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연결성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 Oh, Kyu-Shik;Lee, Dong-Woo;Jung, Seung-Hyun;Park, Chang-Su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3
    • /
    • pp.251-259
    • /
    • 2009
  • As a result of the current trend towards promoting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to determine ways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and an environmental database of GIS has made the creation of this network more effici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Landscape Ecology Theory'.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First, landscape patch for the core areas, which are major structures of the ecological network, was determined using the GIS overlay method. Second, a forest habitat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the gravity model, connectivity assessment at the habitat for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eeded connecting area. Third, the most suitable corridor routes for the eco-network were presented using the least-cost path analysis. Finally, a brief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flict areas between the study result and land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urban green network planning. Moreover,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control urban sprawl, promote biodiversity.

  • PDF

Development for Wetland Network Model in Nakdong Basin using a Graph Theory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습지네트워크 구축모델 개발)

  • Rho, Paik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3
    • /
    • pp.397-406
    • /
    • 2013
  • Wetland conservation plan has been established to protect ecologically important wetlands based on vegetation integrity, spatial distribution of endangered species, but recently more demands are concentrated on th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such as topological relationship, neighboring area, spatial arrangements between wetlands at the broad scale.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and graph theory are conducted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ore nodes and weak links of wetland networks in Nakdong basin. Regular planar model, which is selected for wetland networks, is applied in the Nakdong basin. The analysis indicates that 5 regional groups and 4 core wetlands are extracted with 15km threshold distance. The IIC and PC values based on the binary and probability models suggest that the wetland group C composed of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and Geumho river i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wetland network. Wetland conservation plan, restoration projected of damaged and weak links between wetlands should be proposed through evaluating the node, links, and networks from wetlands at the local to the regional scale in Nakdong basin.

A Study on Evaluation of Ec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River Improvement (하천개수 전·후 하천공간의 생태기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Il;Kim, Ji-Sung;Shin, Hyoung Sub;Kim, Kyu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4
    • /
    • pp.397-409
    • /
    • 2014
  •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 of rivers which were changed by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The evaluating factors are composed of physical structure in river channels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n river areas, and each value of the factors is quantified based on 4 and 2 variables, respectably. This scheme was applied to past (1918, before artificial river improvement) and present Mankyung River area. A GIS model was adopted for calculating, analysing, and presenting river ecological conditions using the 204 grids and 7 reaches in study area.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evaluation grade was decreased in both factors after river improvement. The main causes of lower grade (from II to IV) for physical structure are the river straightening and crossing structures. The reduction (from II to III) in ecological connectivity grade effected by linear fragmentation due to roads and rails is found to be greater than areal fragmentation due to land-use. In particular, it is also found that a high degree of ecological connectivity in 1918 was distributed along the river, but that one in 2007 showed a tendency to scatter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levee and increase of urbanized area.

An Experimental Study on Local Stability of Eco-block (생태축조블록의 국부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Seung-Hyun;Lee, Su-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6
    • /
    • pp.2866-2871
    • /
    • 2011
  • In this study, computation method of tensile load which develops in tie-bar of reinforced earth,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ie-bar and eco-block and shear strength of the interface between two eco-blocks were verified by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f connection strength test, peak tensile load of D13 deformed bar were close to allowable tensile load of it for situation of infill with soil. Connection strengths of D10 and D13 deformed bars were greater than the allowable tensile load of those respectively for situation of infill with concret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f shear strength of the interface between two eco-blocks, shear resistance parameters, ${\alpha}_u$ and ��${\lambda}_u$ were evaluated as 1.7kN/m and 2$27.6^{\circ}$ respectively.

Critical Review on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동양 전통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을위한 비판적 고찰 - 유학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

  • Han, Sung Gu;Chi, Chun-Ho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36
    • /
    • pp.235-258
    • /
    • 2013
  • People say that dichotomous way of thought in the Occident separating human from nature resulted in ecological crisis. Furthermore, it is said that surmounting Occidental way of thought is necessary to heal ecological crisis, and ecological elements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could be the alternative for changing anti-ecological disposition inherent in Occidental thought. Although so-called ecology did not exist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there is room for reviewing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in terms of ecological elements or ecological orientation.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vitality and significance of ecological elements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cannot be conclusively verified. On the other hand, Occidental thought regarded as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may not contain anti-ecologica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by raising two questions, "Is Occidental view of nature anti-ecological?" and "Is Oriental view of nature ecological?"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City by enhanced Green-Blue Network (그린-블루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

  • Shim, Jungmin;Park, Woonji;Choi, Yonghu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8-468
    • /
    • 2021
  • 도시의 개발은 불투수면의 증가, 토지이용의 변화, 용수 수요 증가를 초래하였고, 최근에는 기후변화 양극화 현상으로 도심내 물순환체계를 더욱 왜곡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1962년부터 서울의 도심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7.8%였던 불투수율이 2010년에는 50%까지 증가하였다. 토지의 피복상태가 숲과 흙일 때는 강우의 10%는 하천으로, 토양 흡수는 50%, 증발이 40%가량 된다. 보통 토양에 흡수된 물은 토양층에서 머물렀다가 중간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지하수로 전환된다. 그러나 개발로 인하여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된 경우 55%가 하천으로 유입되고 토양으로 흡수되는 양은 15% 정도로 강우가 급격하게 유출되어 빠져나가 버린다. 도시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단순히 치수와 이수의 문제뿐만 아니라 도심의 하천 및 녹지공간에 조성되어 있는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량인 생태용수 확보마저 위협하고 있다. 도심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확보는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자정 능력을 향상하며, 수생생물의 서식환경을 보존에 기여하므로 도심의 자연성 회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도시 생태환경은 녹지의 단절과 파편화로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렇게 단절되고 파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축을 확보하면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 및 띠녹지 등 녹지공간(그린 네트워크, Green Network)을 활용하여 수원 함양이나 수질정화 기능(블루 네트워크, Blue Network)을 부여하면 녹지와 수자원을 연결한 그린-블루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생태용수확보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도심 하천의 자연성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로수와 띠녹지를 활용하여 빗물저장 기능과 침투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에 녹지 및 공원 관리 차원에서 가로수 도시계획이 수립되고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온 현행 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PDF

A Study on River Management for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Connectivity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

  • Jong-Yoon Park;Ji-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2-492
    • /
    • 2023
  • 담수 생물종 시식역의 보전을 위해 하천 연결성 유지와 회복이 중요하지만, 하천관리에 있어 이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인공장벽(artificial barrier)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류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그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강과 하천을 연속체 개념으로 접근하여 생태학적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인위적 구조물을 인공장벽으로 간주하고, 댐과 저수지, 보와 같이 하천의 종적 연결성을 저해하는 3개 유형의 인공 구조물에 대해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치지형도로부터 하천중심선과 수리시설물(보), 호소 및 저수지 경계를 교차(intersection) 분석하여 유형별 구조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기존 자료와의 비교·검증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도모하였다. 인공장벽에 대한 공간자료는 구조물의 유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낙동강 대권역 내 총 195개 표준유역에 대해 밀도(barrier density)를 계산하였는데, 여기서의 밀도는 하천 연장에 대한 총 인공장벽의 수로 정의(barriers/km)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낙동강 유역 내 인공 장벽의 밀도와 유형, 하천별 공간분포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과 결과 등 자세한 내용은 발표를 통해 제시될 예정이다.

  • PDF

Comparison of the Floodplain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Existence of Lateral Connectivity in Streams (하천의 횡적 연결성 유무에 따른 홍수터 식생 구조의 비교)

  • Chu, Yunsoo;Jin, Seung-Nam;Cho, Hyunsuk;Cho, Kang-Hy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3
    • /
    • pp.327-334
    • /
    • 2017
  • The flood pulse in streams enhances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the channel-floodplain ecosystems by exchanging water, nutrients, sediments and organisms. However, the lateral connectivity in most streams of Korea has been disrupted by the levee construction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land use of floodplain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floodplain vegetation according to existence of lateral connectivity in streams, we investigated the geomorphological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structures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floodplains connected and isolated by levee to the channel in Cheongmi Stream, Seom River, Hwangguji Stream, Mangyeong River, Gomakwon Stream, and Boseong River, Korea. In comparison of soil environments, moisture and clay contents were higher in the isolated floodplain than in the connected floodpl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using environmental data, the environments of the connected floodplain and the isolated floodplain were separated by soil moisture contents, soil texture and distribution altitude of the vegetation. The results of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using vegetation data showed that the isolated floodplain was dominated by the hydropythic communities of diverse life form and that the connected floodplain was dominated by the hygrophytic communities that endure disturbanc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vegetation of the floodplain changed to the lentic wetland vegetation dominated by diverse hydrophytes as the floodplain was isolated from the channel by artificial levees.

Ecological Urban Planning and Design: An Application to Hai Phong City, Vietnam (생태적 도시 계획과 설계: 베트남 하이퐁시에의 적용)

  • Lee, Dong Kun;Im, Seung Bin;Ahn, Tong Mahn;Choe, Young Chan;Lee, Seoung Woo;Kim, Eui June
    • KIEAE Journal
    • /
    • v.7 no.3
    • /
    • pp.3-10
    • /
    • 2007
  •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장기적인 고려 없이 진행된 개발도상국가의 도시화와 인구증가는 도시의 슬럼화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하이퐁시를 대상으로 생태적 도시계획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생태적 계획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에 연구된 생태적 도시계획 과정 및 절차를 검토, 정리하였다. 둘째, 한국을 포함한 성공적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베트남에 적용 가능한 전략과 친환경적 개발 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베트남과 비슷한 경제발전 과정을 거친 한국의 일산, 분당 등 생태도시 사례로 부터 네 가지 전략을 도출하였다. 셋째, 대상지 분석 및 토지적합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절대보전, 상대보전, 개발가능 지역 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세 단계를 토대로 생태적 신도시건설을 위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였고, 블루네트워크(수체계), 그린네트워크(녹지체계), 화이트네트워크(바람길체계), 휴먼네트워크(자전거 및 보행도로체계), 문화네트워크(역사자원체계)의 다섯 가지 네트워크개념을 적용하였다. 각 네트워크별, 각 네트워크간의 연결 및 순환을 강조함으로써 현존하는 자연적 문화적 자원을 보전, 신도시의 가치로 창출되게 하고자 하였다.

Biodiversity Research for Baekdudaegan Conservation (백두대간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

  • Jeong, Keum Seon;Kim, Min Sung;Lee, Seo Young;Na, Su Jung;Kang, Ki Ho;Shin, Chang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6-6
    • /
    • 2018
  •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된 큰 산줄기로 금강산, 설악산, 덕유산 등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우리나라 중심 산줄기이다.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사회 문화적 가치는 물론 자연 생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약 1,400km, 남한 지역은 약 700km가 남북으로 길게 연결되어 우리나라 주요 산들을 연결하는 한반도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백두대간은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주요강의 발원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 지역에 위치함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기후대 및 식생권역별 국가수목원의 확충 계획에 따라 온대 북부 권역에 조성되었다. 백두대간 산림생물 다양성 유지와 산림생물자원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시드볼트는 생물다양성 보존과 산림생물유전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하여 종자보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를 포함한 전세계 야생 종자를 수집하기 위한 기후대 생태권역별 종합계획 수립과 표준화 모델 개발을 통해 체계적인 협력체를 구축 중이다. 종자의 안정적인 장기 보존을 위한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종자의 저장특성 연구 및 수명연구를 통해 예측 모델을 연구하며 이를 기반으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종자 활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 생물종의 조사, 생태계 보전 복원연구를 위한 현지 조사, 서식지외 보전 기관 역할, 유용자원 발굴 및 연구 등 백두대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