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천이

Search Result 7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 Kim, Keewook;Baek, Kyung Hoon;Kwon, Dong Woon;Kim, Jin Hee;Kang, Ji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of artifical wetland (인공습지의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 방안)

  • Lee, Daewung;Kim, Jungwook;Hong, Seungjin;Jung, Juyou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9-629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어있고, 토양과 물의 정화기능, 폭우방지 및 홍수 완화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습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습지 조성 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내섬(남한강), 옥포지구(낙동강), 세도지구(금강) 3개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비내섬 습지는 천이초기단계에서 개척자식물이 유입되는 등 향후 천이도중상태의 이차초지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되며, 옥포지구 습지는 안정된 천이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인위적 교란요인이 적기 때문에 미소입지별로 식생천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봄, 여름이 추가된 사계절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식물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더 정량적인 식성천이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anagement after Restoration of Close-to-nature Techniques for River (in Musim River) (친자연공법의 조성후 자연형하천 관리방안(무심천을 중심으로))

  • Yeon, Gyu-Bang;Cho, Yong-Soo;Yeon, In-Sung;Maeng, Seung-Ji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6-120
    • /
    • 2011
  • 무심천에는 2002년부터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에 착수하면서 저수로, 저수로 하안, 고수부지 등 하도내에 여러 자연형 하천 공법과 함께 시설들을 설치하였다. 본 모니터링 조사사업은 '무심천 살리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하천종합조사사업으로써 무심천의 수리/수환경 변화와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를 통해 생태 수환경 수리특성 등 생태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필요한 공법 등 향후 추진될 무심천 하천정비 및 관리에 반영하기 위하여 저수량, 홍수량, 생태계 및 하천공법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전문가, 시민참여 그리고 공무원이 함께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을 친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실시한 친자연형공법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얻은 수리/공학적 그리고 생태적 성과물을 자연형하천정비사업에 피드백시키는 자연형 하천관리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무심천의 친자연형하천관리를 위하여 하천의 3대기능과 관련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평가를 하고 자연형 하천공법 등급을 I-V로 구분하여 하천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평 저수시 무심천 본류와 지류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고,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저수/고수호안, 하상, 둔치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무심천을 점차 자연형하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생태계의 적응관리로 하천식생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를 실시하고, 유해식물과 외래식물을 제거하고, 하도내 직경이 10(m) 이상되는 버드나무 수목에 밑둥치기를 실시하여 치수기능의 저해를 방지하였다.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 Lee, Ji-Wan;Jung, In-Kyun;Park, Jong-Yoon;Jung, Chung-Gill;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ekdam-Valley in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국립공원 백담계곡 식물군집구조)

  • 이경재;김종엽;김동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4
    • /
    • pp.450-461
    • /
    • 1998
  •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ekdam-Valley in Soraksan National Park, fifty-two plots have been set up and surveyed. By DCA ordination technique,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fkve community types, which were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 mongolica community. It was supposed that Q. serrata community change to C. laxiflora community. It seemed that 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mixed forest and Q. serrata community would not be replace by another woody species. And it seemed that C. laxiflora community succeeded to Q. serrata community, so it was similar to the typical ecological succession of natural forest in the middle temperate regions. The range of Shannon's diversity index was 0.9827~1.2946(Unit area : 400m$^2$) and that was over another Korean National Parks area relatively.

  • PDF

Wintering Avifauna Change Long-term Monitoring in Major Watershed Tributariesin Han River: Fundamental and Phylogenetic Biodiversity Assessment and Comparison (한강 주요 하천의 겨울철 조류상 변화 장기 모니터링: 기존 생물다양성과 계통적 생물다양성 평가 및 비교)

  • Yun, Seongho;Hong, Mi-Jin;Choi, Jin-Hwan;Lee, Who-Seung;Yoo, Jeong-Ch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3
    • /
    • pp.164-174
    • /
    • 2021
  • Information on biod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planning for ecosystem. As existing biodiversity indices are calculated and predicted only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it is difficult to explain aspects of genetic and ecological diversity. Phylogenetic diversity can indirectly evaluate ecological diversity as well as genetic diversity overlooked by existing biodiversity assessments. In this study, typical metrics of biodiversity (e.g.,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etc.) and phylogenetic diversity were evaluated together using a long-term monitoring data of winter birds in Jungrang, Cheonggye and Anyang stream where are designated as Seoul migratory bird reserves. Then discussed the meaning of each assessmentresult.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the number of individuals generally decreased overtime, whereas in Cheonggye stre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species abundance increased over time slightly in Cheonggye stream,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Species diversity temporally increased in Jungrang and Cheonggye stream, excluding Anyang stream, but phylogenetic divers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nly in Cheonggye stream. These changes in the biodiversity assessment indices are thought to be due to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construction that occurred within each site, and it was shown that species diversity and phylogenetic diversity do not always lead to the same assessmen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iodiversity assessment needs to be considered from various contexts such as genet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Impacts on the four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due to Singok submerged weir removal and the opening of the weir (신곡수중보 해체·개방이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에 미치는 수리영향과 물환경 이슈 분석)

  • Kim, Sung Eun;Shin, Sang-Young;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0-470
    • /
    • 2022
  • 서울시 한강본류(이하 한강)의 4대 지류하천인 안양천, 중랑천, 탄천, 홍제천은 한강과 도심을 연결하는 도심 자연생태계의 중심공간이자,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친수환경 공간으로서 그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강의 수위변화는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의 수리, 수질, 생태, 친수 등 물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기후변화와 관리정책의 변화로 인해 한강의 수위변화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천의 환경 및 생태적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강의 물길회복을 통한 자연성 회복을 위해 한강하류에 설치된 횡단구조물인 신곡수중보의 해체, 또는 개방이 주요하게 논의 되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신곡수중보의 해체 및 개방이 한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지만, 지류하천의 물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곡수중보 개방 및 해체에 따른 한강 본류와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의 수위변화를 예측하고, 주요 지류하천에서 발생가능한 물환경 이슈를 분석하였다. 신곡수중보의 개방 또는 해체는 한강의 수위변화에 대한 조석의 영향을 증가시켜 한강의 수위저하와 수위변동성도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류하천 중 하류부에 낙차공과 같은 수위유지 기능이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안양천과 중랑천의 하류부에서 흐름단면 최대 70%이상 감소, 유속 2배이상 증가 등 큰 수리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안양천과 중랑천에서는 유속 증가에 따른 하상변화와 대규모 노출지 발생, 생태계 훼손 문제, 수위저하에 따른 수심유지 문제, 수체감소에 따른 오염도 증가와 악취문제, 하천경관 및 하천이용 문제 등의 물환경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1970년 이전 중랑천 한강 합류지점에 위치했던 저자도의 복구/복원이 향후 주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 Study on Zoning and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Ecological Management Plan on Urban Stream Using Marxan - A Case of Jungrangcheon(Stream) in Seoul - (Marxan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중랑천을 대상으로 -)

  • Yun, Ho-Geun;Han, Bong-Ho;Kwak, Jeo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16-27
    • /
    • 2020
  • This study presented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and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those areas in the stream based on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for a Jungrangcheon Stream in downtown Seoul. The application of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included the stage of planning unit setting, application of mapping indices, numerical correction for repetitive analysis, creation of scenario-specific optimizations through analysis, analysis of sensitivity by scenario, review, and the selection of optimal plans among the scenarios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area near Jungrangcheon Stream, which has several watershed areas, including an upper-middle-class wildlife protection zone, which was previously designated and managed as a conservation area, and the migratory protection zone downstream of Jungrangcheon Stream were designated as key conservation areas. A number of wild birds were observed in the upper reaches of Jungrangcheon Stream, adjacent to the forests of Suraksan Mountain and Dobongsan Mountain. The downstream area is a habitat for migratory birds that travel along the stream and the adjacent river ecosystem, including the Hangang River confluence and Cheonggyecheon Stream confluence.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Jungrangcheon Stream are connected to forest ecosystems such as Dobongsan Mountain, Suraksan Mountain, and Eungbongsan Mountain, as well as urban green area and river ecosystems in the basin area, which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This study verified the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of existing conservation areas through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during the verification of the conservation areas and was presented as in-stream management and basin management method to manage the basin areas derived from core conservation areas determined through the program.

Analysis for Flood control in Hwapocheon watershed using WashLand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 Park, Chang-Kun;Park, Jae-Hyeon;Lee, J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1-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 하였던 김해 화포천 유역의 홍수 위험도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천변 저류지의 기능인 홍수조절과 생태적인 기능을 검토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화포천의 경우 과거 홍수에 취약한 지역으로 화포천의 수위가 낙동강 본류의 수위보다 낮아 내수배제의 방식으로 홍수를 대비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늘어난 집중호우와 이상기후 등으로 배수 용량 증설과 제방고 상승과 같은 구조적인 방법을 통해 대비를 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잠재적인 피해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해시 화포천 유역을 연구대상 유역으로 하여 내수배제의 유역에서 천변저류지 설치를 고려할 경우 어떠한 문제점이 있으며, 위치에 따라 수문학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과거 홍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 하였던 김해 화포천 유역의 홍수 위험도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방어하기 위한 천변 저류지 설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각 경우에 따른 홍수조절특성을 분석하여 화포천과 같이 내수배제 하천에서 홍수방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조건들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