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生態的) 도시(都市)

Search Result 78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Framework data for Biotope Mapping in Incheon (인천지역 비오톱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 구축방안 연구)

  • Choi, Byoung-Gil;Na, Young-Woo;Lee, Hyung-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9-35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비오톱지도 제작 및 환경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의 제작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비오톱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원시데이터를 취합 및 통합과정을 통해 무결점의 프레임웍 데이터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비오톱지도 제작의 기초데이터인 프레임웍 데이터 제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오톱지도는 지표면의 형태와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지형주제도, 단위비오톱 형상의 기준이 되는 도시주제도, 도시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도시생태조사도 등을 기반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작되어지며, 각 주제도는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로부터 추출 및 가공되어 비오톱지도의 기반데이터로 사용되는데 이 기반데이터가 논리적,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제작되어야 정확한 비오톱지도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를 비오톱 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로 분류하여 본 연구를 통해 구제적인 작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기고문 -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과 경관 상품 개발

  • Ma, Sang-Gyu
    • Landscaping Tree
    • /
    • s.119
    • /
    • pp.8-11
    • /
    • 2010
  • 국가 발전과 국민생활수준 향상으로 조경수를 이용한 경관조림이 생태공원, 도시숲, 학교숲. 거리숲 등의 이름으로 확대되어가는 현상을 보게 된다. 경관조림지를 보면서 행정가의 눈에 의한 행정적 조림, 작업원의 눈에 의한 사업적 조림은 있으나 전문가에 의한 경관조림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곤 하였다. 수많은 조경수들 중에서 본연의 형태와 생태적 요구 특성에 알맞고, 입지특성 및 지역의 문화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수종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일은 물론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경관조성과 관리사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경관의 질도 향상시켜 나감은 물론 경관조성사업의 투자 효율도 증대시키는 측면에서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의 필요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gram of Building Integrated Vertical Greening System Based on Climate Design (기후디자인 기반 건축물통합형 입면녹화시스템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3
    • /
    • pp.105-112
    • /
    • 2017
  • Construction and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drove urbanization were perceived as a main culprit that disturbs environment and ecosystems, including urban heat island, air pollution and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in urban area, as they do not consider natural environment and adopt consistent development behaviors and rapidly degrade the ecology of development sites. In order to build a sustainable green wall system, design process is configured as follows based on basic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climate environment elements, climate design technology elements suggested earlier. Each part of required technology element is codified systematically and a sound Korean-style green wall system design direction will be suggested.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Supply of Reused Water in Urban Stream (도시하천 내 재이용수 공급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

  • AN, SONG HEE;JANG, DONG WOO;KIM, DAE WOONG;CHOI, YE 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12
    • /
    • 2020
  • 도시하천의 경우 비 강우시 하천의 유지용수가 부족하고, 도시지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수질악화,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생태하천 및 친수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정부는 도시하천 복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수환경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굴포천은 인천 부평구에서 경기도 김포시로 이어져 있는 국가하천으로서 수질 향상 및 유지용수 확대를 위한 굴포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수 활용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에 2019년 3월 자연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준공되었고, 굴포하수처리수에 오존처리과정을 거친 유지용수가 굴포천 상류부에 공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 내 오존처리 재이용수 공급 전·후의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천수 수질기준을 활용하여 계절 별 주요 수질인자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유지용수 방류지점과 굴포하수처리수 방류 위치를 기준으로 굴포천 내 해석구간을 나누고, 재이용수 공급전·후 각 1년에 대하여 주요 수질을 분석하였다. 하천수 수질환경기준에 사용되는 DO, BOD, COD, TOC, SS, T-P를 중심으로 분기별 수질 분석을 한 결과, 굴포천 모든 지점에서 DO 농도는 평균적으로 증가하였고, 다른 주요 수질 인자의 농도는 감소되어 수질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하천수 수질등급 비교 결과 재이용수 공급 전 '매우 좋음(1a)'였던 수질인자는 재이용수 공급 후에도 동일 등급을 유지하였고, 모든 수질 항목에서 계절에 따른 편차가 있었지만 재이용수 공급 이후 모든 수질등급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ideration for Application of Wind Environment Assement on Ecological Parks in Cities (도시 생태공원의 풍환경 평가 적용에 관한 고찰)

  • Kim, Wonsul;Jung, Il Won;Kwon, Ji-Hy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117-122
    • /
    • 2019
  • City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air pollution and mitigating the city heat island effect caused by global warming. However, from July 2020, restricted parks over 20-year will be partially lifted due to sunset regulation on parks. As a resul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revitalize parks, such as creating ecological parks and securing park sites. However, building winds generated by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around ecological parks in the city may cause discomfort to pedestrians and threaten the ecosystems of plants and animal that live in ecological parks. There are no clearly proposed as standards for wind environment assessment in Korea, but also it has been rarely studied on pedestrian wind environment. In this study, wind environment studies have been reviewed to find the important parameters related to wind environment assessment. Further, wind climate analysis using wind data obtained by Seoul meterological st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of the wind environment assessment on the city ecological parks.