 of fish species. Terrestrial insects were 71 species. The wetland vegetation is quite various and we suggested 4 different vegetation zones (aquatic vegetation zone, emergent zone, riparian-meadow zone, riparian-woodland zone) depending on distance from the flowing water stream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for urban stream management.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dex for Watershed Management Evaluation Using Factor Analysis (요인분석을 이용한 유역관리 평가 지수의 개발과 적용)

  • Kang, Min-Goo;Lee, G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47-651
    • /
    • 2006
  • 유역의 수자원 및 환경 상태에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평가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유역관리를 위하여 수계의 중권역별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수를 개발하고 지수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조사 자료와 다변량 통계 기법의 하나인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유역관리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평가지수를 한강수계에 적용하여 중권역별 유역관리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유역관리 평가지수는 이수관리 평가 세부지수, 치수관리 평가 세부 지수, 수질 및 생태 관리 평가 세부 지수로 구성하였다. 각 평가지수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3개의 지표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지표들은 $3{\sim}5$개의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수계의 중권역별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한 결과, 댐상류에 위치한 중권역에서 다른 중권역들 보다 유역관리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계의 최하류에 위치한 중권역에서 다른 유역들 보다 작은 값을 나타냈다.

  • PDF

Watershed priority evaluation for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물순환 관리를 위한 소권역 우선순위평가)

  • Kim, Seokhyeon;Kim, Sinae;Gwak, Jihye;Lee, Hyunji;Kim, Hakkwa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9-499
    • /
    • 2022
  • 급격한 도시화와 이로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유역의 물순환을 왜곡시키고 있다. 직접유출의 증가와 침투량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지하수 함유량의 감소와 하천건천화를 유발한다. 환경부는 더 이상의 물순환 왜곡을 막기위해 물환경보전법상의 물순환율을 정의하고 물순환 관리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제3차 강우유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에서 물순환 사업 추진을 위한 소권역 별 우선순위산정을 과제로써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물순환 사업은 저영향개발기법 설치이다. 저영향 개발기법은 토지 및 공간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고 위치선정에 제약이 많으며 유지관리도 어렵다. 이에 물순환 사업에는 단순 불투수면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위해 불투수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유역 물순환 평가를 위해 PSR framework을 이용하였다. PSR framework는 OECD가 개발한 지속가능성 평가 개념이며, Pressure, State, Response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평가하게된다. PSR framework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활동들이 환경에 압력 (P)를 주고, 이로 인해 자연의 질과 영향 (S)을 미치며, 이에대한 회복을 위해 인식과 행동을 통해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반응 (R)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SR framework의 평가요소 Pressure는 불투수면 및 강우, State는 물순환, 하수관거, 수질, 수생태계, Response는 협력, 인식, 재정, 토지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불투수면적 감축 대상 소권역('30년 무대책 불투수면적률 25% 이상)소권역에 대하여 최종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 PDF

Predic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orest Biomass by Different Ecoprovinces and Forest Types in Korea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권역별·임상별 산림 바이오매스 변화량 예측)

  • Shin, Jin Young;Won, Myoung Soo;Kim, Kyongha;Shin, Man 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3
    • /
    • pp.119-12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changes in forest biomass in different ecoprovinces and forest type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cumulative data (i.e., digital forest site and climate maps,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various prediction model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predicted changes over time in biomass varied according to ecoprovince and forest type in Korea. A reduction in biomass was predicted for all forest types associated with the mountain, southeastern hilly, and southwestern hilly ecoprovinces. On the other hand, the biomass was predicted to increase for the coniferous forest and mixed-forest types in the central hilly ecoprovince. Furthermore, increases in biomass are predicted for all forest types, except coniferous forests, in the coastal ecoprovinc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technology to predict forest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by predicting changes in forest biomass based on the estimation of site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