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태주택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8초

산불로 인한 인근주택의 피해보상 및 예방에 관한 연구

  • Han, Sang-Yong;Lee, S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6-106
    • /
    • 2013
  • 산불은 소중한 산림을 파괴 시키고 자연생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인근 주택가에 이차적인 피해를 주기도 한다. 도시팽창으로 인해 산과 주택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과 사람들의 부주의로 인한 잦은 산불로 인해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그러나 산림 인근에 있는 주택들은 대부분 농가에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에 대해 대비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산불로 인한 인근 주택화재피해의 원인을 조사해보면 대 부분 산림과 주택의 거리가 좁아 불길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와 비화로 인한 피해로 압축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입산자와 산림인근 거주자에 대한 적극적인 산불방지 홍보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며 이차적으로 주거지역과 산림과의 적적한 이격거리 확보와 인접되는 나무의 수종을 인화성이 약한 활엽수로 대체하는 등의 예방을 우선시 하여야겠다. 산불은 대부분 실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대상이 불분명하고 실화자를 찾더라도 그 피해액을 산정하여 보상을 청구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정부 및 지자체에는 산불로 인한 인근 주거지에 대해 보험 및 예비비를 통하여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대비책을 마련해 놔야 할 것이다.

  • PDF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 Kim Min-Hoi;Kim Tae-Hyun;Hong Sun-Gwan;Kim H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제16권6호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Role of Housing Cooperatives in the Process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도시 빈민 주거지 재생에서 주택협동조합의 역할에 관한 연구)

  • Kim, Ra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제14권6호
    • /
    • pp.417-427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role of housing cooperatives in sustainable regional business networks(SLEN) in regeneration of residential aged area where the urban poor live. For the analysis, input elements of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financial capital and ecological capital were examine. For the process, the organization's structure, sustainable business and social networks, and for the result, the stability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and the payment possibility of housing construction cost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what kinds of issues can be from the housing coop's project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overcome former mentioned issues were intended to find. For analysis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the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were conducted with site visits. The result of this study finds that housing coop have community characteristic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during the regeneration process but the land, as financial and ecological capitals, and housing construction funds were poor. This was investigated that it makes groundless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and the possibility of the payment. In order to overcome, land concession, inexpensive lental and active funning for housing construction to housing coop is required because housing coop is aiming to supply of social housing for low-income and vulnerable groups.

A Study on the Ecologic Design for Urban Collective Dewelling (생태학적 개념의 도심형 공동주택 디자인에 관한 고찰)

  • Kyonne, Jin-Hyun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1-85
    • /
    • 2006
  •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 is how a dwelling adapts into a given climate in which the design is applied by ecology without damag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another word, the main issu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will be how we meet the human needs to dwellings appli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we have to provide a hospitable place for resid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Green Design," emerging as the critical design of urban collective dwellings. Based on these conce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designing the urban collective dwelling applied by ecology, proffering wealthy life style to residents with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s applying an ecological concept into the design of collective dwellings that represent a contemporary housing type for urban residents. In order to design the urban collective dwelling applied by ecology, this study introduces the outdoor design in friendly surroundings, the collective construct of a delightful housing, and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rooms.

  • PDF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n Apartment Housing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생태면적율 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 Kim, Chul;Lim, Tae-Sub;Kim, Byung-Seon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91-1296
    • /
    • 2008
  • Recently, ecological area rate system become effective due to enlargement of recognition and high intellectual standard and for ecological circulation in urban areas.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s to control environmental quality of life what has grown worse in urban districts and corresponds to purpose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suggestions through research of theory and comparison between ecological area rate system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 PDF

Environmental Effect of River Aggregate Dredging (하천 골재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 Park, Eui Jung;Kim, Chul;Kim, Seok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50-1355
    • /
    • 2004
  • 주택건설과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골재부족이 심화되면서 하천정비공사에서 골재채취가 주요한 사업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골재채취는 하천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할 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골재채취를 중지하고 휴식년제를 취할 때의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하천골재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리학적 분석, 수질분석, 생태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영산강의 일부구간으로 현재 이 구간은 골재채취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하상변동을 수치해석으로 모의한 결과 하상은 골재채취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골재채취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단지 부유사(SS)가 약간 증가하였다. 생태학적 조사 결과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와 조류는 공사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재채취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고, 하천공사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nvironmental Load Comparison Evaluation of The Apartment House for Main Construction Materials of Standard Apartment House (표준공동주택의 주요 건설자재 설정을 통한 공동주택 환경부하 비교평가에 관한 연구)

  • Woo, Jee-Hwan;Shin, Sung-Woo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85-90
    • /
    • 2010
  • The study set up the models of a general standard apartment house and a super high-rise standard apartment house, which were based on the 5 floor plans of the assessment reference houses of the "green hom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such main construction materials as to account for more than 80% of the entire amount of $CO_2$ emission in a construction work were selected; a database was built up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loads of the main materials according to the house types tha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rea, block type, combination of living units or floor; and using the database,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the technology to assess $CO_2$ emission from the produ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used in the stage of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